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행/경주19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3_안압지 유물1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3_안압지 유물11 # 철제 도구와 무기류 ◆ 좌: 쇠도끼 / 우: 쇠스랑. ◆ 쇠도끼. ◆ 쇠자귀 ◆ 쇠가지창. ◆ 쇠창. ◆ 쇠투구. ◆ 쇠재 # 동물 ◆ 산양뼈 ◆ 좌: 맹금류뼈 / 중: 기러기뼈 / 우: 꿩뼈 ◆ 좌: 사슴뼈 / 우: 노루뼈. ◆ 개뼈. 2024. 2. 16.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2_안압지 유물10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2_안압지 유물10 # 다양한 생활용품 ◆ 우: 새와 꽃무늬 뼈장식 ◆ 좌: 뼈로 만든 가르마 도구 ◆ 좌: 청동비녀채 / 중: 청동 손칼 / 우: 청동 가락지 ◆ 청동 원통모양 합. # 거울과 구슬. ◆ 구슬 ◆ 청동 거울. ◆ 나무빚. ◆ 우: 뼈골무 ◆ 명문이 있는 뼈 제품. ◆ 14면 나무 주사위. ◆ 곱돌 바리 ◆ 곱돌 그릇 뚜겅. ◆ 도가니. ◆ 유리잔. ◆ 쇠가위. ◆ 가락바퀴. 흙과 돌로 만든 것들이 있다. - 흙. ◆ 그물추. ◆ 흙구슬. 2024. 2. 15.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1_안압지 유물9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1_안압지 유물9 ◆ 유리 옥장식 ◆ 수정 장식 ◆ 비취 장식 ◆ 금동화불=독존 불상. ◆ 나무 산개(傘蓋) 축 소나무리 만든 것이다. 위아래로 쇠고리가 달린 원주형이다. 장식은 썪어 없어지고 현재는 일부 금속과 목재만 남아 있다. 몸통에는 작은 구멍이 사방으로 뚫려 있다. 이 산개축은 원래는 흑칠이 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일부만 남아 있다. ◆ 금동 광배(光背) ◆ 금동 광배. ◆ '불감제일(佛龕第一)'이 새겨진 칠판. ◆ 금동 연꽃 받침. ◆ 금동 부처손[佛手] 2024. 2. 14.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0_안압지 유물8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0_안압지 유물8 ◆ 금동비로자나불( 金銅毘盧遮那佛) 입상. ◆ 금동불(金銅佛) 좌상. ◆ 금동여래(金銅如來) 입상. ◆ ◆ 금등불 입상. ◆ 금동판 보살 좌상 - 안압지 1451, 1452, 1453, 1477. # 어디에 모셔져 있었을까? ◆ 금동판 삼존불 좌상. # 왕실의 신앙, 아미타불인가? 석가불인가? # 불교 조각. ◆ 금동화불(金銅化佛) 공양자상(供養者像) ◆ 금동화불(金銅化佛)-삼존불상. ◆ 금동화불(金銅化佛) 비천(飛天) 천인상(天人像) ◆ 금동화불(金銅化佛) 2024. 2. 13.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9_안압지 유물7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9_안압지 유물7 ◆ 금속 건축 장식품 ◆ 금동 용머리 장식. ◆ 금동 보상화 무늬 문고리. ◆ ◆ ◆ ◆ ◆ 금동 방울. ◆ 금동 풍탁. ◆ 금제 장식. ◆ 금동 발걸이. ◆ 금동 봉황장식. ◆ 금동 심지 가위. ◆ 곱돌 향로 뚜껑. ◆ ◆ 곱돌 사자상. 2024. 2. 1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8_안압지 유물6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8_안압지 유물6 # 중국 도자기 ◆ 청자(靑瓷) ◆ 당삼채(唐三彩) ◆ 백자(白瓷) # 금동 서까래 장식. ◆ 금동 마구리 장식. ◆ 금동 연꽃봉오리 장식. # 금속공예 ◆ 반구형 청동 장식. ◆ 반구형 토제 장식. ◆ 금동 꽃모양 장식. ◆ 금동 꽃모양 장식. ◆ 금동 장식판. 2024. 2. 1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7_안압지 유물5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7_안압지 유물5 # 목간(木簡) # 음식과 관련된 목간. # 안압지 난간. # 난간(欄干) # 2층에서 바라본 전시관 전경 # 금속으로 만들 생활 용기. # 청동 사발. ◆ 청동 사발. ◆ 청동 사발 - 이것이 사발? *최소한 무엇을 따르는 도구.. 차, 물... ◆ 청동 접시 ◆ '대조(大祖)'가 새겨진 청동 접시. ◆ 청동 뚜껑 * 무엇을 뚜껑일까요? # 숫가락 * 내가 좋아하는 신라, 고려의 숫가락. 한 번에 먹을 만큼 국과 밥을 뜰 수 있다. 현재의 숫가락은 사실.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 청동 국자 ◆ 칠기 사발 ◆ 칠기합 2024. 2. 1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5_안압지 유물3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5_안압지 유물3 # 다양한 토기들. ◆ 질시루 ◆ 접시 / 찬합모양 토기. ◆ 새 문양이 찍힌 풍로(風爐). ◆ 사발. ◆ 등잔(燈盞). ◆ 돌벼루. ◆ 흙벼루. ◆ 다리 달린 벼루. ◆ 녹색 유약을 바른 벼루 다리 / 녹유 벼루 조각. # 벼루[硯] ◆ 2024. 2. 9.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4_안압지 유물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4_안압지 유물2 # 안압지 유물관 사이 창으로 바라본 다보탑과 석가탑. # 통일신라의 생활. 그릇. ◆ 뚜껑 굽다리 접시 ◆ 작은 단지[小壺] / 굽다리 접시[高杯] ◆ 굽다리 사발[臺附盌]. ◆ 사람문양이 있는 대접. - 매우 특이하다. 그릇 안쪽에 사람 형태의 문양이 있다. ◆ 접시(楪匙) # 찍은 무늬[印花紋] 토기. ◆ 찍은 무늬 합. / 뚜껑. ◆ 찍은 무늬 목 긴 항아리 ◆ 찍은 무늬 사발 / 토기 뚜껑. ◆ 단지. ◆ 찍은 무늬 사발. ◆ 단청(丹靑)을 칠할 때 사용하 그릇. ◆ 작은 항아리. ◆ 작은 단지. ◆ 네 귀 달린 항아리[四耳壺]. ◆ 매병모양 토기. 2024. 2. 8.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3_안압지 유물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3_안압지 유물1 # 바다처럼 조성한 월지(月池) # 기록으로 보는 월지 # 발굴로 본 통일신라의 궁원지. 월지. # 건축 부재 ◆ 공포(拱包) ◆나무 물마개[木栓] ◆ # 벽돌[塼] ◆ 전(塼) # 문자로 본, 월지의 축조 시기와 성격. ◆ 명문이 있는 자물쇠. ◆ 명문이 있는 암기와. ◆ 수막새 ◆ 연꽃무늬 마루 수막새 ◆ 녹유 당초무늬 암막새 ◆ 녹유 연꽃무늬 마루 수막새 ◆ 보상화 당초무늬 모서리 기와. ◆ 용얼굴무늬 기와. # 기와의 명칭. ◆ 치미. # 동북아시아의 기와 변천. ◆ 연꽃무늬 수막새. ◆ 사자무늬 수막새. ◆ 새무늬 수막 ◆ 좌: 연꽃 무늬 작은 수막새 중: 보상화무늬 작은 수막새 우: 가륭빈가무늬 수막새 ◆ 연꽃무늬 수막새 연꽃보상화무늬 수막새 # 기.. 2024. 2. 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2_외부2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2_외부2 ◆ 석등 ◆ 머리 잃은 부처들. ◆석탑 기단 * 면석 ◆ 나한상 모서리 기둥 ◆ 고선사터 삼층석탑 ◆ 고선사 터 비석 받침. ◆ 고선사 터 ◆ 돌로 탑을 쌓은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 석탑의 전형이 된 신라 석탑 ◆ 관음보살 ◆ 부처 ◆ 경전 합. ◆ 수구다라니. 사진. ◆ 승소골 삼층석탑 2024. 2. 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_외부1 2024_01_국립경주박물관1_외부1 # 건물 안내도 - 사진 상에는 건에 푯히된 숫자가 잘 보이지 않는다. 1. 정문 2. 박물관 가게 * 3. 신라역사관 4. 성덕대왕신종 *에밀레종. 5. 월지관[안압지관] *본관과 또 다른 느낌. 6. 수묵당 7. 고청지 8. 카페테리아 9. 신라 천년 보고[영남권 수장고] 10. 고선사터 삼층석탑 11. 신라미술관 *그림이 아닌 돌과 기와. 12. 강당 / 사무동 / 세미나실 13. 특별전시관 *답사 당시 전시관은 진짜 특별했음.?? 14. 어린이박물관 15. 편의점 16. 신라 천년 서고 ◆ 승복사터 쌍거북 비석 받침. - 비석은 없지만 비석의 세부 명칭 설명이 있다. 제액(題額): 맨 위에 비석의 이름을 새긴 부분. 이수(螭首): 용을 새겨 장식한 비석 머릿돌.. 2024. 1. 31. 2023_07_경주8_교동 최부자집 2023_07 07 _경주8_교동 최부자집 # 경주 교촌 마을. 혹시 ~통닭을 연상할 수도..... 향교가 있어서 교촌(校村)이다. # 경주 교동법주 # 독립유공자 최준(崔浚) 선생 생가 안내판. # 경주 최부자댁 설명판. # 최부자집 내부 - 비가 내려서 이동은 불편했지만 덕분에 운치가 있었다. - 사람들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대부분 여기서 다시 돌아갔다. # 장독대가 집의 중앙에 있다. # 마루에 "경주최부잣집 딸들 친정나들이"가 소개되어 있다. # 마당의 정원수. # 최부자집 6훈(訓) 1. 과거를 보되 진사(進士) 이상 하지마라. 2. 재산을 만석(萬石) 이상 모으지마라. 3. 흉년에는 땅을 늘리지마라. 4. 과객을 후(厚)하게 대접하라. 5. 사방백리 안에 굶는 사람이 없게 대접하라. 6. 시.. 2023. 10. 3. 2023_07_경주6_불국사3 2023_07 07_경주6_불국사3 ◆ 나한전(羅漢殿) - 여기는 젊은 스님이 염불을 하고 있었다. - 종이를 보고 읽었다. ◆ 극락전(極樂殿) - 일명 복돼지 건물. ◆ 극락전 복돼지 # 극락전 설명판. ◆ 금색 복돼지. # 극락전 석등. ◆ 석기(石器) # 해우소(解憂所). ◆ 불교미술관 ◆ 범종(梵鍾) # 범종각(梵鍾閣) - 현판은 만당(晩堂)이 썼다. # 다시 돌아온 불국사 앞 마당. # 서쪽 불국사 종합안내판. # 서문으로 내려가는 길 너무 고즈넉하다. # 불국사 서문. # 불국사 복원 기념비. # 서문 현판 - 토함산 불국사 # 문화재 관람수칙 7가지. # 연못의 수양버드나무. 2023. 9. 25. 2023_07_경주5_불국사2 2023_0707 _경주5_불국사2 # 왼쪽으로 걸어 올라가면 만나는 건물 뒷편의 모습이다. ◆ 다보탑(多寶塔) ◆ 경주 불국사 다보탑 설명판 # 다보탑 국보 20호 표지석. ◆ 자하문(紫霞門)_내부 설명서. ◆ 경주 불국사 석가탑(釋迦塔)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설명판. # 국보 21호 불국사 삼층석탑 표지석. ◆ 대고(大鼓) ◆ 불국사 석등 # 불국사 대웅전(大雄殿) ◆ 무설전(無說殿) - 대웅전 뒷편에 있다. - 계단이 엄청 가파르다. ◆ 관음전(觀音殿) - 1604년에 중창했고 1973년에 불국사가 복월될 때 관음입상도 다시 만들었다. # 33관음성지 # 여기도 가파른 계단. 이쪽에 사람이 거의 없다. ◆ 비로전(毘盧殿) # 비로전 설명판. - 여기는 나이든 스님이 열불을 하고 계신다. # 경주.. 2023. 9. 24. 2023_07_경주4_불국사1 2023_07_경주4_불국사1 # 불국사 입구 고등학교 수학여행 이후 2번째이다. - 입장료는 무료이다. 관리원 아저씨의 농담. "주지스님이 선생님들 온다고 무료로 입장하라고 하셨습니다." 덕왈 "감사하다고 전해주세요." # 불국사 안내도. # 세계유산 불국사 # 불국사 현판. # 매표소 - 문을 들어가서 오른쪽에 있다. # 사적 제502호. 경주 불국사. ◆관음송(觀音松) - 정문 왼쪽에 있다. # 생명의 신비. # 천왕문(天王門) ◆ 원추리. 꽃이 한창이다. ◆ 사천왕상. # 불국사 박물관. 입구. # 불국사 입구. ◆ 자하문(紫霞門) - 원래 입구. 지금은 폐쇠되었다. ◆ 불국사 연화교(蓮花橋) 및 칠보교(七寶橋) ◆ 범영루(泛影樓) # 범영루 설명서 # 경주불국사 가구식 석축 설명서. # 가구식 .. 2023. 9. 23. 2023_07_경주3_동궐_안압지 2023_07 07 _경주3_동궐_안압지. - 어릴 때는 '안압지'라고 불렀다. 말 그대로 기러기와 오리가 노니는 연못[雁鴨池] 지금 2개의 큰 건물이 있다. # 동궁과 월지의 건물 설명서 ◆ 석조 유구(石造遺構) ◆ 연못에 마름 잎사귀가 떠 있다. # 동궐 모형도. # 5홍 복원 건물 # 연못 건너에서 바라본 건물. ◆ 연못을 노니는 오리. # 궁터에 남아 있는 돌을 사용한 흔적이 보인다. ◆ 맥문동. 꽃이 피었다. ◆ 왜가리 ◆ 배롱나무 안압지. 2023. 9. 22. 2023_07_경주2_대릉원_천마총 2023_07 07 _경주2_대릉원_천마총 # 무덤 복원도. # 금신 # 천마총의 시대_마립간의 시대 ◆ 천마도가 그려진 말다래. 복제품. - 원본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백화수피로 만든 천마도 말다래 ◆ 대나무로 만든 천마문 금동장식 말다래 ◆ 금동 투조 말안장 앞뒤 가리게 *복제품 ◆ 금동장식 재갈 / 금동 투조장식 재갈 / 금동 발걸 ◆ 금동 솟물 장식 ◆ 말띠 드리개 ◆ 목관 ◆ 무덤 주인의 금장식 ◆ 금제 접형(蝶形) 관식 - 고대 지배층의 위세품. 금제관식. - 왕벽한 좌우대칭 나비 모양 도안. -◆ 자작나무로 만든 모자 위에 올린 금제 관모 - 섬세한 용, 뚫음문양 최고 금속공예술. ◆ 금제 조익형(鳥翼形) 관식 - 고대 지배층이 쓴 모자의 위세품. 금제관식 - 섬세한 달개장식.. 2023. 9. 22. 2023_07_경주1_대릉원 미추왕릉 2023_0707_경주1_대릉원 미추왕릉 - 비가 많이 내리고 있어. 미추왕릉 문 주변에서 설명을 들었다. # 경주 미추왕릉 설명서 # 무덤 앞 제단. # 묘비 - 생각보다 초라하다. 어차피 없던 것을 세워서 그럴 것으로 보인다. # 묘비에 "신라 미추왕묘"라고 새겨져 있다. "新羅"는 전서. "味鄒王墓"는 해서로 되어 있다. # 혼유석 2023. 9.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