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고고박물관_중국역사연구원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2_청동시대(靑銅時代)2

by isanjo 2025. 1. 20.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2_청동시대(靑銅時代)2

 

 

◆ 사모신동방정(司母辛銅方鼎)
- 하남 안양 은허 부호묘(河南安陽殷墟婦好墓)
- 상나라(约公元前1600-公元前1046年)

 

 


◆ 사치모동방호(司qiao母銅方壺)

 

 

# <금옥진위>

 무정의 아내로서 부호는 남편의 은총을 누리며 왕위 계승자를 낳는 중책을 맡고 있습니다. 한 나라로서 그녀는 여러 가지 궁정 사무에 참여해야 한다. 부호는 자기의 봉지가 있으니 제도에 따라 상(商) 왕실에 공물을 바쳐야 한다.


# <金玉珍玮>

作为武丁的妻子,妇好享受着丈夫的恩宠,承担着生育王位继承人的重任。作为一国之后, 她要参与多种宫廷事务。妇好有自己的封地,也要遵从制度,向商王室纳贡。

 

◆ 부호동월(“妇好”銅鉞)

 

 

# 옥기(玉器)
- 하남 안양 은허 부호묘
- 상나라

 

◆ 동규(銅圭)

 



◆ 좌: 용형옥황(龍形玉璜)

◆ 우: 옥황(玉璜) 

 


◆ 후좌: 옥벽(玉璧) /  중: 옥환(玉環) / 우: 옥원(玉瑗)

◆ 전좌: 옥종(玉琮) /  중: 소 옥종(小玉琮) / 우: 옥원(玉瑗)

 


◆ 동작(銅爵)

 

 

# <<옷감>
상나라 귀족들은 주로 비단, 세갈(가늘칡베), 모시, 피모 등 화려한 복식을 입었는데, 중상층 귀족들은 특히 좁고 긴 소매와 짧은 옷을 유행시켰고, 복식은 빨간색, 검은색을 유행시켰다. 하층민들은 굵은 칡과 굵은 삼의 옷을 입는다.

 

# <服饰衣料>

商代贵族主要穿戴丝绸、细葛、苎麻、皮毛等华贵服饰,中上层贵族尤为流行窄长袖短衣,服饰流行红、黑色。下层民众则穿粗葛、粗麻之衣。

 


◆ 부호동두(婦好銅斗)

 


◆ 좌: 동부(銅瓿)  / 우: 부호동방이(婦好銅方彝)

 


◆ 좌: 도훈( 陶塤)  / 중: 동다구형기(銅多鉤形器)  / 우: 부호동기형기(婦好銅箕形器)

 


◆ 동편요(銅編鐃)

 


◆ 1. 부호동원정(婦好銅圓鼎),       2. 훼뉴권족동굉(虺鈕圈足銅觥)

    3. 부호평저동화(婦好平底銅盉), 4. 사모신고권족동기(司母辛高圈足銅器) 동치(銅觶)

 


◆ 부호동언(婦好銅甗)

 


◆ 좌: 기족동정(夔足銅鼎)     /     우: ◆ 부호동언(婦好銅甗)

 


◆ 1. 부호누공동고(婦好鏤空銅觚),      2.  동고(銅觚),         3. 동경(銅鏡)
    4. 동도(銅刀),          5. 용두제량유(龍頭提梁卣)

 


◆ 옥식(玉飾)

 


◆ 좌: 옥병형기(玉柄形器) / 우: 결형옥룡(玦形玉龍)

 


◆ 각종 옥형기

 


◆ 대개석치(帶蓋石觶)

 


◆ 좌: 옥계(玉筓), 금립응옥계수(金立鹰玉筓首),기수골계(夔首骨筓)
    우: 옥반(玉盤), 옥조색반(玉調色盤), 어형옥이작(魚形玉耳勺)

 

 

# <옥장식>

부호묘에서 대량의 장식 옥기가 출토되었다. 동물 조형의 장식용 옥에는 신화적 색채가 짙은 용, 괴조 등 소량의 소재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현실 생활 속의 동물이다. 예를 들어 호랑이, 코끼리, 소, 개, 사슴, 양, 곰, 토끼, 앵무새, 물고기 등이다.

 

# <玉之装饰>

妇好墓出土了大量装饰玉器。动物造型的装饰用玉中除少量具有浓重神话色彩的龙、怪鸟等题材外,大多为现实生活中的动物,如虎、象、牛、狗、鹿、羊、熊、兔、鹦鹉、鱼等。


◆ 각종 옥장식.

 

 

부호동방가(婦好銅方斝)

 


부호동방뢰(婦好銅方罍)

 

 

부호편원동호(婦好扁圓銅方壺)

 

 

# # 갑신복, 각정: 부녀자 분가? 왕점: 그 유정은 산가합니다.그는 경산 홍길이다.삼순 또 하루 갑인이 분만하여 가증스럽지 않고 오직 여자뿐이다.갑신복, 각정: 여자는 분만하지 않는 것이 좋다.삼순 또 하루 갑인이 분만하다.윤불가, 유녀.
이 갑골은 무정이 부인의 분만을 점치는 상황을 기록하였다.먼저 복점쟁이 부인이 곧 분만할 것인지, 무정이 점을 치는 징조는 정해일에 분만하여 남자아이를 낳고, 경인일에 분만하여 대길을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결국 부인은 31일이 지난 갑인일에 여자를 낳았고, 불길했다.

 

# 甲申卜,壳贞:妇好娩嘉?王占曰:其唯丁娩嘉。其为庚娩,弘吉。三旬又一日甲寅娩,不嘉,唯女。甲申卜,壳贞:妇好不其娩。三旬又一日甲寅娩。允不嘉,唯女。

这片甲骨记载了武丁占卜妇好分娩的情况。先由卜卦人ト妇好是否即将分娩,武丁占卜的兆相显示在丁亥日分娩生男孩,庚寅日分娩大吉。结果妇好在三十一天之后的甲寅日生了女孩,不吉。

 

 

#<비극애영(備極哀榮)>
하늘이 시간을 빌려주지 않으니, 부호는 무정 중기에 영원히 세상을 떠났다. 비통한 무정은 아내를 왕릉구역에 장사하지 않고 궁전구내, 지원(池苑) 가에 장사하였고 묘에는 향전(享殿)을 세워 무정과 후손들이 추모하고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부부의 음과 양을 사이에 둔 슬픔을 차마 참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여전신(女戰神)을 등에 업고 사직을 지키려는 무정의 기대를 보여준다.

 

"정유에 점을 쳤다. 빈정: 부호가 임신할 수 있습니까? 왕점왈: 길하다. 그는 임신할 수 있다"

 이 조각 갑골에 기록된 내용은 봉인이 부호가 임신을 할 수 있는지를 물었는데, 무정이 점을 치는 조상은 부호이 이미 임신했고, 길하다라는 것이다. 무정은 부호가 낳고 기르는 일을 위해 매우 부지런히 점을 쳤는데, 현재 보이는 복사는 30여 개에 달한다. 점괘 내용은 임신 여부, 보태를 위한 제사 여부, 임신했을 때 생명이 위험한지, 출산 예정일 추산, 남자인지 여자인지를 추정하는 등 매우 상세했다.

 

# <备极哀荣>
天不假年,妇好于武丁中期长辞人世。悲痛的武丁没有将妻子葬在王陵区,而是葬在了宫殿区内、池苑之畔,墓上建起享殿,供武丁与后代追思祭拜妇好。这体现了武丁既不忍夫妻阴阳相隔的悲情,又依仗女战神守护社稷的期许。
"丁酉卜,宾贞:妇好有受生? 王占曰:吉,其有受生"

这片甲骨记载了卜卦人问妇好是否怀孕,武丁占卜的兆相是妇好已怀孕,吉。武丁为妇好生育之事占卜甚勤,目前所见卜辞多达 30 余条。占卜内容非常详细,包括是否怀孕、是否为保胎举行祭祀、怀孕是否有生命危险、推算预产期、推测生男生女等。

 


◆ 동원정(銅圓鼎)

 

 

#<상대인 순인 가축 제도>
사람을 순장하는 것은  씨족의 수령, 군주 또는 고위층 귀족이 죽은 후 그 근친, 근신(近臣)과 근시(近侍:시종) 등이 그를 따라 함께 매장하는 것을 말한다. 사람과 가축은 살아있는 사람으로 조상, 신령 또는 자연계 만물에 제사를 지내는데 피살된 사람은 주로 포로와 노예이다. 사람을 순장하고 사람을 희생물로 쓰는 것은 신석기 시대에 출현하여 상나라 시대에 이르러 하나의 제도가 되어 널리 유행하였다.

상나라 초기와 중기의 채용 수량이 비교적 적었고 반경이 은나라로 이사한 후 성행하여 채용 수량이 최고에 이르렀으며 무정 이후 점차 감소되었다. 상왕과 귀족 노예를 주인의 무덤에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순장하는데, 부호의 무덤에는 16명이 순장되었다. 상왕과 귀족 노예의 주인은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신에게 기도하며 궁실을 건축하고 풍년을 기원하고 비가 내릴지를 물을 때 사람과 가축을 사용하는데 그 유적은 무덤 내외와 건축터 안쪽과 그 부근에 보인다. 상대에 사람의 순장과 사람을 희생으로 쓴 유적은 하남, 하북, 산동, 강소, 호북 등지에서 모두 발견되었는데, 특히 상대 말기의 도성 소재지인 은허가 가장 많다.

 

# <商代人殉人牲制度>
人殉是指氏族首领、君主或高层贵族死后,其近亲、近臣和近侍等随其同葬; 人牲是用活人来祭祀祖先、神灵或自然界万物,被杀的人主要为战俘和奴隶。人殉和人牲出现于新石器时代,至商代成为一种制度并广泛流行。商代早、中期用人数量较少,盘庚迁殷以后盛行,用人数量达到顶峰,武丁之后逐渐减少。商王和贵族奴隶主墓葬中一般都有人殉,妇好墓内即殉葬16人。商王和贵族奴隶主在祭祀祖先、祈祷神灵、建筑宫室和求年问雨时要使用人牲,其遗迹见于墓葬内外和建筑基址内及其附近。商代人殉和人牲遗迹在河南、河北、山东、江苏、湖北等地均有发现,尤以晚商都城所在地殷墟为最。

 

 

◆ 유골.

 

 

# <호후선> (1911-1995)

중국 현대 역사학자, 갑골학자. 갑골학의 개척자와 창시자 중 한 명이다. 《갑골문합집》의 편집을 주관하였다. 은허의 복사와 같은 글자의 사례와 다섯 가지 갑골기사의 새긴 내용을 발견하고 복사에 보이는 상제와 사방의  풍신(風神)을 깊이 연구하였다. 은허 고고학 및 국내외 갑골 수집, 정리와 연구 방면에서 걸출한 공헌을 하였다.

 

# <胡厚宣(1911-1995)>

中国现代历史学家、甲骨学家。甲骨学的开拓者与奠基者之一。主持编辑《甲骨文合集》。发现殷墟卜辞同文例、五种甲骨记事刻辞,深入研究卜辞所见上帝、四方风神。在殷墟考古及海内外甲骨搜集、整理与研究方面做出了杰出贡献。

 

 

◆ 각종 청동기

 

 

# 의례를 정하고 음악을 만들어 문질이 빈빈하여 주례가 욱욱하였다. 그러나 서면문자는 들을 수는 있었지만  볼 수는 없었다.

# 制礼作乐,文质彬彬,周礼郁郁,但书面文字可闻而不可见。

 

# 서주의 예기는 청동기와 옥기가 가장 중요하며 그 조형이 우아하고 장중하여 당시의 문화특질을 구현한다.천년 동안 잠들어 있던 이 문물들의 유광(流光)이 넘치고, 옥진금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을 볼 수 있다.

 

# 西周礼器以青铜器和玉器最重要,其造型典雅庄重,体现当时的文化特质。且看这些沉睡千年文物的流光溢彩,倾听玉振金声。

 

◆ 

 

 


# 용종(甬鐘)의 각 부위 명칭.

 


◆ 청동편종(靑銅編鐘)

 

 


◆ 석편경(石編磬)

 

 

# <낙양의 동주시기 왕성>
기원전 770년 서주 왕실이 낙읍으로 동진하면서 중국 역사는 동주시대에 접어들었다.
낙양 동주 왕성은 동주의 도성으로 하남성 낙양시 간하(澗河) 양쪽 언덕에 위치한다. 성터의 평면은 직사각형에 가깝고 동서는 2,900m에 가까우며 남북은 약 3200m이다. 성벽은 춘추 중엽 이전에 세워져 전국에서부터 진나라와 한나라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왕성의 궁전 건축은 주로 성터의 남쪽이나 중부에 분포한다.  성터 서부와 중부에는 요장, 골기와 석기 가공장, 야철 작업장 등이 있고 남부에는 곡창 유적지가 있다.성내에는 대형무덤과 차마갱이 분포되어 있거나 왕릉구와 고급귀족묘지가 있다. 성 중부에서는 동주시기 중소형묘 260기가 발굴되어 중원지역 동주묘의 단대 척도가 됐다.

 

# <洛阳东周王城>

公元前 770 年西周王室东迁洛邑,中国历史进入东周时期。

洛阳东周王城为东周都城,位于河南省洛阳市区涧河两岸。城址平面近方形,东西近2900米,南北约3200米。城墙建于春秋中叶以前,战国至秦汉之际曾多次修补。王城宫殿建筑主要分布在城址偏南或中部。城址西部和中部有窑场、骨器和石器加工场、冶铁作坊等,南部有粮仓遗址。城内分布有大型墓葬和车马坑,或为王陵区和高级贵族墓地。在城中部曾发掘260座东周中小型墓,成为中原地区东周墓的断代

 

 

# <장가파 묘지>
이 묘지는 풍호유적지 내 서주시기의 대형 묘지로서 섬서성 서안시 장안구 장가파촌에서 대원촌까지의 고지에 위치하여 있다. 서주의 무덤은 천기에 달하며 쌍묘도나 단묘도를 띤 대형무덤, 세로 혈토갱묘와 동실묘가 있다. 대형 무덤은 구리 예기, 옥기, 차마기 및 차 등을 수장하고, 무덤 옆에는 말 구덩이나 차마 구덩이가 있으며, 소형 무덤은 도기만 수장하였다. 장가파촌의 서쪽은 정숙(井叔)의 가족묘지로서 쌍묘도대묘 한기, 단묘도대묘 3기, 비교적 큰 세로혈묘와 차마갱을 포함하는데 이런 무덤에는 대부분 정숙이 직접 만든 청동예기가 나온다.

 

# <张家坡墓地>

是丰镐遗址内西周时期的大型墓地,位于陕西省西安市长安区张家坡村至大原村间的高地上。西周墓葬近千座,有带双墓道或单墓道的大型墓葬、竖穴土坑墓和洞室墓。大型墓葬随葬铜礼器、玉器、车马器及车等,墓旁有马坑或车马坑,小型墓只随葬陶器。张家坡村西为井叔的家族墓地,包括一座双墓道大墓、三座单墓道大墓、若干座较大型的竖穴墓和车马坑,这些墓葬中大都出有井叔自作的青铜礼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