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218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3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3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7  # 조경루빙(雕琼鏤冰)*이는 작품의 풍격이 명결하거나 구상이 참신하고 정교함을 비유하는것으로서 명 (明) 나라 양신 (楊愼) 의 ≪ 승암시화 (承庵詩話) · 손기의 평시 ≫ 에서 나왔다. # 옥 조각의 예술성 상고시대에 사람들은 아름다운 돌을 옥으로 여겼다. 춘추시대 이후 광물학 지식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점차 섬석(閃石)을 진옥(眞玉)으로 인식하는 개념을 확립하였고, 그 밖에 옥과 유사한 색의 돌을 "민(珉)"이라고 불렀다. 이처럼 옥과 같은 색깔의 돌은 각자 명칭이 생기게 되었다. 예를 들면 벽전자(碧甸子), 마노(馬瑙), 수정(水精), 수산석(壽山石) 등과 같은 돌은 전통적으로 이러한 옥과 비슷한 색깔의 돌은 종종 가공 및 조각을.. 2024. 12. 10.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2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6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2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6 # 코담배 병_스너프 병명말 청초에는 코담배가 유럽에서 중국으로 유입되면서 국산화된 코담배병이 탄생하게 되었다. 옥으로 만든  코담배병은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솜씨 좋게 만들었기 때문에 황궁 귀족들의 생활 필수품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포상이나 선물로도 자주 사용되었다. 옥으로 만든 코담배병은 주로 청나라 궁내 제조소에서 생산되었으며, 골동품, 초생(肖生), 내채(內彩) 등이었으며, 문식은 전통적인 도안 이외에도 시나 축하의 글 등이 있었다.   # 산자(山子)_산 모양의 옥 바위 산자(Shanzi)는 산과 숲의 풍경을 표현하기 위해 원조(圓雕:둥글게 새김) 기법을 사용한 옥장식품이다. 옥에는 산, 숲, 인물, 동물, 시냇물 등이 층층이 뚜렷.. 2024. 12. 9.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1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5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1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5 # 만당경화(滿堂琼華)_제4단원- 제국의 사치에서 대중적 우아함으로[滿堂琼華]- 옥은 한나라(기원전 202년~서기 220년)때부터 귀중한 생활용품과 감상용 물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옥재의 진귀함과 관청의 통제로 인해 이러한  유의 옥은 주로 제왕과 귀족의 집에서 유행했으며 그 수량도 제한되어 있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두 시대에는 중국 고대 옥기 발전의 정점으로, 옥기 제품의 종류와 수량에 있어서 이전 각 왕조를 능가했다. 이 한 시기의 옥기 제작은 정교함에 우아함과 소박함을 동시에 강조하여 궁궐의 옥과 민간의 옥이 모두 보조를 맞추는 모습을 보여준다. 과거를 계승하여 새롭게 고풍스러운 이기(彝器), 정교하고 화려한 생활 옥기, 우아하고 고고.. 2024. 12. 8.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0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4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0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4  # 제3단원 임랑길옥(琳琅吉玉)_화려한 길조의 옥.수나라(581-618)와 당나라(618-907) 이후 전통적인 의례제도가 변형되면서 옥기의 예의 특징 또 차츰 옅어져, 종(琮), 결(玦), 황(璜) 등 옥기류의 기본이 사라지면 옥대, 모정(帽頂)  등 신분을 나타낼 수 있는 옥기류가 출현하였다. 옥기의 신비로운 색채가 사라지면서 옥은 점차 일상 생활에서 상서로움 기물이 되었으며 아울러 가면 갈 수록 속세에서는 진귀한 것이 일생활에 사용되게 되었다.당대(唐代)에는 사회는 개방적이고 문화는 포용적이어서 양주 지역에는 옥을 가공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이 시기의 옥기 공예는 솜씨가 뛰어나고 풍격이 웅장하고, 유형이 다양했는데, 화훼(花卉), 조.. 2024. 12.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9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3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9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3 # 제2단원_당황옥례(堂皇玉禮)_의식적 상징으로서의 옥.- 서주시기(西周:기원전 11세기경~771년)에는 종법제[혈통]과 위계[등급제]에 중점을 둔 의례제도가 확립되었다. 옥기는 예전의 물질적 상징이 되었으며, 복잡한 사용 규범이 형성되었다. 통치계급이 천하를 다스리는 도구가 되었다. 옥을 가공하는 기술은 날이 갈수록 더 다양해졌고, 이중선을 새기는 기술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처음으로 입체적 효과를 보이기 시작했다. 동주 왕조(기원전 770-221년)이 쇠퇴하면서 사회질서와 예의제도는 체제의 속박에서 벗어나  점차 각각의 제후와 경대보가 자신의 세력을 공고히 하는 정치적 무기로서 옥벽(玉璧) 등 귀종한 옥기와 금은, 거마를 동일하게 제후 .. 2024. 12. 6.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8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2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8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2 ◆ 조문석경(鳥紋石磬)_새 무늬를 새긴 석경.- 상나라 (기원전 16세기경 ~ 기원전 11세기) 1976년 허난성 안양시 부호묘 출토.경은 일종의 편(片) 형로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석재를 매달아 두드리는 타악기로, 고대의 종교의례에서 유래되었다. 왕조가 출현한 이후 경(磬)은 권력 귀족계측의 전당에서 잔치ㆍ종묘의 제사ㆍ조빙(朝聘) 예의 활동 중에 연주하였는데, 국가의 형상과 통치자의 신분ㆍ지위를 상징하는 의식 도구가 되었다.   ◆ 척(戚)- 이리두문화(二里頭文化:얼리터우 문화)- 기원전 18세기경~기원전 16세기.-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장식이 있는 구부러진 월(鉞)은 또 척(戚)이라고 칭한다. 척은 일반적인 월에 비해 좀더 화려하고.. 2024. 12. 5.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7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7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1   # 머릿말. - 옥 문화는 중국 전통문화의 중요 구성 부분이다. 옥석은 아름답고, 따뜻한 외관, 견고한 질감, 순수한 색상을 갖고 있으며, 하늘과 땅의 본질을 구현하며 중국인의 정신적 추구와 매우 일치합니다. 중국의 옥 생산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품종이 풍부하고 특징이 뚜렷하다. 옥의 다양한 재료, 모양, 패턴, 옥의 다양한 조합과 사용 방법에는 관련 사상, 문화, 시스템이 담겨 있으며 중국 고유의 옥 문화를 구성합니다. 일찍이 신석기시대 초기에는 장신구와 의례용품을 중심으로 한 옥제품이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하상대까지 고대 조상들의 의식적인 미의식과 신앙심이 반영되어 있어 옥제품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 권력과 부의 상징으로 나타났으.. 2024. 12. 4.
2024_08_베이징_중국국가박물관을 찾아서_중국고대자기 2024_08_베이징_중국국가박물관_중국고대자기 # 중국고대자기전 두 번째 방문한 곳은 자금성 앞에 있는 베이징중국국가박물관이다. 우리나라의 한국국립중앙방물관과 같은 곳이다. 박물관의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1시간 남짓한 시간에 볼 수 있는 것과 볼 수 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았다. 지하에 있는 기본진열전시관은 베이징에 올 때마다 들렸기 때문에 이번에는 4층에 있는 특별전시관을 찾았다. 관람했던 당시 북16에는 , 북17에는 , 북18에는 중국고대복식문화>, 4층 북19에는 가 전시 중이었다. 이전에도 기본진열과 연초의 특별전에서 다양한 도자기를 보기는 했지만 고대부터 현대에 걸친 종합적인 전시는 처음이었다. 그래서 북17에 있는 에 마음이 닿았다. 이번에 전시된 유물은 해당 박물관 소장품 중 300여.. 2024. 11. 28.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0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9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0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9 # 자운풍화(瓷韻風華)2 #  3.2. 곡수유상(曲水流觴)- 도자기와 중국고대 술 문화(瓷器與中國古代酒文化) 중국은 미주(米酒:곡주)의 고향으로 술 제조 기술이 유구하다. 주기(酒器)는 술문화와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 위진과 수당 시기에는 도자기 술그릇이 나날이 발달했다. 송나라와 원나라 시대에 도자기 제조 산업이 발전하면서 도자기로 만든 주기(酒器)가 주류의 주구(酒具)였다. 증류기술이 중국에 도입된 후 전국에 보급되기 위해 도자기 주구의 규격도 그에 상응하여 변화가 생겼다. 이량을 피하기 위해 고족배 등 용량이 작은 자기질 주구와 권반 등 권주 공행. 명청시대 강서성 경덕진에서 구운 청화, 투채 등 자주기(瓷酒器) 등을 구워냈다.我國是.. 2024. 11. 26.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6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3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6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3 # 청대복식(淸代服飾) 청나라는 머리를 깎아 옷을 쉽게 입도록 하였다. 생각건대 만주족의 풍습에 따라 남자복식을 통일하였으며 한족의 전통적인 면관제도를 페지하였다. 통치자는 국가정책의 제정과 집행에 있어 모두 뚜렷한 만주 민족문화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데 복식에 있어 특히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 복식은 본 민족의 말 타고 활 쏘는데 편한 부분을 기본적인 특징을 보존하는 전제하에서 한민족 복식에 포함된 예제 사상과 상서로운 문양과 색채 등 요소를 그 속여 녹여 넣어 독특한 청대 복식문화를 형성했다. 清朝推行剃发易服, 按满族习俗统一男子服饰, 废除汉族传统冕冠制度。统治者在国家政策的制定和执行上均具有明显的满民族文化特征, 在服饰上表现尤为明显。其服饰在保.. 2024. 11. 22.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5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2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5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2 # 원대 귀족여성 정식 착장(着裝) / 원대 남성 착장.     # 원대 복식(元代服飾)  # 명 중후기 여성 분장.  # 명 말기 문인 편복(便服)  # 명대 복식.  - 남장(男裝).   # 명대 관복.  # 사복(賜服)    ◆ 효단황후(孝端皇后) 풍관(風冠)- 북경 명(明) 정릉(定陵) 출토.-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명대 복식 # 하피(霞帔) # 여성 머리장식. 2024. 11. 2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4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4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1 # 중국 고대 복식 문화 #  복식의 출현.- 중국 복식의 시작은 위로는 원시사회인 구석기시기로 올라갈 수 있다. 그 때의 선민은 이미 옷을 입고 패식과 복식의 관념이 이 시기에 이미 출현하였으며 중국 복식문화는 이를 바탕으로 발전하였다.   # 선진 복식(先秦服飾)- 상주(商周)시기에 통치자는 예제(禮制)을 추숭하여 복식의 등급을 구분하고 쳬계화하였는데 후대에도 계속해서 사용되었다. 춘추ㆍ전국시기 해마다 전란이 이어졌는데, 사상 문화적으로 '백가쟁명'은 복식에 비교적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에는 위아래의 몸까지 걸쳐서 입는 심의가 출현하였고 호복(胡服)도 도입되었다.  # 상주시기의 복식(商周)- 이때 화하족(華夏族:원시 한족)의 .. 2024. 11. 20.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3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2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3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2 # 4장. 자행천하(瓷行天下)2  # “완초(碗礁) 1호 침몰선에서 나온 자기[沈船出水瓷器]"완초 Ⅰ호" 침몰선은 복건성 평담현 해역 완초 부근에 있었다. 2005년 중국국가박물관 수중고고학연구센터가 주도하여 구급성 발굴을 진행했다. 침몰선에서 총 1만 7,000여점의 청대 강희 중기 경덕진 민요자기를 출수하였는데, 대부분은 청화자기이고 소소만 오채ㆍ청화유약리홍자와 단색유약자기이다.“碗礁Ⅰ号”沉船位于福建平潭县海域碗礁附近。2005年, 由中国国家博物馆水下考古研究中心牵头进行抢救性发掘。沉船共计出水17000 余件清代康熙中期景德镇民窑瓷器多数为青花瓷,  少数为五彩、青花釉里红瓷和单色釉瓷器。  ◆ 1. 방가유세(仿哥釉洗)◆ 2. 경덕진요내청화외장색유완(景.. 2024. 11. 19.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2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2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1 # 4장. 자행천하(瓷行天下)1_- 도자기가 세상에서 유행하다.# 4.1. 중국고대의 고자기 무역. 늦어도 중당을 시작으로 중국도자기는 이미 대량으로 해외에 판매되었다. 송원시기에 도자기의 해상무역이 줄기차게 발전하였고, 광주ㆍ천주ㆍ명주 등 세계적인 항구가 잇달아 건립되었으며 중국을 주도로 하는 도자기무역체계가 점차 확립되었다. 명청시기에 도자기무역은 지속적으로 번영하였고 새로운 항로가 개척됨에 따라 중국도자기는 대량으로 멀리 유럽과 아메리카지역까지 판매되어 조기 무역글로벌화의 형성과 발전을 추진하였다. 중국 도자기 무역의 운송 노선은 당대 고고학자들에게 "도자기의 길"이라고 불린다. 정교하고 아름다운 중국 도자기는 당나라 발단의"도자기의.. 2024. 11. 18.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1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0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1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0 # 자운풍화(瓷韻風華)3 #3.3. 세시청공(歲時淸供)_자기와 중국 고대 화기 예술.중국 화기 예술은 위진 시기의 불사 공양에서 시작되어 송대에 이르러 일반 문인과 선비에게 보급되었고, 일반 백성의 집에 깊이 들어가 오자목(吳自牧)의 󰡔몽량록(夢梁錄)󰡕에서 말하는 분향, 차 주문, 그림 걸기, 꽃 꽂기가 송나라 사람의 ‘네 가지 한가한 일’ 중의 하나가 되었다. 도자기는 중국 고대 화기 예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꽃병의 모양이 풍부하고 키가 작은 매병, 담병, 목이 긴 꽃병과 모조품의 꽃병은 송나라 도자기 화병의 주요 형태이다. 원명 이후에는 화훼를 심기에 적합한 각종 화분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中国花器艺术始于魏晋时期的佛事供奉,.. 2024. 11. 1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9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8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9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8# 3장. 자운풍화(瓷韻風華)1중국자기의 생활미학(中國瓷器的生活美學) 자기(瓷器)는 묘당(廟堂:사당)에서 사용하는 경건한 공기(供器)이자, 군왕의 책상 머리의 진귀한 상완(賞玩)일 뿐만아니라 일반 백성들의 의식주 속에 매우 깊이 자리하고 있다. 도기에 비해 내구성이 있고 아름다우며, 금속제품에 비해 제작이 쉽고 원가가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자기는 사람들의 생활을 끊임없이 개선하였다. 동시에 조소에 적합한 형체, 아름답고 변화가 다양한 유약색과 풍부하고 다채로운 장식은 매우 높은 문화성과 예술성을 나타내고 사람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를 담았다. 다기(茶器)、주기(酒器)、화기(花器:꽃병 등)、향기(香器:향로 등)를 대표로 하는 서로 다.. 2024. 11. 16.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8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8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7 ◆ 자석(瓷石) 자기석은 일종의 주요 석영(石英)과 견운모(絹雲母)로 구성되고  아울러 약간의 고령토와 장석(長石) 등의 석질(石質)이 원료로, 자기를 만드는데 중요한 원료 중 하나이다. 외관은 흰색, 회백색, 황백색과 회녹색 등이 있다.瓷石是一種主要由石英、絹雲母組成並含有若干高嶺土、長石等成分的石質原料,為製作 瓷器的重要原料之一,外觀有白色、灰白色、黃白色和灰綠色等。   ◆ 고령토(高嶺土) 고령토는 우수한 도자기 제조 원료로 일종의 고령토 성분 위주로 구성된 토질 재료이다. 강서성 경덕진시 동북의 고령촌에서 가장 먼저 발견되어 이름을 얻었다. 깨끗한 고령토는 치밀하거나 푸석푸석한 덩어리 모양으로 손으로 빚어 가루로 만들 수 있으며 불에 태운 구운 .. 2024. 11. 15.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7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6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7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6 # 2장. 도자공예(陶瓷工藝) 후대에 각 지방에서 서로 다른 특징의 도토와 도자기를 발견했고 인공적으로 각종 기교와 기예를 창조하여 아름답고 우아한 도자기를 만들었다. 어떤 것은 피부처럼 하얗고 어떤 것은 옥처럼 매끄럽다. 연회석에 놓여 서로 어우러져 문명을 움킬 수 있으니, 어찌 단지 견고하고 오래 쓰기 때문이겠는가.명나라 송응성의 에 자기의 탄생은 중화민족의 위대한 창조력이 세계의 물질문명에 대한 매우 크게 기여하였다. 중국의 고대 장인들은 조형, 유약색, 장식, 소조(燒造) 기예에 있어 끊임없이 탐구하고 정진하며 지속적으로 도자기에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래서 도자기의 질이 견고해지고, 유약의 색이 아름다워졌으며, 그릇의 모양이 .. 2024. 11. 14.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6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5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6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5 # 등보조극(登峯造極)2◆   ◆ 두채화접도관(斗彩花蝶圖罐)- 명대 성화(成化) 연간(1465~1487년) 선덕조의 청화오채자기는 명나라 두채자(斗彩瓷)의 공예가 싹텄고, 성화 시기는 두채자기의 성숙과 보완 단계였다. 성화시기 투채자기는 태질이 섬세하고 깨끗하며 유약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화폭의 색채가 정교하고 아담하며 우아한 조형과 특수한 채색화기법으로 국내외에서 유명하였다.宣德朝的青花五彩瓷已出现明代斗彩瓷的工艺萌芽, 成化时期则是斗彩瓷器的成熟完善阶段。成化斗彩瓷胎质细腻洁白, 釉面光润柔和, 画面色彩精丽雅致, 以典雅的造型和特殊的彩绘技法蜚声中外。  ◆ 황지녹채운룡문반(黄地綠彩雲龍紋盤)_노란색 바탕에 녹색으로 용과 구름 문양을 채색한 반(盤)- 명.. 2024. 11. 13.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5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4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5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4# 원대의 각 가마[窯場] 예를 들면 자주요(磁州窑) , 용천요(龍泉窯), 균요(鈞窯) 등은 모두 전대의 생산을 이어갔다. 또 강서성의 경덕진에' 부량자국(浮梁瓷局)'을 설치해 관청에서 사용하는 도자기를 구워내도록 관리했다. 이 조치는 경덕진의 도자기 제조업을 신속하게 발전시켰고, 중국과 외국에서 명성이 자자한 난백유, 유리홍(釉裏紅), 청화 및 안색유 등이 연이어 구워졌다. 강서성 경덕진과 절강성 용천은 전국 도자기 제조의 중심이 되었고, 기타 정품도자기를 굽는 가마[窯場]는 수량이 갈수록 적어졌으며 대부분 가마[窯場]는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는 거친 자기를 생산하여 세련되고 거친 두 가지로 극렬한게 분화되는 상황이 만들어졌다. 元代各窑场如磁.. 2024. 11. 12.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4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3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4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3 # 1.3. 명요임립(名窑林立)_유명한 가마가 많이 있어요.도자기 생산의 번영 (916–1368) 송대(宋代) 도자기 제조업의 발전이 비약적으로 진행되어 아울러 새로운 고봉에 이르렀고, 명요가 숲을 이루며 풍격이 각기 다른 도자기 수공업 전통과 생산 중심지를 형성했다. 예를 들어 북쪽지역의 정요(定窯)를 중심으로 하는 박태정밀백자(薄胎精細白瓷), 주요(耀州窯)를 대표로 하는 각인화청유자(刻印花靑釉瓷), 여요(汝窯)를 중심으로 하는 천청유자(天靑釉瓷) 등이다. 남쪽지역은 월요(越窯)와 용천요(龍泉窯)를 중심으로 한 청자 생산 전통이, 경덕진(景德鎭)을 대표로 하는 청백자 전통이, 건요(建窯)와 길주요(吉州窯)를 대표로 하는 결정유흑유자(結晶釉.. 2024. 11. 1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3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2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3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2 # 1.2. 남청북백(南青北白)성숙한 자기의 탄생(서기 220-907년)위진남북조시기에 자기(瓷器) 수공업생산은 빠른 발전단계에 들어섰고 남쪽지역은 이미 보편적으로 성숙된 청유약과 흑유약을 발라 굽기 시작했으며, 절강, 호남, 강서와 복건 등지에서 일부 자기 제조 중심지와 자기가마의 체계가 초보적으로 형성하였다. 북쪽 각지의 자기 생산도 빠르게 일어나 백자를 성공적으로 구워 냈다.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정권이 통일되면서 경제가 발달하고 문화와 무역교류가 전례없이 번영하여 도자기 제조업의 발전과 도자기 시장의 확대를 촉진하였고, 지역적으로 '남청북백'의 생산 구조를 형성했다. 이 시기에 유약 위에 채색을 해서 굽는 도자기가 요(遼) 송(宋).. 2024. 11. 10.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2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2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  # 0. 중국고대자기전(中國古代瓷器展)  # 머릿말[前言]. 5,000여년의 기나긴 문명발전사에서 중국인민은 눈부시게 빛나는 중화문명을 창조하여 인류문명 진보사업에 크게 기여하였다. 도자기는 중화전통문화에서 가장 차별성이 있는 표지의 하나로서 중화민족의 중대한 창조일뿐만아니라 인류의 물질문명사에서 위대한 발명이기도 하다.일찍이 하상(夏商) 시기에 우리나라[중국]는 이미 원시 자기를 구울 수 있었다. 동한(東漢) 말기에 보편적인 의미에서 성숙한 도자기는 성공적으로 구워냈다. 당나라의 "남청북백(南靑北白)"에서 송나라의 유명한 가마가 즐비하고 원명청(元明淸)의 정교하고 현란하며 이채로움에 이르기까지 도자기의 발전은 실용과 심미를 하나로 융합시.. 2024. 11. 9.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1_4층 북16_수설서준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1_4층 북16_수설서준1 # 수설서준(數說犀尊)        # 머리말 과학기술의 진보는 박물관 사업발전을 위한 새로운 기회와 무한한 공간을 제공했다. 보다 스마트한 박물관을 건설하는 것은 새로운 시대의 박물관인의 시대적 책임이자 역사적 사명이 되었다. 문화 디지털화 전략을 심도 있게 구현하고 디지털 중국 건설을 가속화하기 위해 중국국가박물관은 스마트 국립박물관 건설을 추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철저한 인식, 유비쿼터스 상호 연결, 스마트 융합, 자기주도 학습, 반복 개선의 기술적 경로에 근거하여, 클라우드 컴퓨징, 빅데어터,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인공 지능 및 최신 정보 네트워크 기술을 적극적으로 응용하여 대중이 높은 수준의 정신문화 산업을 충분히 누릴 수 .. 2024. 11. 8.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7 #7. 송원명청 묵적宋 元 明 淸 墨迹 ◆ 해서 역대삼보기 권제팔(楷書 歷代三寶紀 卷第八) - 馮預 - 宋 治平 元年(1064) - 紙本 ◆ 초서시권(草書詩卷) - 도수(姚燧) (1238~1313) - 元代 - 紙本 ◆ 초서칠절시권(草書七絶詩卷) - 축윤명(祝允明) (1460~1526) - 明代 - 紙本 ◆ 행서 왕수인 시찰권(行書 王守仁 詩札卷) - 王守仁(1472~1528) - 明代 - 絹本 ◆ 초서 오율 선면(草書 五律扇面) - 서림(徐王霖) (1462~1538) - 明代 - 金箋 ◆ 행서 칠절 시항(行書 七絶 詩項) - 주천구(周天球) (1514~1595) - 明代 - 紙本 ◆ 행서 오율 시항(行書 五律 詩項) - 明代 - 紙本 ◆ 행서 칠언 시권(行書 七言 詩卷) - 황도주(黃道周) (1585~.. 2022. 12. 19.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6 #6. 두루마리[卷]와 첩帖 # 6-1. 두루마리[卷] ◆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佛母品殘卷 - 晉 - 紙本 ◆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迦葉菩薩品殘卷 - 北朝 - 紙本 ◆ 태현진일본제경권(太玄眞一本際經卷) - 唐代 - 紙本 #6-1. 첩(牒) ◆ 장행방첩(長行坊牒) - 唐 開元 9年(721) - 紙本 ◆ 장봉선소송첩(張奉先訴訟牒) - 唐 - 紙本 2022. 12. 18.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5 #5. 새인 전폐문자璽印 錢幣 文字 # 전폐錢幣 ◆ 평수원견교족포(平首圓肩橋足布) - 戰國 - 魏 - 銅 ◆ 환전(圜錢) - 戰國 - 秦 - 銅 ◆ 화전(貨泉) - 신 망(新莽) - 銅 ◆ 영광(永光) - 南朝 - 銅 ◆ 순화원보(淳化元寶) - 北宋 - 銅 ◆ 大觀通寶 - 宋 徽宗 趙佶書 - 北宋 - 銅 ◆ 開元通寶 - 歐陽詢書 - 唐 - 銅 ◆ 永通萬國 - 北朝 - 銅 ◆ 반량전(半兩錢) - 秦 - 銅 ◆ 사견호족공수포(斜肩弧足空首布) - 戰國 - 韓 - 銅 ◆ 도폐(刀幣) - 春秋 - 齊 - 銅 # 새인璽印 ◆ 萬玉樓印 - 現代 - 艾葉靑田石 ◆ 동아씨이령아지인(佟雅氏伊齡阿之印) - 淸 - 瓷 ◆ 노상승인(盧象昇印) - 明代 - 玉 ◆ 석낙후인(石洛侯印) - 西漢 - 金 ◆ 평동장군장(平東將軍章) -.. 2022. 12. 17.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4 #4. 한나라부터 당나라까지의 묵적漢至唐墨迹 ◆ 경술 간(庚戌 簡) - 西漢 - 木 ◆ 주서 임겸 묘표(朱書任謙墓表) - 高昌 延和 12년(612) - 陶 ◆ 사본 육기 오등론 두루마리(寫本陸機五等論卷) - 隋 - 紙本 ◆ 사본 문선서 잔지(寫本文選序殘紙) - 唐 - 紙本 ◆ 사본 개몽요훈 잔지(寫本開蒙要訓殘紙) - 唐 - 紙本 2022. 12. 16.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3 #3. 비탁 묘지탁 각첩碑拓 墓志拓 刻帖 ◆ 낭야대 각석 탁본(琅琊臺刻石拓本) - 淸 - 紙本 ◆ 공묘비 탁본(孔廟碑拓本) - 宋 - 紙本 - 이미지 없음. ◆ 조전비 탁본(曹全碑拓本) - 明 - 紙本 ◆ 봉룡산송비 탁본(封龍山頌碑拓本) - 淸 - 紙本 ◆ 용장사비 탁본(龍藏寺碑拓本) - 明 - 紙本 ◆ 우공공온언박비 탁본(虞恭公溫彦博碑拓本) - 宋 - 紙本 ◆ 집왕성교서 탁본(集王聖敎序拓本) - 宋 - 紙本 ◆ 천복사다보탑감응비 탁본(千福寺多寶塔感應碑 拓本) - 宋 - 紙本 ◆ 천주본 순화각첩(泉州本淳化閣帖) - 南宋 - 紙本 ◆ 송탁 안류백미 사가법첩(宋拓顔柳白米四家法帖) - 南宋 - 紙本 ◆ 대관첩(大觀帖) - 南宋 - 紙本 ◆ 장광전지(張光磚志) - 西晉 泰始元年(265) - 陶 ◆ 유경전지(劉景.. 2022. 12. 15.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2 #2. 도문 전문 와문陶文 磚文 瓦文 ◆ 염향진기좌박회구부도편(厭鄕陳旂左敀檜坸釜陶片) - 戰國 - 齊 - 陶 ◆ 해내개신전(海內皆臣磚) - 西漢 - 陶 ◆ 유천강령십이자와당(維天降靈十二字瓦當) - 西漢 - 陶 ◆ 영수가복와당(永受嘉福瓦當) - 西漢 - 陶 ◆ 공양전 전(公羊傳 磚) - 東漢 元和 2년 - 陶 ◆ 영가칠년 계유 개의개시 전(永嘉七年癸酉皆宜價市磚) - 西晉 永嘉七年(313) - 陶 ◆ 독량량전(獨良良磚) - 晉 - 陶 2022.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