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고대유물_유형별185 고대유물_132_치(觶) ◆ 치(觶)_청동 2016_타이완[대만]_타이베이4_국립역사박물관13_청동기4 ◆ 치(觶)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 서측_N16_애국정회1_청동기 ◆ "부정父丁" 청동 술잔_치[觶]- 상대 ◆ 새 무늬 청동 술잔_치[鳥紋靑銅觶]- 서주西周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남관4층_2호 중앙西_청동기1_추가 ◆ 술잔_치(觶) - 상대 후- 이 기물의 안쪽 바닥에는 한마리 새 모양 그림이 있고 그 아래에 "父己"라는 명문이 주조되어 있어, 이 기물이 선고의 묘호를 쓴 것을 알 수 있다. 2019_베이징 국가박물관 4층 북16_해대조종(海岱朝宗)_산동 고대 유물15 ◆ 테두리가 문양 청동 잔[弦紋靑銅觶]- 서주 초기- 산동성 高靑陳庄 유지 18호묘 출토- 산동성 문물고고연구원 소.. 2024. 7. 27. 고대유물_170-3_문자3 # 문자3 ◆ 几父壺_섬서박물관_1296 ◆ 도철 무늬 청동 기夔 모양의 다리가 있는 솥_정[餮饕紋靑銅夔足鼎] ◆ 伯方鼎_섬서박물관_1231 ◆ 伯百父盤_섬서박물관_1157 ◆ 伯甗_섬서박물관_1225 ◆ 史~簋_섬서박물관_1219 ◆ 五祀衛鼎_섬서박물관_1171 ◆ 王作仲姬鼎_섬서박물관_1134 ◆ 鼎_서주_섬서박물관_1295 ◆ 鼎_섬서박물관_1292 ◆ 琱生鬲_섬서박물관_1196 ◆ 琱生豆_섬서박물관_1204 ◆ 추가_CSD_1412 ◆ 它盤_섬서박물관_1307 2023. 7. 29. 고대유물_170-2_문자2 # 문자2 ◆ “위지삼공(位至三公)”이 새겨진 동경 ◆ 국차 담(國差𦉜(甔))_술통 ◆ 청동정(靑銅鼎) ◆ 관아 정(寬兒鼎) ◆ 서왕의초단(徐王儀楚耑) ◆ 아추기부유(亞醜杞婦卣)_'亞醜' 杞婦가 새겨진 술통. ◆ 미상 ◆ 반(盤)_2015_4 북경4_이화원 ◆ 도철 무늬 청동 기夔 모양의 다리가 있는 솥_정[餮饕紋靑銅夔足鼎] ◆ 내부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 악계헌 수(樂季獻盨)- 西周 晚期 ◆ 궤_추가 ◆ 뚜껑 ◆ 반(盤)?? ◆ 화(盉) ◆ 뚜겅 내부에 글자가 새겨진 정(鼎) ◆ '不~' 청동 구의 뚜껑[不~靑銅㲃蓋] ◆ '려盠' 청동 망아지 준[盠靑銅駒尊] ◆ '강후康侯' 청동 도끼_부[康侯靑銅斧] ◆ '난서欒書' 청동 부(欒書靑銅缶) ◆ 비단무늬 청동 창_과[錦紋靑銅戈] 2023. 7. 26. 고대유물_170-1_문자1 # 문자1 ◆ 금으로 상감한 '악군 계鄂君啓' 청동 절[錯金鄂君啓靑銅節] ◆ 사재정(師𩛥鼎) ◆ 사승종((師丞鍾) ◆ 종중 반(宗仲盤) ◆ 외숙 정(外叔鼎) ◆ '아계亞啓' 청동 도끼_월[亞啓靑銅鉞] ◆ '흑백潶伯' 술통_유[潶伯卣] ◆ 고노 동권화석권(高奴銅禾石權)_ 고노(高奴)에 보낸 1石짜리 동권(銅權) ◆ 양조동수량(兩詔銅橢量) ◆ “상림(上林)”이 새겨진 동정(銅鼎)_구리솥 ◆ 처궤(𪓐簋) ◆ 중남보 력((中枏父鬲) ◆ 여방준(盠方尊) ◆ 중기보동궤(中其父銅簋) 1_청동기 편종 2023. 7. 26. 고대유물_011_2_동고(銅鼓) 동고(銅鼓) ◆ 서한 대개 우인선문 동제통(西漢帶蓋羽人船紋銅提桶) ◆ 한대우인선문 소동고(漢代羽人船紋小銅鼓) # 나라박물관_청동관 ◆ 동고(銅鼓) 2023. 7. 12. 고대유물_0000_ 종(鍾)2_술통 # 나라박물관_청동관 종(鍾)2_술통 2023. 7. 12. 고대유물_000_부뚜막 고대유물_000_부뚜막 ◆ 회도조(灰陶竈)_회색 토기로 만든 부뚜막. ◆ 질그릇 부뚜막[陶竈] ◆ 동조(銅竈)_부뚜막 # 나라박물관_청동관 ◆ 부뚜막(竈) 2023. 7. 12. 고대유물_078_1_솥[복(鍑)]2 고대유물_078_1_솥[복(鍑)]2 # 나라박물관_청동관 2023. 7. 12. 고대유물_163_화(盉) -화(盉)는 술 맛과 농도를 맞추는데 사용하였는데 이 역시 술을 데우는 데도 사용하였다. 二里頭文化 시기에 처음 보이기 시작해서 한 대까지도 계속 사용되었다. 화(盉)_陶 화(盉)_㺇盉_청동 # '作冊吳' 청동 盉_서주중기 # 나라박물관_청동관 ◆ 화(盉) 2023. 7. 12. 고대유물_051-1_박(鎛) 박(鎛)은 종(鐘)에 가까운 형태의 악기로 동주 시대에 유행했다. 종의 주둥이는 호(弧) 모양이 아니고 평평하다. 몸체 횡단면은 타원형이다. 귀족들은 연회를 베풀거나 제사를 지낼 때 늘 박을 편종, 편경과 함께 사용한다. 고리 단추[環鈕], 평평한 입구, 타원형 몸체가 특징이다. ◆ 짐승 모양 뉴가 있는 청동 종_박[獸鈕靑銅鎛] - 춘추_鄭 - 1923년 하남 신정 이가루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 '령(素+令:Ling)' 청동 종[素+令鎛] - 춘추_齊 - 1870년 산서 영하(榮河)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 鎛의 몸통에서는 174자의 명문이 있는데, Ling이 선조인 포숙아의 공로로 인하여 제후가 그에게 봉읍과 백성을 하사하였는데 Ling이 자신을 수양하는데 힘썼다고 기록되어 있다. - 포숙아는.. 2023. 2. 28. 고대유물_079_3[부(釜)]3 [부(釜)]3 ◆ '구구당' 회도부(丘丘堂灰陶釜) *萊西市 文管所 제공. - 춘추전국시기 - 이름은 위의 釜와 같은데, 이것은 타악기.... 2023. 2. 27. 고대유물_079_2[부(釜)]2 고대유물_079_2[부(釜)]2 # 부(釜)2_가마솥 - # 부(釜)의 가장 큰 특징은 다리가 없다는 것이다. 어릴 때 시골 초가집 부엌 부뚜막에 걸려 있던 바로 그 솥이름이 가마솥. # 나라박물관_청동관 ◆ 後: 솥[釜]_동 ◆ 도부(陶釜) # 질그릇 가마솥 - 신석기시대 - 2002년 종화시(從化市) 여전(呂田) 사상(獅象) 유지 출토 - 광주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부(釜)는 일종의 음식물을 삶는 취사도구이다. ◆ 은제솥[釜] ++++++ ◆ 제량 후루(提梁銗鏤)_손잡이가 있는 후루(銗鏤) - 서한시기 후루는 부(釜)의 종류로 음식을 익힐 때 사용한 그릇이다. 2023. 2. 27. 고대유물_086_순우(錞于) ◆ 순우(錞于) '錞釪'는 '순錞'이라고도 한다. 중국 고대에 동으로 만든 타악기로 현재 발견된 최초의 작품은 춘추시기에 유행하였다. 《국어(國語)·오어(吳語)》에서 "고정녕(鼓丁寧), 순우(錞于), 진탁(陳栈)"이라고 하였다. 《주례(周禮)·지관(地官)·고인(鼓人)》에서 "금(金)자와 고(鼓)자"라고 하였는데 이는 항상 순우를 북과 함께 쳐서 전쟁에서 진퇴를 지휘하는 데 쓰였다. # 나라박물관_청동관 ◆ 순우(錞于) 2023. 2. 27. 고대유물_085_수저(水貯) ◆ 수저(水貯) - 화재 대비용 물통. 양쪽에 튼튼한 손잡이가 있다. 화재시 손이나 나무로 들고 날랐을지도... 2023. 2. 26. 고대유물_052_반(盤) ◆ 반(盤 pán) #반(槃) 세면기 *이(匜)와 함께 사용. - 반(盤)은 고대에 세면기로, 곧 버리는 물을 받아두는 데 사용한 도구이다. 상주 시기에 귀족들이 연회에 앞서 식사를 할 때 대야에 물을 부어 예를 행할 때 사용하였다. 상대와 서주 초기에 대부분 단독으로 나왔으며 화(盉)와 함께 나온 것도 있었으나, 서주 만기에서 전국까지는 대부분 반(盤)과 이((匜)가 짝을 이루었다. 반(盤)_나무 반(盤)_銀 반(盤)_瓷 반(盤)_질그릇 반(盤)_청동 # 두마리짐승 세개 바뀌 청동 쟁반_춘추말기 吳 반(盤)_靑瓷 ◆ "尋仲"이 새겨진 청동반[尋仲靑銅盤] # 국립익산박물관 ◆ 11. 접시[盤] - 백제 # 나라박물관_청동관 ◆ 반(盤) 2023. 2. 25. 고대유물_082_쇠뇌[弩機]_청동 ◆ 쇠뇌[노기(弩機)]_청동 - 노기(弩機)는 기계(機械:기구)의 힘을 이용하여 화살을 쏘는 활이다. ‘노기’는 노(弩)의 기(機件:부품)를 노(弩)의 비말(臂末:쇠뇌 끝)에 설치한 것이다. ‘노기’는 춘추 말기에 최초로 나타났으며 전국과 진한(秦漢) 모두 성행하였다. 2023. 2. 24. 고대유물_079_1[부(釜)]1 ◆ 부(釜)1 부(釜)는 전국시대 진(秦)나라 사람들이 사용한 취식기이다. 《맹자(孟子)·등문공(鄧文公)》에서 "허자(許子)가 부증(釜甑)으로 밥을 짓고, 쇠로 밭을 가는가?"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부釜와 증甑은 취사도구 중 찜기를 가리키는데, 이 두 가지 기물의 형태도 매우 비슷하다. 이와 유사한 조리도구로는 확(鑊)과 무(鍪) 등이 있다. 솥의 형태는 항아리와 비슷하며, 주둥이는 오려져 있으며 주두이에는 테두리가 있고 배는 둥근 모양이다. 어깨에는 2개의 고리 모양의 귀가 있다. 전국시대의 부(釜)에는 귀가 1개인 것이 많았는데 진한시대의 부(釜)에는 귀가 2개 있는 것이 유행하였다. 2023. 2. 23. 고대유물_081_솥과 시루[釜甑]_청동 ◆ 솥과 시루[釜甑]_청동 2023. 2. 23. 고대유물_037_도량형 ◆ 도량형_량(量)_질그릇 ◆ 도량형_량(量)_청동 ◆ 도량형_량(量)_질그릇 ◆ 진씨삼량(陳氏三量) *복제품. - 부피를 재는 도량형. ◆ 02. 양조동수량(兩詔銅橢量) - 진나라 ◆ 가량(嘉量) - 신망(新莽) - 외곽에 새겨진 문자. ◆ 도량형_말[斗]_方斗__청동 ◆ 도량형_천칭(天秤) ◆ 03. 고노 동권화석권(高奴銅禾石權)_ 고노(高奴)에 보낸 1石짜리 동권(銅權) ◆ 05. 철권(鐵權) - 진나라 - 섬서박물관소장 =============== ◆ 도량형_칙((則)_청동 ◆ 도량형_칭추(秤錘) ◆ 도량형_형(衡) ◆ 升_되 01. 동방승(銅方升)_동으로 만든 네모 됫박 - 진니라 - 섬서박물관 소장 ======== ◆ 여산원동종(麗山園銅鐘) *복제품 - 진 나라 - 도량기(度量器)_도량형 ==.. 2023. 2. 22. 고대유물_074_석경(石磬) ◆ 석경(石磬) 석경은 줄여서 '경磬'이라고도 한다 중국 고대 한족의 석제 타악기로 예기禮器이다. 갑골문에서 '磬'자는 왼쪽은 매달린 돌과 오른쪽은 손에 방망이를 쥐고 두드리는 것과 같이 생겼다. 경쇠는 조각 모양의 도구에서 기원되었는데, 그 형태는 후에 여러 가지 변화가 있었고, 재질도 원시적인 석제에서 한층 옥이나 동으로 변화하였다. 돌이나 옥으로 만들어져 형태가 크고 작으며 그 위에 무늬가 새겨져 있고 구멍을 뚫어 선반 아래에 매달아 소리를 낸다. 그것은 조형이 고풍스럽고 매우 정교하게 제작되었다. 석경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상고시대 모계 씨족 사회에서 당시 사람들은 노동을 한 후에 돌을 두드리며 각종 야수의 형상으로 분장하고 춤을 추며 즐겼는데 이런 문화적 습관에 기인하여 점차 현재의 모습으.. 2023. 2. 22. 고대유물_072_서진(書鎭) 서진은 고대 전통 공예품으로 문진(文鎭)이라고도 한다.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릴 때 종이를 누르는 것을 가리키는데,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대부분 장방형이기 때문에 진척 또는 압척이라고도 부른다. 최초의 서진은 모양이 고정되지 않았다. 서진의 기원은 고대 문인들이 종종 작은 청동기, 옥기를 책상 위에 놓고 감상했는데 동시에 종이를 누르거나 책을 누르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이후 일종의 문방 도구로 발전했다. ◆ 서진(書鎭) ◆ 진(鎭) 2023. 2. 21. 고대유물_078_솥[복(鍑)] ◆ 솥[복(鍑)] '복鍑'은 차를 끓이는 도구로서 풍로와 세트이다. 모양은 큰 솥처럼 생겼으나 다른 점은 네모난 귀가 있으며 밑부분이 약간 뾰족하다. 이 기물은 고대에는 매우 흥성했지만, 송나라에 이르러 서서히 역사 무대에서 사라졌고 현대에는 더 이상 사용하는 사람이 없다. ◆ 마고 모양 수직 귀와 둥근 다리가 있는 구리솥[蘑菇狀立耳圈足銅鍑] - 漢晉(기원전206~420) - 1976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르무치시 南山 출토 -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박물관 소장 # 나라박물관_청동관 ◆ 복(鍑) - 춘추 전국시대에는 주변 민족도 독자적인 문화를 발달시켰다. 늘 한족에게 협박을 지속하던 기마민족인 유목민은 경계지역에서 반농반목을 하던 사람들로 독자적인 청동기를 만들었다. 복(鍑)은 그 중의 하나로 중원의 .. 2023. 2. 21. 고대유물_053_방(鈁) ◆ 방(鈁)_청동 - 방(鈁)은 고대에 술과 장(漿) 혹은 양식을 담던 동기(銅器)이다. 동 방(銅鈁)은 전국시기에 처음 나타나 서한 때 유행하였으며 지금까지 발견된 수량이 매우 적다. *이름에 걸맞게 쇠로 만든 네모 형태이다. ◆ 방(鈁) # 나라박물관_청동관 ◆ 방(鈁) 2023. 2. 20. 고대유물_044_뢰(罍) ◆ 뢰(罍 léi) *알라딘 램프와 닮았다. - 뢰(罍)는 고대에 술을 빚던 기물이다. 네모 형태와 둥근 형태 두 종류가 있다. 상대에 처음 사용하였으며 서주 때 유행하였으며, 전국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술독[罍]_청동 ◆ 청자뢰(靑瓷罍) # 청자 술독_뢰 - 서주 시기(BC1046년~BC771년) - 1976년 하남 출토 # 나라박물관_청동관 ◆ 뢰(罍) 술독 ◆ 이무기 문양 뢰(罍) 2023. 2. 19. 고대유물_043_로(爐)_향로 # 로(爐)_동 - 생각보다 모양이 다양하다. 로(爐)_자기 로(爐)_청동_법랑 로(爐)_청동 로(爐)_향로_법랑_에나멜 로(爐)_향로_동 로(爐)_훈로_법랑_에나멜 향로 ◆ 금동향로 *보물 제1753호 - 통일신라 - 중원 북 회랑지 - 미륵사지 출토 금동향로는 화사향로(火舍香爐)에 속한다. 짐승 문양이 조각된 다리가 특징이다. 백제 시기의 중국의 당나라는 일반적으로 다리가 5개 달린 것이 많았는데, 이것은 4개이며 장식 문양에도 차이가 있다. 2023. 2. 18. 고대유물_070_새인(璽印) ◆ 새인(璽印) # 새인(璽印) ◆ 萬玉樓印 - 現代 - 艾葉靑田石 ◆ 동아씨이령아지인(佟雅氏伊齡阿之印) - 淸 - 瓷 ◆ 노상승인(盧象昇印) - 明代 - 玉 ◆ 석낙후인(石洛侯印) - 西漢 - 金 ◆ 평동장군장(平東將軍章) - 三國 - 魏 - 金 ◆ 공손곡인(公孫穀印) - 秦 - 玉 ◆ 군지신니(君之信鑈) - 戰國 - 楚 - 玉 ◆ 자겹자●(子圶子●) - 戰國 - 齊 - 靑銅 ◆ 우사도●●질지니(右司徒●●質之鑈) - 戰國 - 齊 - 靑銅 2023. 2. 18. 고대유물_069_삽도(揷刀) ◆ 삽도(揷刀) - 현재의 쪽가위와 유사하다. 2023. 2. 17. 고대유물_041_렴(奩) # 렴(奩)_청동 2023. 2. 16. 고대유물_038_동이(盆) #동이(盆)_陶 # 채도 盆_신석기 후기_앙소문화 동이[盆]_銅 동이[盆]_청동 2023. 2. 16. 고대유물_068_산가지[算籌] ◆ 산가지[算籌]_鉛 2023. 2. 16.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