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타이베이 국립고궁박물원

2023_1_국립고궁박물원9_2층2

by isanjo 2025. 3. 13.

2023_1_국립고궁박물원9_2층2

 

◆ 청화범문연화식반(靑花梵文蓮花式盤)_범어가 그려진 연꽃모양 청화백자 소반.

- 명나라 만력 연간(1573~1620)

- 故瓷 16012

 

 

◆ 발우??

 

 

◆ 가유쌍연방수주(哥釉雙蓮房水注)_두개의 연밥 모양 가유 연적.

- 명나라 만력 연간(16~17세기)

- 故瓷 17786

 

*가유(哥釉) : 가요(哥窯)에서 사용한 유약이다. 가요유약은 송대, 5대, 유명한 가요에서 생산하였다. 광택이 없는 유약에 속하며 마치"수유(酥油)" 광택과 같으며 색조가 풍부하고 다채로우며 미황(米黃), 분청(粉靑), 유백(乳白) 등 여러가지 색이 있다.

 

 

◆ 청화해수파도문고족배(靑花海獸波濤紋高足杯)

- 명나라 선덕 연간(1426~1435)

- 故瓷 15140

* 잔 속에 범어도 있다.

 

 

◆ 청화용문작‧반(靑花龍紋爵盤)

- 명나라 영락 연간(1403~1424)

- 故瓷 9221, - 故瓷  9243

 

 

◆ 분채반도천구병(粉彩蟠龍桃天球甁)

- 청나라 건륭 연간(1736~1795)

- 中? 34

 

 

◆ 태평유상자준(太平有象瓷尊)

- 청나라 18세기.

- 故瓷12920


# 박물관 사이트 해설

<코끼리 낙타 보배로운 병 도자기 조소>

코끼리가 네 발을 서서 머리를 기울여 쳐다보는 형태이다. 두 눈을 약간 뜨고 코는 위로 말아 올라가 있고 양쪽에는 돌출된 긴 상아가 있으며 양쪽 귀가 아래로 처지고 꼬리를 앞으로 친다. 등 부위에는 하나의 보물 모양 안장을 걸치고 있으며 꼭대기에 도자기 준(尊)을 설치하며 두꺼운 긴 비단을 늘어뜨리고 여의‧길단‧박쥐‧파도와 술길‧구슬무늬 등을 그렸다.

코끼리의 몸에는 회갈색 유약을 바르고 부분적으로 짙은 색의 털을 장식하였다. 네 발 밑은 유약이 없어 태(胎)가 드러난다. <등에 얹은> 자기준은 호록(湖綠)색 유약을 기본으로 하고 홍록(紅綠)색 번련(番蓮) 문양을 그리고 가장자리는 도금하였다. 작품 전체는 위엄과 맵시는 없지만 그릇의 형태, 문양과 장식은 건륭조에 생산되었을 가능성을 드러나고 있다. 안장의 비단 문양에는 수산복해(壽山福海)‧길경여유(吉慶有餘)의 상징이 있는데, 코끼리와 보배로운 병은 모두 "태평유상"을 구성하여 관청 풍의 조형에 속한다. 도자기 태(胎) 이외에도 구리 태가 있는 절사 법랑 제품도 있는데, 모두 한 쌍으로 진열되어 있다.

<象駝寶瓶瓷塑>

大象四足直立,側首回視,雙眼微睜,鼻子上卷,兩側突出長牙,雙耳下垂,尾巴前拍。背部披掛一元寶形鞍,頂置出戟瓷尊,下垂厚長錦緞,彩繪如意、吉罄、蝙蝠、波濤和纓絡、連珠紋等。

象身施灰棕色釉,局部加飾深色毫毛。四足底端無釉露胎。出戟瓷尊以湖綠釉為地,彩繪紅綠番蓮紋,邊戟塗金。整件作品無款,但器形與紋飾透露出產製於乾隆朝的可能性。鞍錦紋樣有壽山福海、吉慶有餘的象徵,大象和寶瓶共組「太平有象」,係屬官樣造型。除了瓷胎之外,亦有銅胎掐絲琺瑯製品,均成對陳設。

 

 

 

◆ 

 

 

 

◆ 법랑채구공추광도배(琺瑯彩鴝鵒秋光圖杯 ) *구관조 그림이 그려진 법랑 잔 1쌍.

- 청나라 옹정 연간(1723~1735)

 - 故瓷17744-17745

 

 

◆ 분채구안도쌍연개관(粉彩久安圖雙連蓋罐)_분채로 구안도를 그린 뚜껑 2개가 연결관 단지.

- 청나라 건륭 연간(1736~1795)

- 故瓷17873

 

 

 

◆ 법랑채행류춘연도산두병(琺瑯彩杏柳春燕圖蒜頭甁)

봄날 살구나무에 제비가 노니는 그림이 그려진 마늘 모양 머리의 법랑 병.

- 청나라 건륭 연간(1736~1795)

- 故瓷 17627

 

 

◆ 뚜껑에 "대아재(大雅齋)" 쓰여진 합.

- 청나라 18세기

 - 故瓷 17627

 

◆ 

 

 

 

◆  공작녹유수면문방(孔雀綠釉獸面紋鈁)_공작깃 색상의 녹유를 입힌 짐승 얼굴 문양이 새겨진 방(鈁)

- 청나라 강희 연간(1662~1722)

 

◆ 

 

◆ 

 

 

◆ 

 

 

◆ 청자궤(靑瓷簋)_청자로 만든 제기 궤.

- 남송 관요

- 12~13세기

 

 

◆ 청자관이호(靑瓷貫耳壺)_ 관이(貫耳)가 달린 청자 호.

- 남송 관요.

- 12~13세기 

 

◆ 

 

 

 

◆ 제청묘금유어전심병(霽靑描金游魚轉心甁)

- 청나라 건륭 연간(1736~1795)

 

# 이 병은 내외 두 층으로 나뉘는데, 외병은 전체가 금을 묘사하고, 남색의 맑은 유약을 발랐다.병 입구에는 네모난 여의 문양이 그려져 있고, 목에는 연주문, 어깨에는 화훼문이 그려져 있다. 복부에 화훼 무늬가 그려져 있고 네 개의 꽃잎 모양의 창문이 새겨져 있다. 속에 있는 병은 흰 유약을 발라 분채 물고기 무늬로 장식했다.안에 있는 병을 돌릴 때 외병의 펀칭에서 연못에서 물고기를 헤엄치는 그림을 볼 수 있다.

 

 

◆ 용그림이 그려진 뚜껑 있는 병 

- 청나라

 

 

◆ 입이 5개 달린 병.

- 청나라

 

 

◆ 분채번련문포복식병(粉彩番蓮紋包袱式甁)_연꽃이 연견된 문양이 있고 보자기로 싼 형식의 분채 병. 

- 청나라. 가경 연간(1796~1820)

 

 

◆  분채백접문병(粉彩百蝶紋甁)_수많은 나비 문양이 그려진 분채 병.

- 청나라. 광서 연간(1875~1908)

 

 

◆ 홍유고관이호(紅釉貫耳壺)_붉은 유약을 바른 관이가 달린 호.

- 청나라. 선통 연간(1909~1911)

 

 

◆ 녹지어룡도화식병(綠地魚龍圖花式甁)_녹색 바탕에 물고기와 용 그림과 꽃이 있는 병.

* 양쪽에 고리 모양이 붙어 있다.

- 청나라. 광서 연간(1874~1908)

 

 

 

◆ 양채금상첨화영롱투병(洋彩錦上添花玲瓏套甁)_서양식으로 칠한 '금상첨화'의 영롱한 구멍 뚤린 병.

- 청나라. 건륭 연간(1736~1793

- 故瓷 12245

* 투병(套瓶): 진설용 도자기로 누공기법을 사용한 병으로 안에도 병이 있다.

 

◆ 

 

 

 

◆ 양채홍금지개광산수선완(洋彩紅錦地開光山水膳碗)_ '紅錦'에 ' 開光山水'를 서양식으로 채색한 반찬 그릇.

2건. *나무상자 포함.

- 청나라. 건류연간

 

 

# 복도

호도가채사녀용(灰陶加彩仕女俑)_회도에 채색한 궁녀 인형.

- 서전당(徐展堂) 선생 기증.

- 당나라(618~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