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고고박물관_중국역사연구원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0_3층_택자중국(宅玆中國)2

by isanjo 2024. 12. 2.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0_ 택자중국(宅玆中國)2

 

#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

 

중국 하상주 3대 연대학을 연구하고 하대와 상대 전기 연대의 틀을 구축하며 상대 후기와 기원전 841년 전 서주 각 왕의 비교적 정확한 연대의 종합적인 과학 연구 프로젝트를 확정한다. 단대공정(斷代工程)에는 중국사회과학원, 중국과학원, 베이징대학 등 30여개 단위에서 약 200명의 학자가 참여하여 자연과학,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을 결합하고 역사학, 고고학, 문헌학, 고문자학, 역사지리학, 천문학과 측년기술 등 여러 학과가 연합하여 난관을 돌파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국가 "9.5" 계획의 중점과학기술난관 돌파 프로젝트이다. 1996년 5월에 정식으로 가동되였고, 2000년 11월에 정식으로 단계적성과를 공포하여 ≪하상주년표≫를 제기하였다.
중국 고대 문명은 인류 역사상 4대 고대 문명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중국 고대 연표가 공인하여 근거로 삼을 수 있는 정확한 연대는 서주 말기의 공화 원년인 기원전 841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밖에 없었으며, 이전에 역사는 아직 연대학 척도를 세우지 못했다. 단대공사는 하조의 시작년대를 약 기원전 2070년, 하상분계를 약 기원전 1600년, 반경천은을 약 기원전 1300년, 상주분계를 기원전 1046년으로 초보적으로 확정하고 상후기 12왕의 대체적인 재위년대와 서주 10왕의 재위년대를 배출하였다.

 

研究中国夏商周三代年代学, 建立夏代和商代前期年代框架, 确定商代后期和公元前 841 年前西周各王比较准确年代的综合性科研项目。断代工程有来自中国社会科学院、中国科学院、北京大学等30多个单位约200位学者参与,采用自然科学、人文科学和社会科学相结合, 历史学、考古学、文献学、 古文字学、历史地理学、天文学和测年技术等多学科联合攻关的方法进行, 是国家“九五”计划重点科技攻关项目。1996年5月正式启动,2000年11月正式公布阶段性成果, 提出《夏商周年表》。

中国古代文明是人类历史上四大古代文明之一。但长期以来, 中国古代年表公认可依据的确切年代, 只能追溯到西周晚期的共和元年即公元前841年, 此前历史尚未建立起年代学标尺。断代工程初步确定夏朝起始年代约为公元前 2070年, 夏商分界约为公元前1600年, 盘庚迁殷约为公元前1300年, 商周分界为公元前1046年, 并排出商后期十二王大致在位年代和西周十王在位年代。

 

 

◆ 동작(銅爵)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곽말약(郭沫若) 1892~1978.

중국 현대 역사학자, 고문자학자, 문학가, 사회활동가.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으로 중국 역사 연구를 지도하고, "중국 고대사회 연구", "노예제 시대" 등 여러 부의 사학 논저 및 "갑골문자연구", "은주 청동기 명문 연구" 등 고문자 논저를 가지고 있으며, 개척분야는 고문자와 고기물 연구와 역사 연구를 결합시켰다.

 

中国现代历史学家、古文字学家、文学家、社会活动家。以马克思主义唯物史观指导中国历史研究, 贊寫了《中国古代社会研究》《奴隶制时代》等多部部史学论著, 以及《甲骨文字研究》《殷周青铜器铭文研究》等古文字论著, 创造性地把古文字、古器物研究与历史研究相结合。

 

 

 

# <건중입극(建中立極)>

 

만방이 즐비하고 "만천성두"의 용산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화하문명은 점차 다원화된 고국시기에 의해 일체화된 왕조시기에 들어섰다. 중원의 중심부에 위치한 숭산 주변에는 신자(新砦)와 이리두(二里頭) 2개의 초대형 도읍지가 잇따라 부상했다. 이리두문화는 마치 "신생 왕권국가"의 대변인 것 같다. 그것은 비길 데 없는 창조력으로 화하문명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그것은 거대한 문화 감화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심지어 막을 수 없이 사방으로 대규모로 뻣어나가, 그 영향은 북쪽으로는 연산 이북, 남쪽으로는 장강유역에 이르렀으며 심지어 영남 이남, 동쪽은 하남성과 산동성 접경, 서쪽은 감청고원 일대에 달한다. 어디가 중원인가? 어디에서 중국이라는 말이 왔나? 이리두문화는 우리에게 끝없는 사고를 가져다 준다.

 

# <建中立極>

随着万邦林立、“满天星斗”的龙山时代落下帷幕, 华夏文明逐渐由多元的古国时期进入一体的王朝时期。在位于中原腹心地区的嵩山周围, 新砦和二里头两个超大型都邑相继崛起。二里头文化似乎就是“新生王权国家” 的代言, 它以无与伦比的创造力, 开创了华夏文明新篇章, 它拥有巨大的文 化感召力, 甚至势不可挡地向四周大规模辐射, 其影响北达燕山以北, 南至整个长江流域甚至岭南以南, 东及豫鲁交界, 西到甘青高原一带。何为中原? 何来中国?二里头文化带给我们无尽思考。

 

 

# <택자중국(宅玆中國) 전범초성(典範初成)>

"중국" 이라는 단어는 서주 초년 청동기 "하존"의 명문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다. 길이가 122자에 달하는 명문은 주무왕이 상을 멸망시킨 후 동도(東都)를 건설하는 이 중대한 결정을 내린 경과를 서술한다. 명문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말이 남아 있는데  "나는 그 집이 나라의 가운데 있으니 여기에서 백성을 다스리겠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천하의 중심에 도읍하여 이곳에서 천하를 통치하는 사람을 뜻한다. 명문 중의 "중국"은 바로 낙읍이 소재한 중원의 중심지인 낙양분지이고 이리두유지는 바로 낙양분지 내의 최초의 대형 도읍이다.

 

# <宅玆中國 典範初成>

“中国”一词最早见于西周初年青铜器“何尊”的铭文。 长达122 字的铭文, 讲述了周武王在灭商之后作出营建东都这一重大决策的经过。铭文中留下了祭告上天的话: “余其宅兹中国, 自之薛(乂)民”, 意思是建都于天下的中心, 在这里统治天下之人。铭文中的“中国”即为洛邑所在的中原腹 地——洛阳盆地, 而二里头遗址恰恰就是洛阳盆地内最早的一座大型都邑。

 

 

# <何尊銘文>

"왕이 처음으로 성주로 거처를 옮기고, 다시 무왕이 예복을 하늘로부터 받았다. 4월 병술일에 왕은 경실(京室)에서 종소자에게 훈계하였다.  ‘옛날 너의 아버지 공씨가 문왕을 도와 큰 임무를 받았다. 무왕이 대읍인 상을 정복한 후에는 하늘에 고하고 말하였다. ‘내가 이 가운데 거처하고, 이 땅에서 백성을 다스리겠다.’  아! 너희는 소자는알지 못는 것이 있거든, 공씨를 바라보며 하늘의 뜻을 받들어 명령을 공경히 받들고 존경히 봉사하라!’ 왕은 훈계를 다하고 하(何)에게 조개[화폐] 30붕을 하사하여 공의 보물과 준이(尊彝: 제기)를 만들게 하였다. 왕은 오사(五祀)에  제사를 올렸다."
唯王初堙(遷)宅於成周,復稟武王禮福自天。在四月丙戌,王誥宗小子於京室曰:“昔在爾考公氏,克逑(仇)文王,肆文王受茲大命。唯武王旣克大邑商,則廷告於天,曰:‘余其宅茲中或(國),自茲乂民。’嗚呼,爾有唯小子亡識,視於公氏,有庸於天,徹命敬享哉!助王恭德欲天,臨我不敏。”王咸誥,何賜貝卅朋,用作□公寶尊彝。唯王五祀。

 

*붕(朋): 조개 10개 1붕. 양쪽에 각각 5개씩이다.

 

 

# <이리두유지>
중원의 중심지인 낙양분지라는 최초의 "중국" 구역 내 최초의 대형 도읍으로 현존하는 면적은 약 300만이다. 그 이름을 딴 이리두문화는 일반적으로 하왕조 말기 유물에 속한다고 여긴다. 도읍을 비록 도성이라고 하지만 상고시대에 주요 도읍은 외곽성을 쌓지 않았는데, <이러한 형태는> 이리두에서 은허시기까지, 서주시기 3개의 도읍에 이르기까지, 진나라의 함양과 한나라의 장안과 낙양에 이르렀다. 이 "대도무성"의 전통은 바로 화하왕조문명이 국세의 강성한 상승기에 일종의 문화자신감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리두 도읍은 바로 이 문화 전통의 시작이다.

 

# <二里头遗址>

中原腹地洛阳盆地这一最早的“中国”区域内最早的一座大型都邑, 现存面积约300万平方米。以其命名的二里头文化, 一般认为属夏王朝晚期遗存。都邑虽称为都城, 但在上古时期, 主要都邑却往往不筑外郭城, 从二里头到殷墟, 到西周三都, 到秦咸阳、汉长安与洛阳。这一“大都无城”的传统, 恰恰彰显了华夏王朝文明在国势强盛上升期的一种文化自信。而二里头都邑, 就是这一文化传统的肇始。

 

 

# 이리두유지.

 

 

◆ 동월(銅鉞)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동족(銅鏃)_구리 화살촉.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동거(銅鋸)_구리 톱.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동도(銅刀)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좌: 동착(銅鑿)_구리 끌. / 우: 동산(銅鏟)_구리 대패.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녹송석 복원.

 


◆ 석월(石鉞)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거친 백옥을 소재로 제작되었다. 양면에 칼날, 중간 부위에 하나의 큰 둥근 천공이 있다. 양쪽에 6개의 돌출된 모가 있다.

# 粗白玉料制成。双面刃,中间部位有一大圆穿孔。两侧有六条突起的棱。

 


◆ 상: 삼공석도(三孔石刀)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하: 삼공옥도(三孔玉刀)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_ 二里头文化 (约公元前1750~公元前1530年) 河南偃师二里头遗址  

 

# 청색, 긴 사다리꼴, 곧은 등, 곧은 칼날, 등이 칼날보다 짧다. 양쪽 옆에는 각각 2쌍 4개의 치비가 있고, 날쪽에서 등에 가까운 곳에 3개의 천공이 같은 간격으로 있다.
# 青色, 长梯形, 直背, 直刃, 背短于刃。两侧各有二组计四颗齿扉, 刀面近背部有三 个等距穿孔。

 


삼공석도(三孔玉刀)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옥월(玉鉞)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옥척(玉戚)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석경(石磬)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옥령설(玉鈴舌)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옥령설(玉鈴舌)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무덤 밑 가운데 부분에서 약간 남쪽에 위치한 짐승엄굴 동패(銅牌) 장식과 동령(銅령鈴) 사이에 전체가 광택을 내고 옅은 먹색을 띠며 양쪽 끝이 평평하고 중간에 천공이 있다.

# 位于墓底中部略偏南的兽面铜牌饰与铜铃之间, 通体磨光, 呈淡墨色, 两端平, 中间 有穿孔。

 


◆ 도훈(陶塤)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삼족도반(三足陶盤)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도정(陶鼎)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도작(陶爵)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부가퇴문 도정(附加堆紋陶鼎)_더미 무문양이 붙어 있는 도정.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 도고(陶觚)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도화(陶盉)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도화(陶盉)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진흙으로 만든 흑도로 정(頂)과 유선(流線)이 있다. 기물의 복부는 배(杯)  모양이고 바닥은 가늘고 긴 주머니발이며, 넓은 띠 형태의 귀가 있는데 귀와 복부의 벽 사이에는 2개의 작은 원주(圓柱)가 연결되어 있다.기물의 표면은 광택이 나며, 꼭대기와 복부 사이에 돌출된 모가 있다. 귀 장식에 무늬를 새겼으며 당(檔:가로대)와 귀 윗부분에 리벳 장식이 있다.
# 泥质黑陶、顶和流线。器腹为杯状、底为细长袋足,宽带耳、耳和腹壁间有二小圆柱相连。器表磨光、顶腹间有突棱、耳饰划纹、档和耳上部有铆钉饰。

 


도화(陶盉)의 뚜껑. 

 


◆ 도규(陶鬹)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도가(陶斝)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도배수관(陶排水管)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대구도준(大口陶尊)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대구도준(大口陶尊)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표면에 더미 문양이 있다.

 


대구도준(大口陶尊)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각조도분(刻槽陶盆)1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아가리 부분에 대왕조개의 껍질처럼 notch가 있다.

 


◆ 각조도분(刻槽陶盆)2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각조도분(刻槽陶盆)3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각조도분(刻槽陶盆)4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감녹송석수면문동패식(嵌綠松石獸面紋銅牌飾)1_녹송석으로 짐승의 얼굴을 상감한 구리 패식.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대칭되는 아치형 구리 바탕에 짐승의 얼굴무늬를 주조하고 다시 수 백개의 작은 녹송석 조각으로 그 위에 상감하여 혼원(渾圓)한 녹송석 구슬로 눈동자를 만들어 기이한 신수의 형상을 그려냈다. 상감 녹송석 동패식은 중국 최초의 "쇠에 옥을 상감한" 예술품이다. 이리두시기 녹송석 용모양 기물과 구리에 녹송석을 상감한 동패식은 상주시기 청동기에서 짐승얼굴을 주제로한 효시를 열어놓았다.
微拱的弧形铜胎上铸出兽面纹, 再以数百枚细小的绿松石片镶嵌其上, 以浑圆的绿松 石珠为睛, 勾画出奇异的神兽形象。镶嵌绿松石铜牌饰, 是中国最早的“金镶玉”艺术品。 二里头绿松石龙形器和嵌绿松石铜牌饰, 开创了商周青铜器上兽面母题的先河。

 

 


◆ 감녹송석수면문동패식(嵌綠松石獸面紋銅牌飾)2

- 이리두문화

- 하남 언사 이리두유지

 

# 둥근 모서리 사다리꼴에 기와 모양이 융기되어 양쪽에 각각 두 쌍이 있다. 청동으로 주조하여 짐승문양을 아로새기고 골격을 만들고 녹송석 조각을 상감하였다. 출토할 때에는 녹송석 조각이 모두 공중에 떠 있었다. 짐승의 얼굴은 두 눈을 동그랗게 뜨고, 눈썹을 구부러져 있고, 호랑이 코 모양은 곧은 코이며, 아래턱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고, 몸은 비늘 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다. 상감한 400여 개의 긴 가지형태, 사각형과 삼각형의 녹송석 조각은 두께가 약 0.2이고 큰 것은 0.5 내외이며 배렬이 치밀하고 질서정연하며 상감이 아주 튼튼하다.

 

# 圆角梯形, 瓦状隆起, 两侧各有二组。以青铜铸成兽纹镂空框架, 镶嵌以绿松石片。 出土时绿松石片全部悬空(原来或有依托)。兽面两眼圆睁, 弯眉, 虎鼻状直鼻, 下颌 有利齿, 身有鳞状斑纹。所嵌四百余块长条形、方形和三角形绿松石片, 厚约0.2厘米, 大者仅0.5厘米左右, 排列致密有序, 镶嵌十分牢固。

 

 

 

# <사방폭사(四方幅射) 대국추형(大國雛形)>

이리두도읍과 수천 떨어진 내몽골 오한기 대전자유지는 하가점 하층문화(약 기원전 1800~기원전 1300년)에  속한다. 이곳에서 발견된 이리두문화풍격의 도작(陶爵), 도규(陶鬹)와 짐승얼굴문양 채회도기는 해당 지역의 일부 상층인물만이 보유할수 있는 특수한 예기이다. 채회도기의 짐승얼굴문양은 이리두문화의 짐승얼굴문양과 매우 비슷하다. 중원 왕조의 음주 예의가 상당히 완전하게 '모방'될 수 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다.

 

# <四方幅射 大國雛形>

与二里头都邑远隔数千千米的内蒙古敖汉旗大甸子遗址, 属于夏家店下层文化(约公元前1800~公元前1300年), 这里发现的二里头文化风格的陶爵、慧和兽面纹彩绘陶器, 是只有当地某些上层人物才能拥有的特殊礼器。彩绘陶器上的兽面纹, 与二里头文化的兽面纹十分相似。有理由相信, 中原王朝的饮酒礼仪, 可能被相当完整地“照搬”过来。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