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_배초향(排草香)
# 방아_배초향(排草香) - 경상도에서는 '방아'라고 부르는데 이는 박하(薄荷)의 사투리이다. 한글로는 방아, 방앳잎, 중개풀, 한자로는 ‘香’자를 넣은 가묘향(家苗香), 구미파향(狗尾巴香), 대곽향(大藿香), 토곽향(土藿香)과 ‘薄荷’가 포함된 박하(薄荷), 대박하(大薄荷), 야박하(野薄荷), ‘猫把’가 포함된 묘파(猫把), 묘파호(猫把蒿) 등이 있으며, 한약명은 곽향(藿香)이다. - 방앗잎 또는 방아풀로 불린다. 한방에서 곽향(藿香)이라고 부른다. 예전에는 방아와 곽향이 다른 줄 알았다. 어차피 한약재는 모양을 볼 수 없으니, 서로 다른 것으로 외웠다. 경상도에서는 깻잎처럼 음식에 넣어 먹는다. - 경상도에서 "방하"로 더 널리 쓰인다. 잎은 사람의 취향에 따라 호오가 갈리지만 꽃은 대부분 좋아한다..
2025. 8. 22.
호박(胡박)2_동그리2
호박2_동그리2 호박은 익으면 색이 주황색이라 금과(金瓜), 외국에서 왔다고 번과(番瓜), 번과(番瓜), 남쪽에서 왔다고 남과(南瓜), 번남과(番南瓜), 남과등(南瓜藤), 남과분(南瓜粉), 남과인(南瓜仁), 남과체(南瓜蒂), 번남과(番南瓜), 홍남과(紅南瓜), 북쪽에서 왔다고 북과(北瓜) 등으로 불린다. - 비닐을 걷어서인지 노란 호박 떡잎이 보인다. 이 조그마한 싹이 여름이 되면 이 산비탈과 나무를 다 덮을 것이다. s22 # 타원형. - 호박꽃 아래 애기 호박 동그리 2개가 자라고 있다. - 꽃이 피기전 모습 - 증산동 우물가 담장의 호박들
2025.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