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 고대유물_유형별185

고대유물_146_패(牌) 패(牌) 2022. 12. 22.
고대유물_145_판(版) 금판 판(版)_銅_秦 판(板)_石欄板 판(版)_청동 2022. 12. 22.
고대유물_144_투배(套杯) 한 쌍의 크고 작은 세트가 한데 묶일 수 있는 잔을 뜻하며, 고대인이 술 놀이를 할 때 사용한 도구이다. 투배(套杯)_청동 2022. 12. 22.
고대유물_126_창1_과(戈) ◆ 창(戈) - 과(戈)는 “勾兵”이라고도 부르는데 가로로 쳐서 죽이는데 사용했다. 동으로 만든 창 머리, 나무나 대나무로 만든 손잡이, 손잡이 위쪽 끝에 비모(柲冒)와 아래쪽은 동대(銅鐓:창의 자루 아래쪽 끝에 끼우는 통형(筒形)의 장식)로 만들어졌다. 창(戈)_옥 창[戈]_銅 ◆ “소왕삼십칠년(昭王三十七年)”이 새겨진 청동 창[戈]. 소왕 37년은 기원전 270년이다. 2022. 12. 22.
고대유물_122_준(樽) ◆ 준(樽) 반(盤), 구기[勺]_陶 2022. 12. 22.
고대유물_123_진묘수(鎭墓獸) ◆ 진묘수(鎭墓獸)_陶 진묘수는 고대 풍속으로 일종의 명기(冥器)를 가리킨다. 고대인들은 저승에 각종 야귀와 악귀가 있어 죽은 사람의 귀신을 해칠 수 있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진묘수를 설치하여 사악함을 피하고 사망자의 망혼의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하였다. 초나라 무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장기물도 초나라 칠기(漆器) 중 조형이 독특한 기물 중의 하나이다. 이 기물은 외형이 추상적이고 구상이 특이하고 형상이 무섭고 황당스러우며 강렬하고 신비로운 의미와 짙은 무술적인 신화적 색채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출토된 진묘수는 대부분 전국시대 문물로 전국 중기의 것이 가장 많다. - 무덤을 지키는 수호신 ◆ 진묘수(鎭墓獸) ◆ 진묘수(鎭墓獸)_묘를 지키는 짐승 - 남조(南朝) 420년~589년 -1982년 안강시(.. 2022. 12. 22.
고대유물_127_창2_극(戟) ◆ 극(戟)_청동 ◆ 청동 계명 극[靑銅鷄鳴戟]_*닭이 우는 모양 - 서한 시기 - 치박시 임치구 大武鎭 窩托村 제 왕묘 부장기물 갱 출토 - 치박시 박물관 소장 2022. 12. 22.
고대유물_128_창3_모(矛) ◆ _모(矛) 2022. 12. 22.
고대유물_129_철권(鐵券) ◆ 철권(鐵券) 2022. 12. 22.
고대유물_130_촛대[燭臺] ◆ 촛대[燭臺]_청동 촛대[燭臺]_靑瓷 2022. 12. 22.
고대유물_131_취두(鷲頭) ◆ 취두(鷲頭) 2022. 12. 22.
고대유물_134_칭추(秤錘) ◆ 칭추(秤錘)_靑銅 2022. 12. 22.
고대유물_133_치미(雉尾) ◆ 치미(雉尾) ◆ 치미_취두 ◆ 회도처미(灰陶鴟尾)_재빛이 나는 치미 - 당대 - 화청궁 유지 ◆ 회도치미(灰陶鴟尾) - 당대 - 화청궁 유지 2022. 12. 22.
고대유물_135_칼1_검(劍) - 검(劍)은 몸에 차고 다니는 몸 근처에서 보호하는 병기로 참살(斬殺:베어 죽임)과 자살(刺殺: 찔러 죽임)에 사용되었다. 청동검은 서주 초기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춘추 말기부터 전국 시기에 성행하였으며, 한 대(漢代) 이후 청동검이 차츰 철검(鐵劍)으로 대체되었다. 칼[劍]_銅 칼[劍]_鐵 칼[劍]_청동_단검 2022. 12. 22.
고대유물_136_칼2_ 도(刀) -도(刀)는 단면에 외날의 베는[劈砍] 병기이다. 상주 시기의 ‘도’는 동제(銅制)로 되어 있다. 한대(漢代)부터 짧은 손잡이의 철도(鐵刀)가 출현하기 시작하였는데 모두 점차 검(劍)에 의해서 대체 되었다. 칼[刀]_돌 칼[刀]_청동 2022. 12. 22.
고대유물_137_칼집[劍鞘] 2022. 12. 22.
고대유물_138_탁(托) 탁(托)_茶托 2022. 12. 22.
고대유물_139_탑(塔) 탑(塔)_石佛塔 2022. 12. 22.
고대유물_131_통(筩) 통(筩)_제통(提筩)_陶 2022. 12. 22.
고대유물_142_통와(筒瓦) ◆ 승문통와(繩紋筩瓦)_줄 무늬가 있는 통 기와 - 한(漢) BC.202~AD.220년 - 섬서박물관 소장 ◆ 승문대추통와(繩文帶錐筩瓦)_끈 문양 바탕에 송곳 형태로 돌린 기와 - 한(漢) BC.202~AD.220년 - 서안시 한 장안성 무기고 출토 ◆ 11. 통와(筒瓦)_대통모양 기와 - 춘추시기 - 보계시 봉상현(鳳翔縣) 진공(秦公)1호 무덤 출토 ◆ 통와(筒瓦) - 서주시기 - 보계시(寶鷄市) 부풍현(扶風縣) 소진촌(召陳村) 출토 ◆ 통와(筒瓦)_대통 모양 기와 - 신석기시대 - 1976년 유림시(楡林市) 신목현 석류 유지 출토_섬서성 고고연구원 소장 ◆ 통와(筒瓦)_죽통 모양 기와 - 당대 - 화청궁 유지 ◆ 통와(筒瓦)_대나무통처럼 생긴 기와 - 진나라 - 건축재료 2022. 12. 22.
고대유물_143_투구[冑] 투구[冑]_청동 ◆ 철제 투구 ◆ 독일군 투구 ◆ 투구 2022. 12. 22.
고대유물_125_징[요(鐃)] ◆ 징[鐃]_청동 ◆ 코끼리 무늬 징[象紋鐃] - 商 後期 - 이 기물 안쪽 벽에는 한 마리 코끼리 문늬가 주조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祖辛”이라는 명문이 주조되어 있는데, 이것은 기물을 만든 사람은 선조 廟號이다. 이러한 유형은 청동 징은 높고 크며 두껍고 무겁다. 주로 강소, 절강, 호남, 강서, 복건, 광서 지역에서 주로 출토되었으며, 더욱이 호남 寧縣 潙水 부근에서는 많이 출토 되었는데 그 시기는 대략 상대 후기에서 서주 초기이다. ◆ 도철 무늬 징[饕餮紋鐃] - 商 後期 - 징은 상대 후기에 처음 보이기 시작하여 서주 초년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칠 때는 기물의 입이 위를 향한다. 편요 한 쌍은 5개, 4개, 3개로 나누어지며, 모양과 장식이 서로 동일하며 크기만 차이가 있다. 서로 다른 음계를.. 2022. 12. 21.
고대유물_124_집게[鉗]_가위 # 집게 ◆ 가위_鐵鋏 - 조선 - 미륵사지 2022. 12. 21.
고대유물_121_준(尊) ◆ 준(尊)_도자_瓷 준(尊)_자기 준(尊)_질그릇 준(尊)_청동 # '부호' 청동 올빼미 尊_상 후기 # 4羊 청동 방준_商 # 금과 은을 박아 만든 구름문양 청동 코뿔소 尊_서한 준(尊)_청동 준(尊)_靑瓷 ◆ 식준(食尊) - 서주 시기(BC1046년~BC771년) - 1983년 하남 제원(濟源) 출토 # 나라박물관_청동관 # 고(觚) 형태의 준(尊) # 목이 긴 준(尊) 2022. 12. 21.
고대유물_120_죽간(竹簡) ◆ 죽간(竹簡) ◆ 진릉형회동거마(秦陵形繪 銅車馬) 설명 죽간 모형 2022. 12. 21.
고대유물_119_주판[算盤] ◆ 주판[算盤] 2022. 12. 21.
고대유물_118_주(舟) ◆ 주(舟)_청동 # 나라박물관_청동관 2022. 12. 21.
고대유물_117_좌(座)_기좌(器座) ◆ 좌(座)_질그릇 # 누공 도기 座_신석기 왕만삼기문화 ◆ 누공기좌(鏤空器座)_구멍 뚫린 그릇 받침. - 신석기시대 - 상락시(商洛市) 상주 삼현향(商州 三賢鄕) 자형(紫荊) 출토 2022. 12. 21.
고대유물_114_정(鼎)_원형 # 정(鼎) - 고대에 불을 때서 밥을 하는 기물로 삼거나 찌고 혹은 고기를 담아서 제사나 잔치를 지내는데 사용하였다. 청동 정(鼎)은 二里頭文化 시기에 출현하여 商周時期에 가장 성행하였으며 한나라를 거쳐 위나라 때까지 계속해서 사용되었다. # 나라박물관_청동관 ◆ 정(鼎) ◆ 도철 문양이 있는 대정(大鼎) 2022. 12. 21.
고대유물_113_절(節) ◆ 절(節)_청동 # '鄂君啓' 착금 청동 節_전국 楚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