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41 2023_1_국립고궁박물원11_1층_우측_101호_불교 2023_1_국립고궁박물원11_1층 우측_101호 # 불교 미술 ◆ 청동유금좌불 삼존상(靑銅鎏金坐佛三尊像) - 명나라 ◆ 청동유금문수보살좌상(靑銅鎏金文殊菩薩坐像) - 명나라 ◆ 청동유금보살반가의좌상(靑銅鎏金菩薩半跏倚坐像) - 명나라 ◆ 청동유금남천왕임상(靑銅鎏金南天王立像) - 서장(西藏)_티벳. 15세기 ◆ ◆ 청동유금석가모니불좌상(靑銅鎏釋迦牟尼坐像) - 북위(北魏) 태화(太和) 원년 명(銘) 447년. ◆ 청동유금석가모니불좌상(靑銅鎏釋迦牟尼坐像) # 108호 # 106호 # 105호, 107호 특별 전시관은 휴관이었다. # 103호, 104호 - 고향아취(古香雅趣) - 피서산장에 대한 내용이다. 열하일기를 지은 박지원에 대한 내용도 있다. # 익숙한 얼굴이다. 물론 얼굴은 모를 수도 있다. 박지원과 열.. 2023. 7. 10. 2023_1_국립고궁박물원9_2층 2023_1_국립고궁박물원9_2층 # 202, 204, 206, 210, 212호 # 이곳은 거의 그림과 글씨 등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 왕세정 특별전 - 번영을 남김없이 기록하다-명대 후기 문화인 왕세정과 그의 업적 전시소개 명대 중요한 역사가이자 문학가인 왕세정(王世貞)은 수없이 많은 저서를 남겼습니다. 왕세정은 예술과 문화 활동을 매우 좋아하여 당시 모든 문화 영역에 거의 다 참여하였습니다. 더욱 특별한 점은 왕세정이 16세기 명나라의 번영을 관찰하고 기록으로 남겼다는 것입니다. 본 전시는 왕세정의 다채로운 일생과 그의 업적을 통하여 명대 후기의 문화적 번영을 살펴보고 당시 창의력이 충만하고 다양하게 경쟁했던 문화 생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왕세정이란 역사가의 눈을 통해 번영 아래 .. 2023. 2. 10. 2023_1_국립고궁박물원10_3층_303호_코담배 2023_1_국립고궁박물원10_3층_303호_코담배 전시소개 코담배(snuff)는 서양에서 시작되어 일찍이 「스나후(士拿乎)」라고 번역되었으며, 강희(康熙) 황제 시기에 이미 전해졌습니다. 발효된 연초를 잘게 다지고 향을 가미하여 만들어, 사용할 때는 분말을 직접 코 속으로 들여 마시는데 기도를 맑게 하고 기운을 북돋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코담배를 「스나후(선비가 드는 것)」라고 번역한 것은 당시 코담배가 드물고 귀한 것이어서 아마도 궁중이나 높은 벼슬의 귀족 사이에서만 사용되는, 사대부 이상의 계층에서 유통되었다는 것을 반영한 것입니다. 서양에서 이런 종류의 가볍고 미세한 분말을 상자에 담았던 것과는 달리 청대 궁정에서는 입구가 작고 배가 불룩하며 수저 뚜껑을 가진 코담배병으로 바꾸었고 이것은 당시 유.. 2023. 2. 10. 2023_1_국립고궁박물원6_3층_청동관3_305호 2023_1_국립고궁박물원6_3층_청동관3_305호 ◆ 종(鐘) - 중앙에 문자가 새겨져 있다. ◆ 1. 좌후: 수수화( 獸首盉) _짐승 머리가 조각된 그릇 / 전국시대 ◆ 2. 우후: 이이우인수수화(螭耳羽人足𨨛) _이무기 귀에 우인의 발이 조각된 그릇 / 춘추 중말기 ◆ 1. 중전: 조수개화(鳥獸蓋𨨛) _새와 짐승 문양이 조각된 뚜껑 있는 그릇 / 춘추 말기 ◆ 토설기문방언(吐舌夔紋方甗)_혀를 내밀고 있는 기(짐슴) 문양이 새견 네모 시루. - 춘추 중기_B.C.7세기~6세기. - 식기. - 中銅1529 吐舌夔紋方甗 ◆ 증(甑:(시루)과 력(鬲:솥)의 설명 甗為上古時代的蒸籠,典型者是由上部的「甑」,與下部的「鬲」合構而成,但在商及西周時期以一體合鑄的「獨體甗」為主,東周時期則多上下分鑄的「複合甗」,本甗即屬後者。其上.. 2023. 2. 9. 2023_1_국립고궁박물원8_3층_청동관6_307호 2023_1_국립고궁박물원8_3층_청동관6_307호 ◆ 上: 수면문관공월(獸面紋管銎鉞)_짐승 얼굴 문양에 구멍이 뚤린 관이 있는 도끼. 상대 말기~주대 초기 - 故銅2323 獸面紋管銎鉞 此器呈商晚期至西周初北方及中原形制混和之特點:既有扁平的「內」,又有「管銎」。紋飾屬中原常見作風,特別於器身後半部,以單層、細線淺浮雕的雷紋為主,並有鉤狀、近似棱脊形狀的平面邊飾,為中原常見的雲雷紋系統。扁平的「內」部則裝飾幾何化的獸面紋。柄上玉件乃入清宮後所加。 ◆ 下: 칠공반원형인관공월(七孔半圓形刃管銎鉞)_7개 고멍이 뚫린 반원형 칼날이 구멍이 뚤린 관이 있는 도끼. - 상대 말기~주대 초기 - 故銅2325 七孔半圓形刃管銎鉞 全器由長達18.7公分的管銎,及半圓形帶有邊刃的器身所組成。管狀銎上細下粗,下銎孔徑約為上銎孔徑的兩倍,似有助於固定穿入銎孔的木柲。本.. 2023. 2. 9. 2023_1_국립고궁박물원7_3층_청동관5_307호 2023_1_국립고궁박물원7_3층_청동관5_307호 ◆ 가량(嘉量) - 신망(新莽) - 도량형 중에 '양'을 재는 '量이다. 사진에서 아래가 휘[斛], 하부가 말[斗], 오른쪽 귀가 되[升], 왼쪽 귀가 홉(合), 하부가 약(龠)이다. 1斛는 10斗, 1斗는 10升, 1升은 10合, 1合은 10龠이다. 故銅2384 嘉量 - 외곽에 새겨진 문자. 圓筒形,樸素無飾。全器由五個量測容器組成,器身上部為「斛」,下為「斗」,左耳為「升」,右耳上部為「合」,下部為「龠」。五個量器的換算關係為一斛十斗,一斗十升,一升十合,一合二龠,基本體現十進位的度量觀念。全器銘文共六處,分別位於各量測體外壁,說明尺寸、容量數值和計算方法。「斛」部並鑄有長篇銘文,為王莽頒布統一全國度量衡的詔書,內容傳達新朝上承有緒的建國背景,以及復古改制的政治理念。 嘉量為劉歆根據《周禮》.. 2023. 2. 9. 2023_1_국립고궁박물원3_3층_청동관1_307호_305호 2023_1_국립고궁박물원3_3층_청동관1_307호_305호 복도에 있는 "동파육"돌. 올해는 옥배추가 없었다. - 원래 이름은 육형석(肉形石)_고기 모양 돌이다. # 305호 - 305호로 들어가 307호로 나왔다. ◆ 조문과(鳥紋戈) - 전국시대_B.C.5세~3세기. 購銅000054 鳥紋戈 長援,援末近欄處向外擴張,長方形內。援與內相接處兩方穿,內上一圓穿。兩面鑄相同鳥紋。 ◆ 진후오 궤(陳侯午 簋) - 전국시대 중기_B.C.4세~3세기. 中銅000590 - 식기로 사용되었다. 陳侯午簋 器形復古,兩龍形獸耳外伸,比例上略大,上有重環紋與圓渦紋,腹部、圈足與方座飾波曲紋。腹內有銘文八行三十六字,記田齊桓公(即陳侯午)十四年為先母孝大妃作此祭器之事。銘文記載齊太公和之子桓公田午之重要史料,作器時間在西元前371年,可補文獻之不足。 ◆ 효.. 2023. 2. 8. 2023_1_국립고궁박물원4_3층_청동관2_307호_305호 2023_1_국립고궁박물원4_3층_청동관2_307호_305호 ◆ ◆ 아추기부유(亞醜杞婦卣)_'亞醜' 杞婦가 새겨진 술통. - 상대 말기~주대 초기 - 故銅2212 亞醜杞婦卣 器蓋蓋沿與蓋頂呈垂直,蓋住器身上的子口,器身兩側雙環顯示該器原本有提梁,通過雙環與器身相連,但今已失佚,此卣為殷墟晚期器制。頸蓋皆飾夔紋,腹飾獸面紋。這些花紋皆浮雕鼓出器表,但不見雷紋襯底,這種沒有雷紋襯底的獸面紋見於殷墟晚期,足飾二細線淺浮雕弦紋。蓋裡中間及器底中央同銘各4字「亞醜杞婦」。 ◆ 수면문뢰(獸面紋罍)_짐승 얼굴 문양이 새겨진 술독[罍] - 商 晚期~西周早期_B.C.12세기~10세기. - 中銅755 獸面紋罍 縮口圓肩高腹圈足罍。肩上有二獸首,下腹有一獸首,上層口飾二弦紋,口下層飾夔紋。肩飾鳥紋及圓渦紋,值得注意的是此層紋飾有鉤狀邊飾,此種邊飾曾見於婦好鉞及婦好觚的圈足.. 2023. 2. 8. 2023_1_국립고궁박물원2_3층_옥기(玉器)2 2023_1_국립고궁박물원2_3층_옥기(玉器)2 302에서 이동해, 603호를 관람하고 308호 관람 후 복도로 나간다. # 玉不琢 不成器, 人不學 不知道.옥불탁 불성기, 인불학 부지의 옥은 매끄럽게 다듬지 않으면 그릇이 될 수 없고,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도를 알지 못한다. ◆ 5. 백옥누공향낭(白玉鏤空香囊) - 청대_1644년~1911년 5. 옥응문계(玉鷹紋筓) - 석가하(石家河)문화 말기 故玉5821 # 옥 빗과 비녀 만들기 ◆ 사득십전(四得十全), 팔징오복(八徵五福), 녕수궁(寧壽宮) 碧玉印 - 청대 건륭_1736년~1795년 ◆ 삼희문한(三希文翰) 옥책 - 청대 건륭_1736년~1795년 ◆ 회옥쌍구(灰玉雙駒) - 청대 건륭_1736년~1795년 ◆ 백옥금여지(白玉錦荔枝) - 청대 건륭_1736.. 2023. 2. 7. 2023_1_국립고궁박물원1_3층_옥기(玉器)1 2023_1_국립고궁박물원1_3층_옥기(玉器)_302호, 306호, 308호. - 버스정류소 부근에 안내표이다. - 우리는 1층에서 표를 구매한 후 한국에서 온 젊은 남성 2명과 3층부터 관람을 시작했다. 이번에는 특별전이 문을 닫았다. 302호 - 신석기시대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 경천격물(敬天格物) - 타이완 국립고궁박물원 옥기(玉器) 정화전(精華展) # 옥의 영혼 # 옥방탁(玉方鐲) # 옥방탁(玉方鐲) ◆ 옥부(玉斧) - 홍산문화(紅山文化)_B.C.4500년~3000년 松黑至遼西地區新石器時代 整個東北地區在史前時期都流行用閃玉製作厚重的玉斧,遼東地區玉斧多在柄部有穿孔,遼西及松黑地區出土的玉斧多無穿孔。應是用手握執使用。如這件玉斧的刃部有兩種不同方向的一道道短斜線磨蝕痕,證明手斧不分正反面,先民可以任意變更握拿的方向去.. 2023. 2. 7.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5_2층_서화2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5_2층 # 서화2 ◆ 소약도(燒藥圖) - 명 당인(唐寅) 1470~1824. ◆ 옥동소단(玉洞燒丹) - 명 구영(仇英) 1484~1552. ◆ 진 왕헌지(王獻之) 신기환첩*腎氣丸帖) ◆ 서상기생전(書桑寄生傳) - 명 동기창(董其昌) 1555~1636. ◆ 임 황정경(臨黃庭經) - 명 축윤.. 2018. 7. 22.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4_2층_서화1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4 # 2층_서화1 ◆ 홍백국(紅白菊) - 민국 오창석(吳昌碩) ◆ 무관 팔단금책(無款 八段錦冊) - 淸 - 달마이륵팔단금(達摩易筋八段錦) 2018. 7. 22.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3_2층_도자기7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3_2층 # 도자기7 ◆ 주둥이가 좁은 보라색 도자기 ◆ 강희어제(康熙御製)가 쓰인 보라색 바탕 주발 ◆ 강희어제(康熙御製)가 쓰인 황색 바탕의 주발 ◆ 주둥이가 2개인 옥색 병 ◆ 양쪽에 손잡이가 있는 옥색 병. ◆ 주둥이가 넓은 군청색 .. 2018. 7. 22.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2_2층_도자기6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2_2층 # 도자기6 ◆ 백색 바탕에 붉은 색 물고기가 그려진 주발 ◆ 백색에 푸른색 그림의 도자기 ◆ 물고기와 수초가 그려진 접시 ◆ 용무늬 주발 ◆ 주발 ◆ 백색 바탕에 푸른색으로 꽃을 그린 도자기. 낮은 다리가 있다. ◆ 정덕년제(正德.. 2018. 7. 22.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1_2층_도자기5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1_2층 # 도자기5 ◆ 비취색 단지 ◆ 푸른색 꽃무늬 매병 ◆ 푸른색 주발 ◆ 푸른색 매병. 뚜껑이 있다. ◆ 향로?? ◆ 주색 주전자 ◆ 감색 주전자 ◆ 푸른색 그림에 손잡이가 있는 도자기 ◆ 옥색 사발 ◆ 주발 ◆ 받침대가 하나로 연결된 주.. 2018. 7. 22.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0_2층_도자기4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20_2층 # 도자기4 ◆ 화문을 아로 새긴 옥색 병 ◆ 화문을 아로 새긴 옥색 사발 ◆ 위에 손잡이가 있는 주전자 ◆ 백자획화포수룡이방호(白瓷劃鋪首龍耳方壺) - 북송_금 定窯 ◆ 화문을 아로 새긴 접시 ◆ 1. 청자접(靑瓷碟) ◆ 2. 청자세(靑瓷.. 2018. 7. 22.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9_2층_도자기3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9_2층 # 도자기3 ◆ 아름다운 무늬가 있는 갈색 바탕의 주전자 ◆ 청동?? ◆ 조롱박이 그려진 양쪽에 귀가 있는 병 ◆ 청동주전자?? - 손잡이의 무늬가 무엇인지? 손잡이와 물 따르는 곳은 청동을 노출시키고, 뚜겅은 예쁜 보석으로 치장. ◆.. 2018. 7. 22.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8_2층_도자기2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8_2층 # 도자기2 ◆ ◆ ◆ ◆ 가(斝) - 청동기에서 도자기로 변신~ ◆ ◆ ◆ ◆ ◆ ◆ ◆ ◆ ◆ ◆ ◆ ◆ ◆ ◆ ◆ ◆ 2018. 7. 22.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7_2층_도자기1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7_2층 # 도자기1 ◆ "汝窯~"가 쓰여진 도자기 - 과일 씼는데 사용. ◆ 백자찬대호(白瓷穿帶壺) - 당(唐) ◆ 회도가채사녀용(灰陶加彩仕女俑) - 唐 ◆ ◆ ◆ ◆ ◆ ◆ ◆ ◆ ◆ ◆ ◆ 흑도고족배(黑陶高足盃) - 龍山文化 ◆ 백자규(白陶鬹) - 新石器時代 大汶口文化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8. 7. 22.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6_1층_불교조각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6_1층 #_불교조각 - 복도 중앙 ◆ # 불상(佛像) ◆ ◆ ◆ ◆ ◆ ◆ ◆ ◆ ◆ ◆ ◆ ◆ 석가모니불좌상(釋迦牟尼佛坐像) - 北魏 太和 元年 <박물관> ◆ ◆ ◆ ◆ ◆ ◆ ◆ ◆ ◆ ◆ ◆ ◆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5_1층_진완_가구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5_1층 # 진완_가구 ◆ 대길(大吉) ◆ ◆ ◆ ◆ ◆ ◆ ◆ ◆ ◆ ◆ ◆ ◆ ◆ ◆ ◆ ◆ ◆ ◆ ◆ ◆ ◆ ◆ 산호괴성점두분경(珊瑚魁星點斗盆景) - 청 <박물관> ◆ ◆ ◆ ◆ ◆ ◆ ◆ ◆ ◆ ◆ ◆ 화법랑황지모란문번룡병(畫琺瑯黃地牡丹紋蟠..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4_1층_도서2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4_1층 # 도서문헌2 사고전서는 전시실에서는 아예 촬영금지이다. 눈으로만 보세요. ◆ 사고전서(四庫全書) 간명목록(簡明目錄) ◆ 예기집설(禮記集說) ◆ 예기(禮記) ◆ 명판(明版) 임천 오문정공집(臨川 吳文正公集) ◆ 장서인기(藏書印記) ◆ 동국사략(東國史略) -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책이다. ◆ 신간교정고본대자 음석(新刊校正古本大字 音釋 ) 삼국지 통속연의(三國志 通俗演義) - 명 만력 19년(1591) 간행. ◆ 어찬 성리정의(御簒 性理精義) - 권4. 역학계몽(易學啓蒙) ◆ ◆ ◆ 흠정사고전서분가도(欽定四庫全書分架圖)_사부(史部)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3_1층_도서1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3_1층 # 도서문헌1 # 원장청대 역사문서 진품(院藏淸代 歷史文書 珍品) ◆ 선통2년 구월 상반 월분_수전당(宣統2年 九月 上半 月分 收電檔) ◆ 가경18년 구월분_공사당(嘉慶18年 九月分_供詞檔) ◆ 건륭 57년 삼월분_곽이객당(乾隆 57年 三月分_廓爾喀檔) ◆ 건륭 33년 면당(乾隆 33年_緬檔) ◆ 가경 11년 6월분_하계당(嘉慶 11年 6月分_夏季檔) ◆ 함풍 원년 12월_월탑(咸豊元年12月_月搨) ◆ 가경 10년 추동계_수수등기(嘉慶 10年_秋冬季 隨手登記) ◆ 이홍장 부(李鴻章訃) ◆ 황조문헌통고(皇朝文獻通考) ◆ 황조통지(皇朝通志) ◆ 황조통전(皇朝通典) ◆ 흠정 대청회전(欽定 大淸會典) ◆ 기거주책(起居注冊) ◆ 대청성조인황제성훈(大..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2_3층_청동기3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2_3층 # 청동기3 ◆ 음식을 담는 청동기 명칭과 한자(漢字) - 정(鼎) 력(鬲) 언(甗) 궤(簋) 수(盨) 보(簠) - 대(敦) 두(豆) 작(爵) 가(斝) 고(觚) 치(觶) 포(鋪) - 굉(觥) 유(卣) 화(盉) 뇌(罍) 준(尊) - 호(壺) 이(彞) 반(盤 ) 우(盂) 이(匜) ◆ 악기와 무기 - 감(鑑) 요(鐃) 박(鎛) 월(鉞) - 모(矛) 과(戈) 극(戟) 검(劍) 노(弩) 기(機) ◆ ◆ ◆ ◆ ◆ ◆ ◆ ◆ ◆ ◆ ◆ ◆ 동경(銅鏡) ◆ 이(匜) ◆ ◆ 성식기(盛食器) ◆ ◆ 손잡이가 있는 용종. ◆ 윗부분에 소머리 장식이 있는 유물 ◆ ◆ ◆ 뚜겅에 5마리 짐승이 장식된 유물 ◆ ◆ ◆ 짐승 모양 주둥이가 있는 주전자 ◆ ◆ 옥쇄(..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1_3층_청동기2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1_3층 # 청동기2 ◆ 뚜겅 내부에 글자가 새겨진 정(鼎) ◆ 호(壺) ◆ ◆ 화(盉) - 내용물을 따르는 주둥이가 있다. ◆ 궤(簋)?? ◆ 강후방정(康侯方鼎)- 西周 早期 ◆ ◆ 뿔 달린 용모양 손잡이가 있는 유물 ◆ ◆ 송호(頌壺)- 西周 晚期 ◆ 호(壺) ◆ 산반(散盤) - 西周 晚期- 내부에 많은 글자가 새겨져 있다. ◆ 준(尊)?? ◆ ◆ 궤(簋)?? ◆ 아추방궤(亞醜方簋)- 商晚期_西周早期 ◆ ◆ ◆ 준(尊)?? ◆ 준(尊) ◆ ◆ # 무기 ◆ 감록송백석수면문월(嵌綠松石獸面紋鉞)- 녹색으로 소나무와 돌을 상감한 짐승 무늬 도기- 商 後期 ◆ ◆ 월(鉞) ◆ ◆ ◆ 투구 ◆ ◆ ◆ ◆ 송호(頌壺)- 西周 晚期- 위에 박물관사진 있음. ◆..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0_3층_청동기1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10_3층 # 청동기1 ◆ 주둥이가 긴 유물 ◆ 꼭지가 휘어진 박 모양의 유물 ◆ 귀에 끈을 맬 수 있는 유물 ◆ 동물이 새겨진 검 ◆ 손잡이 장식이 아름다운 검 ◆ ◆ ◆ ◆ 용머리 모양 손잡이가 있는 유물 - 용무늬가 매우 섬세하다 ◆ ◆ ◆ 단..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9_3층_유목민족의 문화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9_3층 # 북방 유목민족의 문화 - 마음으로 보는 문화. 단체 관광객이 오면 가이드의 설명 때문에 잠시 혼잡하지만 몽골군이 유럽에서 사라지듯 몇분이 지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조용해진다. # 북방의 다양한 민족이 민족도 나라도 사라졌..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8_3층_가남 대향(茄楠 大香)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8_3층 # 가남 대향(茄楠 大香) - 향과 관련한 유물. # 천향 가남_향완문화특전(天香茄楠_香玩文化特展) ◆ ◆ ◆ ◆ ◆ ◆ ◆ ◆ ◆ ◆ ◆ ◆ ◆ ◆ ◆ 향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향나무.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7_3층_옥기_7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6_3층_옥기_7 #옥기 ◆ ◆ ◆ 1. 신조면문옥기(神祖面紋玉器) - 하(夏) 만기 ◆ 2~3 신조면문옥기(神祖面紋玉器) - 석가하 문화 만기 <1> <2> <3> ◆ ◆ ◆ ◆ ◆ ◆ ◆ ◆ ◆ ◆ ◆ ◆ ◆ ◆ ◆ ◆ ◆ ◆ ◆ ◆ ◆ ◆ ◆ 오른쪽: 양 뒤에 .. 2018. 7. 21. 2018_타이완_타이베이_대만 국립고궁박물원6_3층_옥기_6 2018_타이완_타이베이Táiběi_대만 국립고궁박물원6_3층_옥기_6 #옥기 ◆ 자연을 숭상한 사실적인 풍모 ◆ 상징법통의 "봉선(封禪)" 옥책 ◆ 삼대를 추모한 방고(仿古) 옥기 ◆ 문화의 경축과 융합 ◆ 구멍을 뚫는[鑽孔] 기술 ◆ 찬공(鑽孔)과 누공(鏤空) ◆ 옥산(玉鏟) - 용산 ◆ 옥종(玉琮)_미.. 2018. 7. 2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