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 고대유물_유형별185

고대유물_036-1_ 도끼2[斧] # 부(斧)는 고대 베는[砍伐] 공구이다. 청동 부(斧)는 상대에 처음 나타난다. 전국 이후에는 보편적으로 철로 만든 부(斧)를 사용했다. ◆ 01. 천공석부(穿空石斧)_구멍 뚫린 돌 도끼 - 신석기시대 - 동천시 약왕산(藥王山) 출토 ◆ 27. 상. 옥부(玉斧)_옥 도끼 - 신석시시대 - 漢中市 南鄭縣 龍崗寺 유지 출토 ◆ 28. 하. 청옥산(靑玉剷)_청옥으로 만든 자귀 - 신석기시대 - 한중시 남정현 용강사 유지 출토 ◆ 좌: 짐승 얼굴무늬 칼[獸面紋刀] ◆ 우: 짐승 얼굴무늬 도끼[獸面紋斧] ◆ 도끼[斧]_돌 ◆ 도끼[斧]_청동 2022. 12. 23.
고대유물_156_호(壺)2_집호(執壺) 호(壺)_執壺_銅 호(壺)_執壺_瓷 호(壺)_執壺_靑瓷 호(壺)_청동 호(壺)_청동_제량 호(壺)_청동_提鏈 호(壺)_청동_鳥篆 ◆ 손잡이 달린 항아리[把手附壺] - 고려 - 후대 건물지9 2022. 12. 23.
고대유물_159_호미(鋤) 호미(鋤)_돌 호미[鋤]_鐵 2022. 12. 23.
고대유물_160_호자(虎子) 호자(虎子)_청동 호자(虎子)_靑瓷 2022. 12. 23.
고대유물_161_혼병(魂甁) 혼병(魂甁)_陶 2022. 12. 23.
고대유물_162_화(金+和) 화(金+和)_청동 2022. 12. 23.
고대유물_165_ 화살촉[箭鏃] 화살촉[箭鏃] ◆ 익형족(翼形鏃)_날개 모양 화살촉 - 서주 - 병기_화살촉 ◆ 화살촉 ◆ 화살촉 ◆ 동 화살[銅箭] ◆ 화살촉 2022. 12. 23.
고대유물_166_화총(火銃) 화총(火銃)_銅 2022. 12. 23.
고대유물_167_화폐 화폐_포_平首布 화폐(貨幣)_貝 화폐_도폐(刀幣) 화폐_영칭(郢爯) 화폐_포_공수포(空首布) 화폐_포_粱夸釿五十當錚' 平首布 화폐_포_三孔布 화폐_포_평견공수포(平肩空首布) 화폐_포_평견호족공수포(平肩弧足) 환전(圜錢) 2022. 12. 23.
고대유물_168_황(璜)_옥기 # 황(璜)_청옥 # 곡식문양 옥[璜]_전국 중기 # 용 문양 璜_춘추 2022. 12. 23.
고대유물_169_훈(塤) 지(篪) 훈(塤) 지(篪) 훈(塤)_陶 2022. 12. 23.
고대유물_093_와(瓦)2_수막새와 암막새 # 와당 # 목탑에 사용된 막새 ◆ 연꽃무늬 수막새와 암키와 - 백제 ◆ 국화무늬 수막새와 넝쿨무늬 암막새 - 통일신라 ◆ 수막새 2022. 12. 23.
고대유물_093-2_와(瓦)1_암키와 수키와 ◆ 와(瓦) ◆ "공양주(供養主)"가 새겨진 기와 ◆ "천력삼년(天曆三年)"이 새겨진 암키와 조각 - 고려_북쪽 건물지1 - 천력 3년 충숙왕 17년(1300). 경우년 장개이(張介耳)가 시주하다. ◆ "연우4년정사(延祐四年丁巳)"가 새겨진 암키와 조각 - 고려_북쪽 건물지 - 연우 4년 충숙왕 4년(1317년)_미륵정사 ◆ "태평흥국5년(太平興國五年)"이 새겨진 수키와 조각 - 고려_중원 서회랑지 - 태평흥국 5년(900) 경진년 6월. 미륵사 용천방에 기와를 올림. ◆ "미륵사(彌勒寺)"이 새겨진 기와 조각 - 통일신라_후대 건물지 - 태미륵사(太彌勒寺) ◆ "경진년5월(景辰年五月二十法得書 )"이 새겨진 기와 조각 -통일신라(716년/740년) - 미륵사지 2022. 12. 23.
고대유물_16-3_관(罐)3_은(銀) # 관_참단화문 유금은관(鏨團花紋鎏金銀罐) 관_참화조문 유금은관(鏨花鳥紋鎏金銀罐) 2022. 12. 23.
고대유물_015_곳집 # 곳집_녹문균(鹿紋囷) # 곳집_녹유도균(綠釉陶囷) # 곳집_갈유계개균(褐釉鷄蓋囷) 2022. 12. 23.
고대유물_105_자귀_동부(銅斧) # 자귀_동부(銅斧) 2022. 12. 23.
고대유물_164_화로 # 화로_철로(鐵爐) # 화로_동방로(銅方爐)1 2022. 12. 23.
고대유물_098_우(杅) # 우(杅) 2022. 12. 23.
고대유물_140_테[구(釦)] 테[釦]_청동 2022. 12. 23.
고대유물_157_호(壺)3_편호(扁壺) 호(壺)_편호_백옥 호(壺)_扁壺_瓷 호(壺)_扁壺_청동 # 나라박물관_청동관 편호(扁壺) 2022. 12. 22.
고대유물_155_호(壺)1_陶 호(壺)1_陶 - 호(壺)는 고대에 술을 담거나 물을 담던 기물이다. 상대에 처음 출현하여 상주(商周)부터 전국 시기에 이르기까지 성행하였다. # 채도 背壺_신석기 후기_대문구문화 # 어조문 채도 壺_신석기_앙소문화 # 도호_신석기 후기_송택문화 호(壺)__陶 호(壺)_陶 호(壺)_陶匏壺 호(壺)_陶 호(壺)_백자(白瓷) 호(壺)_銀 호(壺)_瓷 ◆ 굽다리 긴 목 항아리[臺附長頸壺] - 백제 - 군산 산월리 ◆ 인문동호(鱗紋銅壺) # 비늘 문양 청동 호 - 서주 시기(BC1046년~BC771년) - 1955년 하남 비양현(泌陽縣) 전량하촌(前梁河村) 출토 *위쪽에는 뚜껑이 있고, 중간쯤에 손잡이에 고리가 달려 있다. 기물의 고리 아래부터 비늘 문양이 있다. # 금과 은을 아로새긴 조전문 청동호_서한 ◆ .. 2022. 12. 22.
고대유물_158_호(𠤳) 호(𠤳)_청동 2022. 12. 22.
고대유물_154_향로(香爐) 향로(香爐) 향로[爐]_銅 향로[香熏]_靑瓷 # 나라박물관_청동관 ◆ 박산향로 2022. 12. 22.
고대유물_153_항(缸) 항(缸)_질그릇 - 항아리 2022. 12. 22.
고대유물_152_합(盒) 합(盒) 합(盒)_漆盒 ◆ 1. 청동합(靑銅盒) ◆ 2. 청동합(靑銅盒) ◆ 3. 청동합(靑銅盒) ◆ 4. 청동합(靑銅盒) 2022. 12. 22.
고대유물_151_피리[笛] 피리[笛]_骨 피리[哨]_骨 2022. 12. 22.
고대유물_150_포(鋪) 포(鋪)_청동 2022. 12. 22.
고대유물_149_편종(編鐘) 2022. 12. 22.
고대유물_148_편경(編磬) 편경(編磬) 2022. 12. 22.
고대유물_147_패자(牌子) 패자(牌子)_서하문자 2022.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