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4_기본진열29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54_기본진열29
# 한대(漢代)3
◆ 채회도종(彩繪陶鍾)_흙으로 빚고 채색한 그릇[鍾]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채회견형도호(彩繪繭形陶壺)_흙으로 빚고 채색한 누에 고치모양의 병
- 한(漢) BC.202~AD.220년
- 위남시(渭南市) 포성현(蒲城縣) 평로묘(平路廟) 마가촌(馬家村) 출토



◆ 채회도방(彩繪陶鈁)_흙으로 빚고 채색한 술그릇[鈁]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임동구 신풍진(新豐鎭) 출토





◆ 청유포수함환배쌍이자종(靑釉鋪首銜環雙耳瓷鍾)_푸른 유약을 바른 2개의 문고리 모양이 있는 도자기 그릇[鍾]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출토



◆ 철화(鐵鏵)_쇠가래
- 한(漢) BC.202~AD.220년
- 보계시 롱현(隴縣) 출토

◆ 철벽토(鐵辟土)_쇠쟁기
- 한(漢) BC.202~AD.220년
- 보계시 롱현(隴縣) 출토

◆ 철궐두(鐵鐝頭)_쇠괭이 머리
- 한(漢) BC.202~AD.220년
- 연안시(延安市) 부현(富縣) 출토

◆ 철삽두(鐵鍤頭)_쇠가래 머리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도정(陶井)_흙으로 빚은 우물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장안구 자오진(子午鎭) 출토

# 농기구

◆ 홍도파지(紅陶陂池)_붉은 흙으로 빚은 못
- 한(漢) BC.202~AD.220년
- 한중시(漢中市) 출토


◆ 녹유도균(綠釉陶囷)_흙으로 빚고 녹색 유약을 바른 곳집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과 소장


◆ 채회도균(彩繪陶囷)_흙으로 빚고 채색한 곳집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과 소장


◆ “禾ㆍ粟ㆍ稻ㆍ麥ㆍ豆”가 새겨진 흙으로 빚은 곳집
- 한(漢) BC.202~AD.220년
- 유림시(楡林市) 횡산구(橫山區) 흑석극촌(黑石克村) 출토






# 漢나라 화창( 華倉) 유지 복원도

◆ 01. “화창(華倉)”이 새겨진 와당(瓦當)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02. “경사창당(京師倉當)”이 새겨진 와당(瓦當)
- 한(漢) BC.202~AD.220년
- 화양시(華陽市) 화창(華倉) 유지 출토
◆ 03. “경사유당(京師庾當)”이 새겨진 와당(瓦當)
- 한(漢) BC.202~AD.220년
- 화양시(華陽市) 화창(華倉) 유지 출토
◆ 04. “長生未央”이 새겨진 와당
- 한(漢) BC.202~AD.220년
- 보게시 봉상현 창저(倉儲) 출토
- 섬서성고고연구원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