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심천 남산박물관

2019_광저우_심천(深圳:Shen zhen)11_남산박물관4_2층

by isanjo 2019. 11. 16.

2019_광저우_심천(深圳:Shen zhen)10



#남산박물관4_2층 <핸드폰>


◆ 괵계(虢季) 묘 수장 기물 발굴 사진


# 등급에 따른 정(鼎)과 궤(簋)의 숫자: 5등급으로 되어 있다.

*鼎은 육류를 담는 그릇이고, 簋는 서직 등 곡류 음식을 담는 그릇이다.

- 주 천자: 9정에 8궤: 소[牛], 양(羊), 애저[乳猪], 물고기[魚], 육포[乾肉:육포], 희생[牲肚], 돼지고기[猪肉], 선어(鮮魚), 선건육(鮮乾).

- 제후 7정에 6궤:   소, 양, 애저, 물고기, 육포, 희생, 제육.

- 경대부 5정에 4궤: 양, 애저, 물고기, 육포, 희생.

-고급 사 3정에 2궤: 애저, 물고기, 육포.

 저급 사 1정: 육포.




◆ 거마기(車馬器) 명칭 설명도

- 4마리 말이 끄는 수레의 설명이다.


말 장식

1. 절약(節約):

2. 당노(當盧): 말 이마 꾸미개. 눈 위쪽

3. 난령(鑾鈴): 수레 방울

4. 헌수(轅首): 끌채 머리

5. 마표(馬鑣): 재갈1

6. 마함(馬銜): 재갈2

7. 액(軛): 멍에


수레 장식

1. 비(轡): 고삐

2. 차축식(車軸飾): 차축 장식

3. 차할(車轄): 수레 비녀짱

4. 차비(車軎): 굴대머리 

5. 복(輻): 바퀴살

6. 牙(牙): 바퀴대



◆ 청동 종(鐘)의 각부위 명칭 설명도

- 11개 부위로 되어 있다.


용뉴부(甬鈕部)

1. 형(衡): 맨 위 인꼭지 부위

2. 용(甬): 인꼭지 아래의 자루 부위

3. 선(旋): 용(甬)에 돌출된 부위

4. 간(干): 선(旋)에서 세로로 돌출된 부위

5. 무(舞): 용뉴부(甬鈕部)와 종신부가 만나는 부위

종신부(鐘身部)

6. 매(枚): 꼭지처럼 뛰어 나온 부위. 유정(乳釘), 유두(乳頭)

7. 정(鉦): 종신부 상단위 세로로 평평한 부위

8. 전(篆): 매(枚)와 매(枚) 사이의 무늬가 있는 부위

9. 고(鼓): 종신부 하단의 치는 부위

10. 우(于): 종신부 하단의 중아의 오목한 부위

11. 선(銑): 종신부 양쪽 의 뾰족한  부위



# 楚國(前1115年—前223年)

<https://baike.baidu.com/item/%E6%A5%9A%E5%9B%BD/950754?fr=aladdin>


是先秦時期位於長江流域的諸侯國,國君爲羋姓、熊氏。周成王時期,封楚人首領熊繹爲子爵,建立楚國。

據最新出土的《清華簡·楚居》記載,楚人立國之初,在鄀國盜牛祭祀一事 ,說明建國之初的貧弱狀況; 經過幾百年發展,楚國在春秋時楚成王之世開始崛起, 奄有江漢,不斷兼並周邊各小諸侯國,周天子賜胙,命楚國鎮守中南。 前704年,熊通僭越稱王,是爲楚武王。楚莊王時,任用虞邱子、孫叔敖等賢臣,問鼎中原、邲之戰大敗晉國而稱霸,開創春秋時期楚國最鼎盛的時代。進入戰國,楚悼王任用吳起變法,一時間兵強馬壯,初露稱雄之勢。 楚宣王、楚威王時期,疆土西起大巴山、巫山、武陵山,東至大海,南起南嶺,北至今河南中部、安徽和江蘇北部、陝西東南部、山東西南部,幅員廣闊。楚國至此進入了最鼎盛時期。
楚懷王時期攻越國,盡得越國故吳地,越國因此而分崩離析。但因爲懷王用人不當以及秦相張儀欺詐導致國勢漸衰。前223年,秦軍攻破楚都壽春,楚國滅亡。



◆ 붕동부(銅缶)

# "倗"자가 새겨진 청동 부(缶)

- 춘추 시기_초(楚) (BC770년~BC476년)

- 1978년 하남 석천하사(淅川下寺) 초묘(楚墓) 출토

*뚜겅에는 인꼭지가 있고 어깨에는 양쪽에 2개씩의 고리가 있으며 그 고리가 끝에서 다시 하나의 고리로 연결되어 있다. 기물의 불룩한 중앙에는 띠 모양의 섬세한 문양이 새겨져 있다.


◆ 왕자오(王子午) 청동 명문과 해석



◆ 오왕 부차 검(吳王夫差劍)

- 춘추(春秋) 시기(BC770년~BC476년)

- 징집



◆ 반훼문 이(蟠虺紋匜)

# 살무사 문양이 새겨진 주전자

* 제사 때 물을 담았다가 손님이 손을 씻을 수 있게 물을 따를 때 사용한다.

- 춘추 시대_오(吳) (BC770년~BC476년)

- 1978년 하남 고시후(固始侯) 고퇴(古堆) 오국구어부인묘(吳國敔夫人) 출토




# 참고: 세(洗)와 이(匜)가 한쌍이다.





◆ 환이제족동대(環耳蹄足銅敦)

# 4개이 고리걸이에 발굽 모양 다리가 있는 청동 식기_대()

- 춘추 시대_채(蔡) (BC770년~BC476년)

- 1966년 하남 한천고도장(漢川高稻場) 출토


◆ 기물 파편

- 춤추는 사람들을 잘 표현하고 있다.



◆ 삼족분체동언(三足分體銅甗)

# 세발 청동 시루

- 전국 시대 (BC475년~BC221년)

- 하남 삼문협 상촌령(上村嶺) 출토



◆ 착금은동표진(錯金銀銅豹鎭)

# 금과 은으로 상감한 청동으로 만든 표범 모양 서진  

- 전국 시대 (BC475년~BC221년)
- 하남 삼문협 출토

*움추리고 있는 표범 모습이 너무 귀엽다.


◆ 청동 포수(靑銅鋪首)

- 진대(秦代) BC221~BC206

- 징집




◆ 빙감(氷鑒)

- 청동 아이스 박스

* 더우면 시원한 것이 최고.



- 빙감 사용 설명도


◆ "粱米萬石"이 새겨진 회도 창(灰陶倉)

- 서한 시대 BC206~AD25년)

- 낙양시 금곡원(金穀園) 한묘

 


◆ 회도 우물[灰陶井] *모형

- 한대(漢代) BC206년~220년

- 1953년 하남 나낙양시 소구(燒泃) 한묘 출투



◆ 혹록유도등(紅綠釉陶燈)

# 홍록색 유약을 칠할 진그릇 등

- 서한 시기 BC206~AD25년)

- 1969년 하남 제원(濟源) 지성(軹城) 사간구(泗澗泃) 출토




◆ 


◆ 



◆ 회도수(灰陶獸)

# 청회색 질그릇 짐승

- 서진 256년~316년

- 1955년 하남 정주 남관(南關) 밖 출토



◆ 황유녹채사계각화관(黃釉綠彩四系刻花罐)

# 황색 유약에 녹색으로 채색한 4개의 연결 고리가 있는 꽃을 새긴 단지

- 북제(北齊) 550년~577년

- 1958년 하남 복양(濮陽) 이운(李雲) 묘 출토



◆ 무측천금간(武則天金簡)

# 천무후의 금판 편지

- 당대 구시(久視) 원년(700년)

- 1982년 등봉시(登封市) 숭산준(崇山峻) 극봉(極峰) 북쪽 석봉(石縫)에서 발견


◆ 당대 마안구(馬鞍具) 설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