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671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6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6 2층 서전간2 # 만물우령(萬物友靈) # 사물과 신령(物與靈) # ◆ ◆ ◆ ◆ ◆ ◆ ◆ ◆ ◆ ◆ ◆ ◆ # 한복(韓服) ◆ ◆ ◆ ◆ ◆ ◆ ◆ ◆ ◆ ◆ ◆ ◆ ◆ ◆ ◆ ◆ ◆ 2025. 3. 22.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5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5 2층 서전간1 ◆ ◆ ◆ ◆ ◆ # 원주민 풍속도해 "나인포(懶人包" # 권류왕국(蕨類王國) ◆ ◆ ◆ ◆ # 대만제조 MIT ◆ ◆ # 해마구물단(解碼購物單) ◆ ◆ # 욱일초승(旭日初昇) ◆ ◆ # ◆ ◆ # 태자(太子)의 품미(品味) # 개조환대(改朝換代) 제일사(第一事)- 대일본제국 대만총독지인여령대고시(大日本帝國臺灣總督之印與領臺告示) ◆ 유시(諭示) ◆ ◆ 2025. 3. 22.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4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4 # 1층 동전간 # 물에 서식하며 기어다니는 동물화석 전시회_수괴(水怪)2022.06.21~2023.05.21- 전시 기간은 한달 모자라는 1년이다. 11개월. # 해파대가족(海爬大家族) ◆ 전구치룡골격(前口齒龍骨骼)- 중생대 백악기_모로코.- 국립자연과학박물관 소장. ◆ 김니어(金尼魚)- 중생대 쥐라기- 독일 조로호펜(索羅霍芬:suǒluóhuòfēn) ◆ 대왕오징어- 독일 조로호펜(索羅霍芬:suǒluóhuòfēn)- 중생대 쥐라기 ◆ 황과수안순룡(黃果樹安順龍)- 중생대 삼엽기- 중국 운남성- 국립대만박물관 소장. ◆ 혼어룡(混魚龍)- 중생대 삼엽기- 중국 귀주(貴州)- 국립대만박물간 소장. ◆ 병해합합 *복제본.- 중생대 .. 2025. 3. 22.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3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3 # 전시 전체 설명 ◆ # 인간과 신의 조화 가면과 무도 # 야자나무로 모든 물건을 해결하다. ◆ # 거주의 지혜 ◆ # 해양문화가 응축된 밀랍염색. ◆ ◆ 코끼리신 ◆ 어신(魚神) ◆ 여신(女神) ◆ 무사(武士) ◆ # 천신으로부터 온 소식 ◆ # 생활속의 신수(神獸) # 물의 신과 행선(行船) # 생동감 넘치는 거리의 향연 ◆ ◆ ◆ # 역사의 반영과 지역 문화. 2025. 3. 16.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2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2 ◆ 인형극 ◆ ◆ ◆ ◆ ◆ ◆ ◆ ◆ ◆ ◆ ◆ ◆ 2025. 3. 15.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1 2023_0126_타이베이 국립대만박물관 본관1 이번이 두 번째 방문이다. 01_1층 서전간# "백년의 대화." # 예술이 함께 있고, 신앙이 함께 온다. # 영성(靈性)의 옥토(沃土) 중신(衆神) 권(眷顧)의 땅 # 하늘의 신과 영웅들. ◆ ◆ 좌: ◆ ◆ 좌: 미안마의 신령: 德賈敏(Tha gya mim)◆ 우: 미안마의 신령: 美溫那(Me Wun na) ◆ ◆ 베트남 수상인형극: 농촌 청년. ◆ ◆ 3건. 좌: 중: 우: ◆ ◆ 좌: ◆ 중: ◆ ◆ 2025. 3. 13. 2023_1_국립고궁박물원9_2층2 2023_1_국립고궁박물원9_2층2 ◆ 청화범문연화식반(靑花梵文蓮花式盤)_범어가 그려진 연꽃모양 청화백자 소반.- 명나라 만력 연간(1573~1620) - 故瓷 16012 ◆ 발우?? ◆ 가유쌍연방수주(哥釉雙蓮房水注)_두개의 연밥 모양 가유 연적.- 명나라 만력 연간(16~17세기) - 故瓷 17786 *가유(哥釉) : 가요(哥窯)에서 사용한 유약이다. 가요유약은 송대, 5대, 유명한 가요에서 생산하였다. 광택이 없는 유약에 속하며 마치"수유(酥油)" 광택과 같으며 색조가 풍부하고 다채로우며 미황(米黃), 분청(粉靑), 유백(乳白) 등 여러가지 색이 있다. ◆ 청화해수파도문고족배(靑花海獸波濤紋高足杯)- 명나라 선덕 연간(1426~1435) - 故瓷 15140* 잔 속에 범어도 있다. ◆ 청화용문작.. 2025. 3. 13.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2_청동시대(靑銅時代)2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2_청동시대(靑銅時代)2 ◆ 사모신동방정(司母辛銅方鼎)- 하남 안양 은허 부호묘(河南安陽殷墟婦好墓)- 상나라(约公元前1600-公元前1046年) ◆ 사치모동방호(司qiao母銅方壺) # 무정의 아내로서 부호는 남편의 은총을 누리며 왕위 계승자를 낳는 중책을 맡고 있습니다. 한 나라로서 그녀는 여러 가지 궁정 사무에 참여해야 한다. 부호는 자기의 봉지가 있으니 제도에 따라 상(商) 왕실에 공물을 바쳐야 한다.# 作为武丁的妻子,妇好享受着丈夫的恩宠,承担着生育王位继承人的重任。作为一国之后, 她要参与多种宫廷事务。妇好有自己的封地,也要遵从制度,向商王室纳贡。 ◆ 부호동월(“妇好”銅鉞) # 옥기(玉器)- 하남 안양 은허 부호묘- 상나라 ◆ 동규(銅圭) ◆ 좌: 용형옥황(龍形玉璜) ◆ .. 2025. 1. 20. 2024_0820_중국미술관10_6층 2024_0820_중국미술관10_6층 # 장보각(藏寶閣)- 소장 정수 진열관. ◆ 삼천년결실지도(三千年結實之桃)- 오창석(吳昌碩:1844~1927)- 중국화. ◆ 방해(螃蟹)- 제백석(齊白石:1864~1957)- 중국화. ◆ 유정공연시(劉楨公宴詩)고이적(고이적:1903~1977)- 서법(書法) ◆ 자수금장도(紫綏金章圖)- 임백년(任伯年)- 중국화. ◆ - 방암계간(方岩溪澗)- 황빈홍(黃賓虹:1865~1955)- 중국화. ◆ 우후천산철주성(雨後千山鐵鑄成)- 반천수(潘天壽: 1897~1971)- 중국화. ◆ 운중군(雲中君) - 부포석(傅抱石:1904~1965)- 중국화. ◆ 만산홍편층림진염(滿山紅遍層林盡染)- 이가염(李可染:1907~1989)- 중국화. ◆ 황산운해(黃山雲海)-.. 2025. 1. 6. 2024_0820_중국미술관10_5층_2 2024_0820_중국미술관10_5층_2 # 학인(學人)과 사신(詞臣) 명말청초, 학인(學人) 류종주는 절강성 일대에서 심원한 영향을 끼쳤으며 황종희, 진홍수 등은 모두 그의 학생이였다. 학인의 서화는 광범위한 학식과 수양을 기초로 하여 왕왕 자연히 깊은 학양 기초를 드러낼 수 있다. 항세준은 일생 동안 학술에 근면하고 경사와 문장에 정통하였으며 저술이 풍부하여 황종희의 뒤를 이은 경학자이다. 그는 산수화를 잘 그렸는데 필묵이 담백하고 일취가 있다. 김농 역시 박학다재하였는데, 그의 서화는 특별히 기이하고 졸렬하다. 『칠서 』로 독특한 하나의 품격을 갖고있을 뿐만아니라 화훼소품을 더욱 많이 썼으며 천진하고 낭만적인 필묵의 의취가 가득차 있다.청대의 사신(詞臣) 화가는 모두 정통적인 진사 출신과 관원 신분.. 2025. 1. 5. 2024_0820_중국미술관10_5층_1 2024_0820_중국미술관10_5층_1 # 절강성박물관 소장- 명청서화 정품전(明淸書畵精品展) # 호산승경(湖山勝景) 서호는 자연풍경과 인문역사가 서로 어우러진 명승지로서 지각운동으로 형성된 산기슭ㆍ호수가 있을 뿐만아니라 시인과 학자의 건물[營建]ㆍ제사(題寫)로 형성된 인문경관도 있다.오늘날 서호의 전체적인 구조는 5대 양송 시기에 형성된 것이다. 서호 연안의 상징적인 건축도 이 시기에 많이 생겼다. 예를 들어 남로(南路)의 정자사ㆍ뇌봉탑ㆍ육화탑, 북로(北路)의 보탑ㆍ소경사 등이다. 북송의 소식은 항주에서 관리로 근무할 때 서호를 준설하여 서호의 남북을 가로지르는 소제(蘇堤)를 건설하였다. 남송이 임안(항주)을 수도로 정한 후, 시인ㆍ사인ㆍ서가ㆍ화가가 서호에 대한 음영ㆍ묘사가 새로운 고봉에 이르렀.. 2025. 1. 5.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3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3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7 # 조경루빙(雕琼鏤冰)*이는 작품의 풍격이 명결하거나 구상이 참신하고 정교함을 비유하는것으로서 명 (明) 나라 양신 (楊愼) 의 ≪ 승암시화 (承庵詩話) · 손기의 평시 ≫ 에서 나왔다. # 옥 조각의 예술성 상고시대에 사람들은 아름다운 돌을 옥으로 여겼다. 춘추시대 이후 광물학 지식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점차 섬석(閃石)을 진옥(眞玉)으로 인식하는 개념을 확립하였고, 그 밖에 옥과 유사한 색의 돌을 "민(珉)"이라고 불렀다. 이처럼 옥과 같은 색깔의 돌은 각자 명칭이 생기게 되었다. 예를 들면 벽전자(碧甸子), 마노(馬瑙), 수정(水精), 수산석(壽山石) 등과 같은 돌은 전통적으로 이러한 옥과 비슷한 색깔의 돌은 종종 가공 및 조각을.. 2024. 12. 10.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2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6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2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6 # 코담배 병_스너프 병명말 청초에는 코담배가 유럽에서 중국으로 유입되면서 국산화된 코담배병이 탄생하게 되었다. 옥으로 만든 코담배병은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솜씨 좋게 만들었기 때문에 황궁 귀족들의 생활 필수품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포상이나 선물로도 자주 사용되었다. 옥으로 만든 코담배병은 주로 청나라 궁내 제조소에서 생산되었으며, 골동품, 초생(肖生), 내채(內彩) 등이었으며, 문식은 전통적인 도안 이외에도 시나 축하의 글 등이 있었다. # 산자(山子)_산 모양의 옥 바위 산자(Shanzi)는 산과 숲의 풍경을 표현하기 위해 원조(圓雕:둥글게 새김) 기법을 사용한 옥장식품이다. 옥에는 산, 숲, 인물, 동물, 시냇물 등이 층층이 뚜렷.. 2024. 12. 9.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1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5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1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5 # 만당경화(滿堂琼華)_제4단원- 제국의 사치에서 대중적 우아함으로[滿堂琼華]- 옥은 한나라(기원전 202년~서기 220년)때부터 귀중한 생활용품과 감상용 물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옥재의 진귀함과 관청의 통제로 인해 이러한 유의 옥은 주로 제왕과 귀족의 집에서 유행했으며 그 수량도 제한되어 있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두 시대에는 중국 고대 옥기 발전의 정점으로, 옥기 제품의 종류와 수량에 있어서 이전 각 왕조를 능가했다. 이 한 시기의 옥기 제작은 정교함에 우아함과 소박함을 동시에 강조하여 궁궐의 옥과 민간의 옥이 모두 보조를 맞추는 모습을 보여준다. 과거를 계승하여 새롭게 고풍스러운 이기(彝器), 정교하고 화려한 생활 옥기, 우아하고 고고.. 2024. 12. 8.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0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4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0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4 # 제3단원 임랑길옥(琳琅吉玉)_화려한 길조의 옥.수나라(581-618)와 당나라(618-907) 이후 전통적인 의례제도가 변형되면서 옥기의 예의 특징 또 차츰 옅어져, 종(琮), 결(玦), 황(璜) 등 옥기류의 기본이 사라지면 옥대, 모정(帽頂) 등 신분을 나타낼 수 있는 옥기류가 출현하였다. 옥기의 신비로운 색채가 사라지면서 옥은 점차 일상 생활에서 상서로움 기물이 되었으며 아울러 가면 갈 수록 속세에서는 진귀한 것이 일생활에 사용되게 되었다.당대(唐代)에는 사회는 개방적이고 문화는 포용적이어서 양주 지역에는 옥을 가공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이 시기의 옥기 공예는 솜씨가 뛰어나고 풍격이 웅장하고, 유형이 다양했는데, 화훼(花卉), 조.. 2024. 12.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9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3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9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3 # 제2단원_당황옥례(堂皇玉禮)_의식적 상징으로서의 옥.- 서주시기(西周:기원전 11세기경~771년)에는 종법제[혈통]과 위계[등급제]에 중점을 둔 의례제도가 확립되었다. 옥기는 예전의 물질적 상징이 되었으며, 복잡한 사용 규범이 형성되었다. 통치계급이 천하를 다스리는 도구가 되었다. 옥을 가공하는 기술은 날이 갈수록 더 다양해졌고, 이중선을 새기는 기술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처음으로 입체적 효과를 보이기 시작했다. 동주 왕조(기원전 770-221년)이 쇠퇴하면서 사회질서와 예의제도는 체제의 속박에서 벗어나 점차 각각의 제후와 경대보가 자신의 세력을 공고히 하는 정치적 무기로서 옥벽(玉璧) 등 귀종한 옥기와 금은, 거마를 동일하게 제후 .. 2024. 12. 6.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8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2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8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2 ◆ 조문석경(鳥紋石磬)_새 무늬를 새긴 석경.- 상나라 (기원전 16세기경 ~ 기원전 11세기) 1976년 허난성 안양시 부호묘 출토.경은 일종의 편(片) 형로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석재를 매달아 두드리는 타악기로, 고대의 종교의례에서 유래되었다. 왕조가 출현한 이후 경(磬)은 권력 귀족계측의 전당에서 잔치ㆍ종묘의 제사ㆍ조빙(朝聘) 예의 활동 중에 연주하였는데, 국가의 형상과 통치자의 신분ㆍ지위를 상징하는 의식 도구가 되었다. ◆ 척(戚)- 이리두문화(二里頭文化:얼리터우 문화)- 기원전 18세기경~기원전 16세기.-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장식이 있는 구부러진 월(鉞)은 또 척(戚)이라고 칭한다. 척은 일반적인 월에 비해 좀더 화려하고.. 2024. 12. 5.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7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7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1 # 머릿말. - 옥 문화는 중국 전통문화의 중요 구성 부분이다. 옥석은 아름답고, 따뜻한 외관, 견고한 질감, 순수한 색상을 갖고 있으며, 하늘과 땅의 본질을 구현하며 중국인의 정신적 추구와 매우 일치합니다. 중국의 옥 생산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품종이 풍부하고 특징이 뚜렷하다. 옥의 다양한 재료, 모양, 패턴, 옥의 다양한 조합과 사용 방법에는 관련 사상, 문화, 시스템이 담겨 있으며 중국 고유의 옥 문화를 구성합니다. 일찍이 신석기시대 초기에는 장신구와 의례용품을 중심으로 한 옥제품이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하상대까지 고대 조상들의 의식적인 미의식과 신앙심이 반영되어 있어 옥제품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 권력과 부의 상징으로 나타났으.. 2024. 12. 4.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1_청동시대(靑銅時代)1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1_청동시대(靑銅時代)#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2 고힐강(顧頡剛) 1893~1980.중국 현대 역대학자. 고사변학파의 창시자, 현대역사지리학과 민속학의 창시자이다. "겹겹이 조성된 중국의 옛역사" 학설을 제기하다. "자치통감"과 "24사의 표점을 주관하였고, "상서"를 전공하여 상주사(商周史) 연구에 중대한 공헌을 하였다. 中国现代历来学家。古史辯學派创始人、现代历史地理学和民俗学奠基人。提出“层累地造成的中国古史”学说。主持标点《资治通鉴》和《二十四史》, 专攻《尚书》, 对商周史研究做出了重大贡献。 # 이리두문화가 개척한 부실제도, 청동예기를 핵심으로 하는 기용제도와 초기국가의 운영 방식은 상업 시대에 한층 더 발전하였다. 언사(偃師)의 상나라 도성, 정주(鄭州)의 상나라 도.. 2024. 12. 3.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0_3층_택자중국(宅玆中國)2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0_ 택자중국(宅玆中國)2 #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 중국 하상주 3대 연대학을 연구하고 하대와 상대 전기 연대의 틀을 구축하며 상대 후기와 기원전 841년 전 서주 각 왕의 비교적 정확한 연대의 종합적인 과학 연구 프로젝트를 확정한다. 단대공정(斷代工程)에는 중국사회과학원, 중국과학원, 베이징대학 등 30여개 단위에서 약 200명의 학자가 참여하여 자연과학,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을 결합하고 역사학, 고고학, 문헌학, 고문자학, 역사지리학, 천문학과 측년기술 등 여러 학과가 연합하여 난관을 돌파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국가 "9.5" 계획의 중점과학기술난관 돌파 프로젝트이다. 1996년 5월에 정식으로 가동되였고, 2000년 11월에 정식으로 단계적성과를 공포하여 .. 2024. 12. 2.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9_3층_택자중국(宅玆中國)1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9_택자중국(宅玆中國)1 # 택자중국(宅兹中国) 하상주(夏商周) 3대는 중국 노예사회가 형성되고 발전하며 전성기를 향해 나아가는 역사 시기이자 중화민족 풍격 및 가치 취향과 문화구조의 형성 시기이다. 지금으로부터 3,800년을 전후하여 중원지역은 더욱 성숙된 문명형태를 형성하였고 문화영향은 사방으로 퍼져나갔다.상나라[商朝]는 갑골문(甲骨文)으로 세상에 유명했다. "갑골문은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견된 연대가 가장 오래된 성숙한 문자체계로서 한자의 근원이자 중화의 우수한 전통문화의 근간이다. 은허 갑골문의 중대한 발견은 중화문명, 나아가 인류문명발전사에서 획기적인 의의를 지닌다."주(周)나라 사람들은 기원전 1,046년에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진출하여 상(商)나라를 멸망.. 2024. 12. 1.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8_2층_문명기원(文明起源)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8_2층_문명기원(文明起源)8 #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8 #도적고사(陶的故事)_도기 이야기. 도자기의 발명은 인류문명 발전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서 인류가 불을 이용하여 처음으로 화학변화를 통해 하나의 물질을 다른 하나의 물질로 변화시킨 창조적활동으로 인류가 화학변화를 이용하여 물질의 천연속성을 변화시킨 발단이다. 도기의 발명은 인류의 생활 조건을 크게 개선하고 인류 생활사의 신기원을 열었다.도기는 우리나라[중국]가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 이행되는 과도기의 중요한 표지의 하나로서 점토에 찬(羼)을 첨가하여 바탕[胎]을 만들고 도토를 가공하고, 배토를 만들고, 장식을 하고 문양을 넣고, 구워성 모양을 만드는 등의 공정을 거쳐 만든다.신석기시대 초기 도기는 온도가 비교적.. 2024. 11. 30.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7_문명기원(文明起源)7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7_문명기원(文明起源)7 #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7 # 시기별문화 분류표.地区年代长江上游黄河上游黄河中游黄河下游长江中游长江下游西辽河约公元前5000年-前4000年?仰韶文化早期北辛文化汤家岗文化马家浜文化赵宝沟文化约公元前4000年-前3300年仰韶文化庙底沟类型大汶口文化早期大溪文化嵩泽文化红山文化约公元前3300年-前2700年马家窑文化仰韶文化 晚期大汶口文化中晚期屈家岭-石家河文化良渚文化小河沿文化约公元前2700年-前2300年庙底沟二期文化约公元前2300年 -前1800年宝墩文化齐家文化中原龙山 文化山东龙山文化后石家河文化钱山漾-广富林类型雪山二期约公元前1800年-前1500年二里头文化岳石 文化?马桥文化夏家店下层文化约公元前1500年-前1000年三星堆文化寺洼文化二里岗文化 # 고고학탐구는 중국 초기국가.. 2024. 11. 29. 2024_08_베이징_중국국가박물관을 찾아서_중국고대자기 2024_08_베이징_중국국가박물관_중국고대자기 # 중국고대자기전 두 번째 방문한 곳은 자금성 앞에 있는 베이징중국국가박물관이다. 우리나라의 한국국립중앙방물관과 같은 곳이다. 박물관의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1시간 남짓한 시간에 볼 수 있는 것과 볼 수 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았다. 지하에 있는 기본진열전시관은 베이징에 올 때마다 들렸기 때문에 이번에는 4층에 있는 특별전시관을 찾았다. 관람했던 당시 북16에는 , 북17에는 , 북18에는 중국고대복식문화>, 4층 북19에는 가 전시 중이었다. 이전에도 기본진열과 연초의 특별전에서 다양한 도자기를 보기는 했지만 고대부터 현대에 걸친 종합적인 전시는 처음이었다. 그래서 북17에 있는 에 마음이 닿았다. 이번에 전시된 유물은 해당 박물관 소장품 중 300여.. 2024. 11. 2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6_문명기원(文明起源)6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6_문명기원(文明起源)6#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6 # 중판화태(重瓣花朶)지금으로부터 5300년전을 좌우로 사회의 복잡화 과정이 가속화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인구가 조밀한 지역에서는 뚜렷한 사회변화가 나타났다. 하나의 중요한 현상은 성벽에 둘러싸인 지역중심이 분분히 나타났는데 그중 어떤 중심은 이미 초기 도시의 정치, 종교와 경제의 여러가지 기능을 갖추었다. 그와 함께 청동주조, 원시문자, 사회계층의 분화와 지역취락형태는 선사문화에 새로운 내연와 외연을 부여하여, 한편으로는 신석기시대의 사회가 복잡해지고 최초의 국가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조건이 축적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다른 한편으로는 앞으로 새로운 문명을 탄생시킬 요소들을 위해 원천을 모으고 있다. 문화 분포는 꽃잎처럼 피.. 2024. 11. 2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5_문명기원(文明起源)5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5_문명기원(文明起源)5#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5 중화문명탐원공정의 전칭은 "중화문명기원과 조기발전 종합연구"로서 국가 "9.5" 중점과학기술난제해결프로젝트 - "하상주단대공정"에 이어 국가가 지원하는 또 하나의 여러 학과가 중국고대의 력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중대한 과학연구프로젝트이다.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와 베이징대학 고고문박학원을 주요 담당단위로 고고학조사 발굴을 관련자료 획득의 주요 수단으로 하고 현대과학기술을 지탱으로 여러 학과가 교차연구의 방식으로 진행하며 국가 "十五" ,"十一五", "十二五" 과학기술 난관 돌파, 과학기술 지탱 프로젝트이다. 2002년 6월 말 탐원공사가 예비성 연구를 시작한 이래 2016년 12월까지 공사 4단계는 이미 순조.. 2024. 11. 2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0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9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0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9 # 자운풍화(瓷韻風華)2 # 3.2. 곡수유상(曲水流觴)- 도자기와 중국고대 술 문화(瓷器與中國古代酒文化) 중국은 미주(米酒:곡주)의 고향으로 술 제조 기술이 유구하다. 주기(酒器)는 술문화와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 위진과 수당 시기에는 도자기 술그릇이 나날이 발달했다. 송나라와 원나라 시대에 도자기 제조 산업이 발전하면서 도자기로 만든 주기(酒器)가 주류의 주구(酒具)였다. 증류기술이 중국에 도입된 후 전국에 보급되기 위해 도자기 주구의 규격도 그에 상응하여 변화가 생겼다. 이량을 피하기 위해 고족배 등 용량이 작은 자기질 주구와 권반 등 권주 공행. 명청시대 강서성 경덕진에서 구운 청화, 투채 등 자주기(瓷酒器) 등을 구워냈다.我國是.. 2024. 11. 26.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4_문명기원(文明起源)4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4_문명기원(文明起源)4#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4 # (기원전 5000~기원전 3000)# ◆ 陶人面像 얼굴은 풍만하고 콧날은 곧으며 아래턱은 약간 둥글고 꼭대기는 평평하며 이마앞머리는 줄무늬로 표시하며 검은 채색으로 눈썹과 수염을 그리고 눈과 입부분은 구멍을 뚫으며 두 귀는 납작하고 작은 구멍을 뚫었다. # 묘저구유지(廟底沟遺址) 기원전 4000~기원전 3500. 앙소문화 중기 하남성 삼문협시 호빈구의 묘저구라는 깊은 계곡 옆에 위치해 있으며 앙소문화 중기(약 기원전 4000~기원전 3500년) 의 대표적인 유적지에 속한다. 유적지 하층부는 대량의 꽃잎 무늬와 회전 연결무늬 채색도기를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복부가 휘어진 완(碗), 복부가 휘어진 분(盆),.. 2024. 11. 26.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3_문명기원(文明起源)3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3_문명기원(文明起源)3 # 신석기(新石器時代)3 기원전 4500~기원전 2800. # 내몽골자치구 적봉시 홍산구 영금하 남쪽 기슭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1963년에 100㎡를 발굴하였다. 출토된 윗부분이 붉은 완(碗) 형택의 도발(陶鉢), 비늘 모양 문양의 도관[鱗形紋陶罐] 홍산문화 중기의 전형적인 기물이다. # 位于内蒙古自治区赤峰市红山区英金河南岸坡岗上。于1963年发掘100平方米。出土的红顶碗式陶钵、 鳞形纹彩陶罐是红山文化中期的典型器物。 ◆ 붉은색 질 바리때[紅陶鉢] ◆ 채도관(彩陶罐) # 내몽골자치구 오한기 목우하(대릉하 북쪽 지류) 북쪽 비탈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발견된 홍산 문화 취락은 두 개의 환호(環壕:도랑)으로 각각 인접한 두 부분으로 둘러싸여 있다.. 2024. 11. 25.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2_문명기원(文明起源)2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2_문명기원(文明起源)2 # 신석기(新石器時代)2 # 산동성 등주시 동남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있으며, 면적이 약 5만㎡이고 북신문화 (약 기원전 5300~기원전 4300년)라는 이름을 얻었다. 돌칼과 낫, 조와 기장 유물, 집에서 기르던 돼지와 개가 출토되었다.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북신문화는 성별에 기반한 노동 분업을 보이지만 아직 뚜렷한 등급 분화는 없었다. # 位于山东省滕州市东南约25千米处, 面积约5万平方米, 北辛文化(约公元前5300~公元前4300年) 得名。出土了石刀和镰, 粟黍遗存, 家养的猪和狗。考古 研究表明, 北辛文化呈现出基于性别的劳动分工, 但尚无明显的等级分化。 ◆ 항아리 모양의 도정[罐形陶鼎] ◆ 아가리가 좁고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질 항.. 2024. 11. 24. 이전 1 2 3 4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