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4

고대유물_079_1[부(釜)]1 ◆ 부(釜)1 부(釜)는 전국시대 진(秦)나라 사람들이 사용한 취식기이다. 《맹자(孟子)·등문공(鄧文公)》에서 "허자(許子)가 부증(釜甑)으로 밥을 짓고, 쇠로 밭을 가는가?"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부釜와 증甑은 취사도구 중 찜기를 가리키는데, 이 두 가지 기물의 형태도 매우 비슷하다. 이와 유사한 조리도구로는 확(鑊)과 무(鍪) 등이 있다. 솥의 형태는 항아리와 비슷하며, 주둥이는 오려져 있으며 주두이에는 테두리가 있고 배는 둥근 모양이다. 어깨에는 2개의 고리 모양의 귀가 있다. 전국시대의 부(釜)에는 귀가 1개인 것이 많았는데 진한시대의 부(釜)에는 귀가 2개 있는 것이 유행하였다. 2023. 2. 23.
고대유물_078_솥[복(鍑)] ◆ 솥[복(鍑)] '복鍑'은 차를 끓이는 도구로서 풍로와 세트이다. 모양은 큰 솥처럼 생겼으나 다른 점은 네모난 귀가 있으며 밑부분이 약간 뾰족하다. 이 기물은 고대에는 매우 흥성했지만, 송나라에 이르러 서서히 역사 무대에서 사라졌고 현대에는 더 이상 사용하는 사람이 없다. ◆ 마고 모양 수직 귀와 둥근 다리가 있는 구리솥[蘑菇狀立耳圈足銅鍑] - 漢晉(기원전206~420) - 1976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르무치시 南山 출토 -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박물관 소장 # 나라박물관_청동관 ◆ 복(鍑) - 춘추 전국시대에는 주변 민족도 독자적인 문화를 발달시켰다. 늘 한족에게 협박을 지속하던 기마민족인 유목민은 경계지역에서 반농반목을 하던 사람들로 독자적인 청동기를 만들었다. 복(鍑)은 그 중의 하나로 중원의 .. 2023. 2. 21.
고대유물_077_솥[력(鬲)]_토기 ◆ 력(鬲 lì́) 취사도구 - 고대에 불을 때서 음식을 삶거나 음식을 담는 기물이다. 력(鬲)의 이체자로 력(䰛)이 있는데 이 글자는 의부인 '瓦'를 추가하여 이 물건이 질흙으로 만들었다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또 이와는 다르게 음가인 력(鬲) 대신에 력(厤)으로 대체한 력(㽁)이라는 글자도 생기게 되었다. 전국 죽간에는 력(鬲)의 다리 부분이 와변되어 '羊'의 형태가 되었다. ◆ 솥[력(鬲)] ◆ 질그릇 력(鬲) - 재료만 다르고 모양은 비슷. 낮은 다리가 3개. 솥_鬲_대족도력(袋足陶鬲) ◆ 질그릇 력(鬲) - 긴 손잡이가 있다. ◆ 질그릇 력(鬲) 낮은 다리가 3개. ◆ 승문회도력(繩文灰陶鬲) - 끈 문양 회도 솥 ◆ 백도격(白陶鬲)_백색 도기 세발솥[鬲] - 신석기시대 - 서안시 임동구 강채 유.. 2023. 2. 15.
고대유물_080_ 솥[정(鼎)]_방형 고대유물_080_ 솥[정(鼎)] - 고대에 불을 때서 밥을 하는 기물로 삼거나 찌고 혹은 고기를 담아서 제사나 잔치를 지내는데 사용하였다. 청동 정(鼎)은 이리두문화)二里頭文化) 시기에 출현하여 상주 시기(商周時期)에 가장 성행하였으며 한나라를 거쳐 위나라 때까지 계속해서 사용되었다. "정(鼎)" 은 모든 청동기 중에서 지고무상의 권력을 가장 잘 대표하는 기물로 여겨졌다. 고대 최초로 천하를 통일한 권력이라는 관념은 '정'의 탄생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문헌과 고고학에 의하면 구정(九鼎)은 제후의 제도이고 칠정(七鼎), 오정(五鼎)은 경대부(卿大夫)이며, 삼정(三鼎)과 일정(一鼎)은 사(士)이다. 다만 천자의 제도는 12정(鼎)이고 쌍수이지만 지금까지 주나라 천자의 능묘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이 기록이.. 2023. 1. 20.
고대유물_114_정(鼎)_원형 # 정(鼎) - 고대에 불을 때서 밥을 하는 기물로 삼거나 찌고 혹은 고기를 담아서 제사나 잔치를 지내는데 사용하였다. 청동 정(鼎)은 二里頭文化 시기에 출현하여 商周時期에 가장 성행하였으며 한나라를 거쳐 위나라 때까지 계속해서 사용되었다. # 나라박물관_청동관 ◆ 정(鼎) ◆ 도철 문양이 있는 대정(大鼎) 2022. 12. 21.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2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2 ◇ 오(吳)나라 ◆ 청동검 - 1965년 출토. ◆ '오왕 부차吳王夫借' 청동검 - 1976년 하남 輝縣 출토. - 이 검은 오왕 광의 아들을 위해서 오왕 부차가 직접 만든 것이다. ◆ '오왕 광吳王光' 청동검 - 1964년 산서(山西) 원평(原平)에서 출토. 원래 산서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가 옮긴 것이다. - 오왕 광을 칠 때 직접 만들어 검으로 썼다. ◇ 증(曾)나라 ◆ 옥환(玉環), 옥벽(玉璧) - 전국_曾 - 1978년 호북 수현(隨縣)에서 출토. - 서로 다른 몇가지 색이 혼합되어 서로 옥 속에 돌이 박힌 느낌이다. - 옥벽의 무늬가 조금씩 변화하는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난다. ◆ 귀에 옷칠 한 잔_배[漆耳杯] - 전국_曾 - 1978년 호북.. 2021. 2. 8.
2019_광저우(廣州)4_광저우박물관1_2층 2019_광저우(廣州)4 # 광저우박물관1 - 광주박물관은 1929년 진해루에 만들었는데 중국 최초의 종합박물관 중 하나이다. 또한 화남 최고의 박물관으로 중국 최초의 현대적 의미의 박물관 관사인 진해루는 1380년에 건설되었다. 박물관은 3층으로 되어 있다. 국립이 아니고 시립이라 그런지 입.. 2019. 11. 28.
고대유물_010_거푸집_용범(鎔范) # 도(陶)_흙 ◆ 거푸집_도모(陶模)_짐승 머리[獸頭] - 춘추_晉 - 1961년 산서 후마(侯馬) 출토. ◆ 솥[鬲] 바깥 틀[外范] ◆ 거푸집_도범[陶斤內范]_석범[石斧外范] -칼과 도끼 ◆ 거푸집_도범(陶范) ◆ 거푸집_陶范_공수포(空首布) ◆ 거푸집_陶范_서 있는 사람[立人] - 춘추_晉 - 1961년 산서 후마 출토 ◆ 거푸집_陶范_분(錛)_자귀 ◆ 거푸집_陶范_정(鼎)_솥 ◆ 거푸집_陶范_칼[刀] # 동(銅)_구리 ◆ 거푸집_銅范_전(錢)_동전 ◆ 거푸집_동범(銅范) - 한 판에 22개 주조. # 철(鐵)_쇠 ◆ 거푸집_철범(鐵范)_조(鋤)_호미 ◆ 거푸집_철범(鐵范)_쌍겸(雙鎌)_낫 ◆ 거푸집_철범(鐵范)_쌍착(雙鑿)_끌 ◆ 거푸집_鐵范_거기(車器) # 오수전 거푸집 # 포천 거푸집 # 거.. 2019. 5. 4.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1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1 # 전국시기 ◇ 전국시기 전도 ◇ 전국시기 7웅 세력도 ◇ 한(韓)나라 ◆ '양성' 도량(陽城陶量) - 전국_韓 - 1977년 하남 등봉(登封) 출토. - '陽城'은 지명으로 지금의 하남 등봉이다. ◆ 금으로 상감한 청동 화[錯金靑銅(金+和)] - 戰國_韓 - 1965년 산서 장치(長治) 출토. - 무늬에 해당하는 부분에 모두 금으로 입힌 것으로 당시 다른 나라의 유물에 나타나지 않는 특이한 형태이다. ◆ '영호군사자令狐君嗣子' 청동호(令狐君嗣子靑銅壺) - 전국_韓 - 1927년 하남 낙양 출토. - 頸部에 23행 50자의 명문이 있는데, 영호군의 후예가 이 호를 주조한 것은 가족의 안녕과 행복을 위해서 라고 기록되어 있다. - 영호는 지명으로 지금의.. 2019. 4. 23.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1_객성장문화(客省庄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1 # 객성장문화(客省庄文化:kè shěng zhuāng wénhuà) BC 2500~2000_객성장문화(客省庄文化) https://baike.baidu.com/item/%E5%AE%A2%E7%9C%81%E5%BA%84%E9%81%97%E5%9D%80/8977013 ◆ 질그릇 술잔_가[陶斝] ◆ 질그릇 솥_력[陶鬲] ◆ 사슴뿔로 만든 곡괭이[鶴嘴鋤] - 객성장..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9_용산문화(龍山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9 # 용산문화(龍山文化:Lóngshān wénhuà) BC 2500~2000_용산문화(龍山文化)_산동 교현. https://baike.baidu.com/item/%E9%BE%99%E5%B1%B1%E6%96%87%E5%8C%96/33606 ◆ 옥 도끼[玉鉞] - 옥으로 만든 도끼가 깨지지 안고 내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에 대해 이 도끼를 만든 분..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4_현석산문화(縣石山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4 # 현석산문화(縣石山文化:xiàn shíshān wénhuà) BC 3500~2000_현석산문화(縣石山文化) https://baike.baidu.com/item/%E6%98%99%E7%9F%B3%E5%B1%B1%E6%96%87%E5%8C%96 ◆ 그물무늬 질그릇 솥_부[罔紋陶釜] ◆ 질그릇 두[陶豆]_제기?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5_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5 # 신석기_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Hemudu wénhuà ) BC 5200~4200_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_절강성 동부와 영파시, 주산시. https://baike.baidu.com/item/%E6%B2%B3%E5%A7%86%E6%B8%A1%E6%96%87%E5%8C%96/30234 ◆ 뼈로 만든 보습[骨耜]. - 新石器 - 河姆渡文化 # <中國北京.. 2019. 4. 19.
2015_4 중국 북경4_이화원 성집대성(成大集聖) 2015_4 북경4_이화원 # 성집대성(成大集聖) ◆ 본전에 해당하는 성집대성 ◆ 머릿말 # 조명과 카메라 성능 때문에 사진의 상태가 좋지 않지만. 그래도 촬영을 허락하는 것이 감사하다. ◆ ◆ ◆ ◆ 긴 몸을 움직이는 용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조각되었다. ◆ ◆ ◆ ◆ 여의(如意) *길상(吉祥)을 상징하는 장식물 ◆ ◆ ◆ 용이 발로 병의 윗쪽을 잡고 있는 법랑 # 청동기(靑銅器) - 우리가 신화라고 생각했던 하은주(夏殷周) 시대의 작품들. 너무 아름답고 놀라웠다. ◆ 짐승머리 손잡이 청동기 ◆ 준(尊) ◆ 솥[鼎] - 확대 - 털이 보송보송한 양처럼 보인다. ◆ - 확대 ◆ 이무기가 장식된 기물 - 확대 ◆ - 확대 ◆ ◆ ◆ ◆ ◆ ◆ ◆ ◆ ◆ ◆ 벽옥(碧玉) ◆ 백옥(白玉) 2015.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