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 고대유물_유형별185

고대유물_049_묘지(墓志) # 묘지(墓志) 2022. 12. 3.
고대유물_042_령(鈴) 저(杵) # 령(鈴) 저(杵)_銅 2022. 12. 3.
고대유물_028_누호(漏壺) # 누호(漏壺) - 물시계 2022. 12. 3.
고대유물_032_삽[鏟] 삽[鏟]_청동 2022. 12. 2.
고대유물_046_맷돌 # 맷돌, 디딜방아[磨, 碾]_陶 맷돌_돌갈개[磨盤 磨捧] 2022. 12. 2.
고대유물_051_바리때[鉢] # 바리때[鉢]_자기 바리때[鉢]_질그릇 바리때[鉢]_질그릇_세발 바리때[鉢]와 구기[勺]_陶 2022. 12. 2.
고대유물_026_낫[鎌] # 낫[鎌] 낫[鎌]_조개[蚌] 낫[鎌]_鐵 2022. 12. 2.
고대유물_055_변(籩) # 변(籩) 2022. 12. 1.
고대유물_054_배소(排簫) # 배소(排簫) 2022. 12. 1.
고대유물_048_목간(木簡) # 목간(木簡) ◆ 목간 ◆ 고 장문 목독(古藏文木牘)_고대 티벳어로 쓴 목간 - 당대 - 청해성박물관 소장 ◆ 장문 목간(藏文木簡)_티벳어로 쓴 목간 - 당대 - 청해성박물관 소장 ◆ 토번문 목간(吐蕃文木簡)_티벳어로 된 목간 - 唐 - 신장 위그루 자치구 박물관(新疆維吾爾自治區博物) 소장 ◆ 목간(木簡) - 청해성박물관 소장 2022. 12. 1.
고대유물_047_멍애[軛] # 멍애[軛] 멍애장식[衡飾] 2022. 12. 1.
고대유물_033_도가니[坩堝] # 도가니[坩堝]_질그릇 ◆ 1. 도가니와 뚜껑 - 백제 - 동원 동쪽 배수로 2022. 12. 1.
고대유물_025_규(鬹) - 고대 취사도구의 일종이다. 규(鬹)는 신석기 말기에 사용하던 취사도구이다. 구조는 주둥이, 배, 바닥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개가 머리를 들고 꼬리를 흔드는 모습과 비슷하여 모양이 매우 생동감 있다. # 신석기 말기에 만들어진 취사도구로 음식물을 삶는데 쓰는 솥의 일종이다. 아랫부분은 격(鬲)과도 비슷하며 중간에는 손잡이가 있고 위에는 주전자처럼 주둥이가 있어 이용하기에 편리하게 만들어진 구조이다. 음식을 해본 사람이라면 좋아할 사람이 많을 스타일의 취사도구이다. - 규(鬹)_陶 ◆ 규(鬹) 뚜껑없는 가마솥. ◆ 백자규(白陶鬹) - 新石器時代 大汶口文化 ◆ 도규(陶鬹) - 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 - 치박시 桓台李寨 출토 - 환태박물관 소장 - # 지역별 규(鬹)의 모양 변화 2019. 6. 26.
고대유물_024_궤(簋) # ◆ 궤(簋 guǐ) - 궤(簋)는 고대에 음식을 담던 그릇이다. 청동 궤(簋)는 귀족생활에서 정(鼎)과 함께 사용하였다. 정(鼎)은 고기를 담는데 사용하고 궤(簋)는 서직[곡식]을 담는데 사용하였다. 청동 궤(簋)는 상대 초기에 출현하여 전국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 청동과 질로 만들었다. 벼와 기장[稻粱]을 담는데 사용한 것으로 예기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그릇이다. # - 손잡이가 없는 궤(簋)도 있다. # 나라박물관_청동관 ◆ 궤(簋) ◆ 이궤(伊簋) ◆ 큰 눈섭의 도철문양 궤(簋) 2019. 6. 9.
고대유물_023_궤(几) 궤(几)는 상(商)나라 갑골문에서 시작되였는데 그 옛글자는 형상이 왜소한 책상과 같으며 본의는 책상에 의지하여 땅바닥에 앉을 때 앉는 사람이 의지하는 것이다. - 안석(案席)으로도 불린다. 2019. 6. 9.
고대유물_022_궁형기(弓形器)_청동 - 상대(商代) - 활모양으로 되어 있어 '궁형기'이다. 외부에는 짐승이 장식되어 있다. ◆ 마두식(馬頭式)_사두식(蛇頭式) 궁형기 - 양쪽 끝의 모양이 말머리나 뱀머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019. 6. 9.
고대유물_020_구(㲃) 구(㲃) ◆ 청동(靑銅)_두껑 - 안쪽에 글자가 있다. - 옆에서 본 모습 ◆ 청동(靑銅) ◆ 청동(靑銅)_옥(玉) 2019. 5. 28.
고대유물_019_굉(觥) # 굉(觥)은 중국 고대의 술 담는 그릇이다. 상나라 말기부터 서주 초기까지 유행했다. 타원형 또는 사각형 몸체, 둥근 발 또는 네 발의 형태가 있다.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는데, 뚜껑은 뿔이 있는 짐승의 머리나 긴 코에 말린 머리 모양으로 만든다. 어떤 굉은 전부 동물 모양으로 만들었는데, 머리와 등은 덮개이고, 몸은 배이며, 네 다리는 발이다. 또한 굉의 장식 문양은 희생준(尊), 새와 짐승의 모양과 비슷하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짐승의 모양 준(尊)으로 착각한다. 그러나 굉은 짐승의 모양의 준((尊)과 달리 술잔 뚜껑은 짐승의 머리가 짐승의 등마루에 연결되는 모양으로 만들어졌으며, 술잔의 유부(流部)는 짐승의 목부분으로 술을 기울일 수 있다. - 술을 담는 그릇으로 귀여운 짐승모양으로 되어.. 2019. 5. 28.
고대유물_018_괭이[钁] 곽(钁:곡괭이)는 작(鐯)이라고도 한다. 흙을 일으키는 데 쓰는 농기구이다. 《이아 (爾雅) · 석기 (石器) 》 에서 작(鐯)이라고 하였다. 곡괭이는 몸집이 비교적 커서 단사면 또는 양사면날이 있고 꼭대기에는 장방형의 구멍이 있어 구멍 안에 네모난 나무를 넣어 손잡이를 만든다. 손잡이와 곡괭이는 직각을 이룬다. 상나라 시대에 처음 나타나는데, 춘추전국시대에는 비교적 많이 사용되었다. - 철(鐵)로 만들었다. 2019. 5. 28.
고대유물_017_관기(關記) ◆ 관기(關記) - 관기는 관아에서 사용하는 인장이다. 2019. 5. 28.
고대유물_016-1_관(罐)2 # 도(陶)_자기(瓷器) ◆ 자주요백유흑화영희도자관(磁州窑白釉黑花嬰戱圖瓷罐) - 흰 채색에 검은 꽃 그림을 그린 관(罐). 아이와 꽃이 그려졌 있다. ◆ 청화운학문관(靑花雲鶴紋罐) - 구름과 새 그림이 있다. ◆ 4개 고리가 있는 청자 항아리[靑瓷四系罐] - 가운데 3개의 손잡이가 있는 단지 ◆ 사면에 4개의 구멍이 있는 균열 자기 - 뚜겅을 닫고 양쪽의 구멍을 통해 뚜껑을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 방가요 관(仿哥窑罐) - 흰색 균열 자기 ◆ 소삼채하당유압문관(素三彩荷塘游鴨紋罐) - 노란색 바탕에 채색화가 있는 자기 ◆ 오채모란문관(五彩牡丹紋罐) - 괴수와 모란꽃이 채색된 자기. 연두색, 녹색, 파란색, 붉은색 4가지의 색을 사용했다. ◆ 분채 공명부귀 항아리[粉彩功名富貴罐] # 타이완 .. 2019. 5. 18.
고대유물_016_관(罐)1 # 관(罐)은 관자(罐子)로도 불린다. 물건을 담는 주둥이가 큰 그릇으로 대부분이 도자기 된 것이다. # 도(陶) ◆ 대구 관(大口罐) - 세 개이 띠가 있는 관. 양쪽 위에 낮은 구멍의 손잡이가 있다. ◆ ◆ ◆ 질그릇 단지_관[陶罐] - 작은 손잡이가 있는 관 ◆ 검은색고 황색 채색 관 - 대칭되는 채색 그림이 있고, 커다란 손잡이가 있다. ◆ 질그릇 단지_관[陶罐] - 황색바탕에 검은색으로 채색한 무늬가 있고, 큰 손잡이가 있는 관 ◆ 쌍 밑 귀 질그릇 단지_관[雙底耳陶罐] - 검은색 채색무늬가 있고, 중앙에 손잡이가 있는 관 ◆ 채색 질그릇 단지_관[彩陶罐] - 황토색 바탕에 검은색 무늬를 채색한 관. 한쪽에만 손잡이가 있는 그릇, 현재에 커피잔으로 사용해도 될 만큼 세련된 디자인이 인상적이다. .. 2019. 5. 18.
고대유물_013_고리버들 ◆고리버들[柜]_陶 - 도자기로 만든 고리버들. 멀리서 보면 진짜 나무로 착각할 수도 있을 정도이다. 2019. 5. 10.
고대유물_011_1_도고(陶鼓) ◆ 도고(陶鼓) ◆ 채도고(彩陶鼓) 2019. 5. 7.
고대유물_012_고(觚) ◆ 고(觚 gu) - 고(觚)는 고대에 술을 담는데 사용한 기물이다. 첨주(甛酒)를 담아서 저장하였다가 공봉(供奉)하여 신을 섬기는데 사용하였다. 고(觚)는 작(爵)과 항상 동반하여 함께 나타난다. 상대와 서주 초기에 성행하였다. # 나오는 觚不觚 觚哉觚哉의 문구로 유명한 고(觚)입니다. 네 개의 모서리에 화살나무처럼 돋아난 모서리가 있습니다. 고에 이 모서리가 없으면 觚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기물과 구분하기가 쉽습니다. 대부분의 고(觚)는_원형인데 가끔 네모난 고(觚)도 있습니다. # 도(陶) ◆ 고(觚)_자(瓷)1_자기 ◆ 고(觚)_자(瓷)_2 ◆ 고(觚)_자(瓷)3_자기 # 청동 ◆ 고(觚) 가(斝) 화(盉) ◆ 고(觚)_청동 ◆ 고(觚)_청동 ◆ 고(觚)_청동 ◆ 고(觚)_청동 ◆ 고(觚)_청동.. 2019. 5. 4.
고대유물_010_거푸집_용범(鎔范) # 도(陶)_흙 ◆ 거푸집_도모(陶模)_짐승 머리[獸頭] - 춘추_晉 - 1961년 산서 후마(侯馬) 출토. ◆ 솥[鬲] 바깥 틀[外范] ◆ 거푸집_도범[陶斤內范]_석범[石斧外范] -칼과 도끼 ◆ 거푸집_도범(陶范) ◆ 거푸집_陶范_공수포(空首布) ◆ 거푸집_陶范_서 있는 사람[立人] - 춘추_晉 - 1961년 산서 후마 출토 ◆ 거푸집_陶范_분(錛)_자귀 ◆ 거푸집_陶范_정(鼎)_솥 ◆ 거푸집_陶范_칼[刀] # 동(銅)_구리 ◆ 거푸집_銅范_전(錢)_동전 ◆ 거푸집_동범(銅范) - 한 판에 22개 주조. # 철(鐵)_쇠 ◆ 거푸집_철범(鐵范)_조(鋤)_호미 ◆ 거푸집_철범(鐵范)_쌍겸(雙鎌)_낫 ◆ 거푸집_철범(鐵范)_쌍착(雙鑿)_끌 ◆ 거푸집_鐵范_거기(車器) # 오수전 거푸집 # 포천 거푸집 # 거.. 2019. 5. 4.
고대유물_009_거울[鏡]2_문자와 기호 #청동 거울 # 한국 ◆ # 국립중앙박물관소장 ◆ 중앙에 문자가 새긴 진 거울 ◆ 복수쌍정(福壽雙全)이 새겨진 거울 - 상단 좌우의 네모 속에 작은 글자가 각각 8자정도 있다. # 경대에 새우는 거울 ◆ 거울 상단 중앙에 4개의 글자가 있다. 3건의 문자가 동일해 보인다. ◆ ◆ 작은 손거울 ◆ # 중국(中國) ◆ 4개의 '山'자가 있는 청동 거울 ◆ 오자등과(五子登科) ◆ ◆ 육산문(六山紋) 청동경 - 6개 '山'자가 있는 청동 거울 ◆ ◆ 쌍금복수(雙金福壽) ◆ 쌍금부귀(雙金富貴) # 일본(日本) # 손거울 ◆ 심즉여경(心則如鏡)이 새겨진 거울 - 대나무와 매화가 새겨져 있다. ◆ 우측: 옥계(玉桂)가 새겨진 거울_천공등원정중(天工藤原政重) - 왼쪽에 6개의 한자가 새겨진 거울_물 위를 다니는 새 한.. 2019. 4. 19.
고대유물_008_거울[鏡]1_그림과 무늬 # 거울[鏡]_청동 # 한국 ◆ 화려한 무늬 거울 ◆ 네모난 거울 - 봉황 2마리가 새겨져 있다. ◆ 편종 모양의 거울 #국립중앙박물관소장 ◆ 네마리?의 용이 그려진 거울 ◆ ◆ 맨 뒤에 있는 물고기 무늬가 있는 단지 # 중국 ◆ 청동 거울 - 齊家文化 - 약 기원전 2000~?? - 감숙성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 ◆ 투조반리문 청동 거울[透雕蟠螭紋靑銅鏡] - 전국_楚 - 1976년 호북 강릉(江陵) 장가산(張家山) 출토. - 거울의 내부는 두겹으로 되어 윗쪽을 무늬에 맞추어 파낸 것이 독특하다. ◆ 무사와 짐승이 싸우는 무늬 청동 거울[武士鬪獸紋靑銅鏡] - 전국_秦 ◆ ◆ ◆ 자개가 장신된 거울 ◆ 금은평탈우인화조문청동견(金銀平脫羽人花鳥紋靑銅鏡) - 당대 http://www.lacquercultur.. 2019. 4. 19.
고대유물_007_강(釭) ◆ 강(釭)_청동 진나라 때 궁궐 축조에 사용한 유물이다. 봉상, 함양, 시황 능원 등의 진나라 궁전 유적지에서는 모두 정교한 도안 무늬를 가진 구리 건축 부재가 발견되었다. 그 중 출토수량이 가장 많은 것은 봉상 요가강 진나라 궁궐유적지로 세 차례에 걸쳐 수십 점의 강(釭)이 출토되었다. 유형에는 곡자형, 쐐기형, 장방형, 근사방형 등이 있고 그 위에 무늬가 주조되어 있는데 궁궐의 벽에 있는 장식품이다. - ㄱ자 모양으로 생겼으며 양쪽에 꼬챙이 모양이 여러 개 있다. 2019. 4. 16.
고대유물_006_감(鑑) # 감(鑑) - 원형과 방형 2가지 있다. https://baike.baidu.com/item/%E9%89%B4/2475705?fr=aladdin ◆ 감(鑑)_氷鑑_청동 - 대형 물통이다. 처음에는 도기로 만들었으며 춘추시대 중기에 청동으로 만든 것이 나타났으며 춘추시대 말기에 가장 유행하였다. 서한 시기에도 주조되었다. ◆ 감(鑑)_氷鑑_청동 ◆ 감(鑑)_청동 ◆ 감(鑑)_청동 # 이무기 문양 동감_전국 2019.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