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섬서 임동박물관10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9_周秦문물전6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9_주진문물전6 # 진나라의 역양(櫪陽) - 역양은 지금의 섬서성 시안시(西安市:서안시) 염양구(閻良區) 무둔진(武屯鎭) 관장촌(官庄村)과 고성(古城) 둔촌(屯村) 사이에 자리했다. 진나라 헌공(獻公) 2년(BC 383) 진이 유용(由雍)에서 역양으로 천도한 이후 진나라 효공(孝公) 13년(BC 349)년에 이르러 도성(都城)을 또다시 함양(咸陽)으로 옮겼으니, 진나라가 역양에 정도한 것은 모두 2세 35년간이다. 역양의 서쪽에는 주나라 사람의 옛수도인 기주(岐周), 풍경(豊京)과 호경(鎬京)이 있으며, 또 위하(渭河)가 함곡관(函谷關)에서 발원하여 곧바로 뻗어 광활한 중원으로 달려 간다. 북쪽으로는 황하(黃河)를 건너면 분수(汾水)가 魏나라, 趙나라에 이르며, 또 .. 2020. 7. 31.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8_周秦문물전5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8_주진문물전5 # 진릉에서 출토된 병기 - 최근 진릉(秦陵) 지구에서 출토든 병기는 주료 병마용배장갱(兵馬俑陪葬坑)에 집중되어 있다. 3개의 도용갱에서 모두 거의 4만 건에 달하는 청동병기가 출토되었는데, 그 중에 절대사수는 화살촉이었으며 도 칼[劍], 창[戈, 矛, 戟, 鈹, 殳], 도끼[鉞], 쇠뇌[弩] 등 종류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병기는 사용하는 기능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불류할 수 있는다. 첫째, 단병기(短兵器), 장병기(長兵器)와 사정병기(射程兵器)* *사정병기(射程兵器): 화살을 이용하는 쇠뇌 등의 병기를 가리킨다. ◆ 동모(銅矛) - 秦나라(BC 221~BC 207) - 병기(兵器) ◆ 동과(銅戈) - 秦나라(BC 221~BC 207).. 2020. 7. 30.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7_周秦문물전4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7_주진문물전4 # 진릉에서 출토된 기타 문물 ◆ 포수환(鋪首環) - 진나라 - 건축장식 ◆ 철산(鐵鏟) - 진나라 - 공구 ◆ 철추(鐵錘) - 진나라 - 공구 ◆ 철흔(鐵鍁) - 진나라 - 공구 ◆ 철구건(鐵构件) - 진나라 ◆ 철렴(鐵鎌) - 진나라 - 공구 ◆ 철부(鐵斧) - 진나라 - 공구 ◆ 철정(鐵釘) - 진나라 - 공구 ◆ 철착(鐵鑿) - 진나라 - 공구 ◆ 철삽(鐵鍤) - 진나라 - 공구 ◆ 동검(銅劍) - 진나라 - 병기 2020. 7. 30.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6_周秦문물전3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6_주진문물전3 # 진대도량형(秦代度量衡) - 춘추전국시기는 군웅이 병립하여 각국의 동량형이 크기가 통일되어 있지 않아, 당시 사회의 경제발전에 장애가 되는 중요한 요소였다. 진시황이 6국을 통일하 이후 도량형을 통일하는 조서를 내려, "일법도량석장척 거동궤 서동문(一法度量石丈尺 車同軌 書同文)" 정책을 시행하여, 아울러 통일된 엄격한 관리제도를 제정하였다. 도량형의 통일은 전국시기 이후의 혼란한 국면을 변화시켜 경제의 교역과 발전에 편리함을 주었다. 화폐가 통일된 이후 역대 왕조가 답습하게 되었으나, 동전의 중량과 크기는 일정하지 않았다. 화폐의 통일은 상품의 교역과 물자의 교류에 편리하여 상품경제의 발전과 국가의 안정에 도움을 주었다. ◆ 전국시대 칠국의 화폐 1.. 2020. 7. 30.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5_周秦문물전2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5_주진문물전2_ # 서주(西周) 시기2 ◆ 익형족(翼形鏃)_날개 모양 화살촉 - 서주 - 병기_화살촉 ◆ 동과(銅戈) - 서주 - 병기 ◆ 동부(銅斧)_동 자귀 - 서주 - 공구 ◆ 패폐(貝幣)_조개 화폐 - 서주 - 화폐 ◆ 산도(鏟刀)_대패날 - 서주 - 공구 ◆ 동산(銅鏟) - 서주 - 공구 ◆ 동착(銅鑿)_동 끌 - 서주 - 공구 ◆ 동력(銅鬲) - 서주 - 취사도구 ◆ 각도(角刀)_뿔모양 칼 - 서주 - 공구 ◆ 동도(銅刀) - 서주 - 공구 ◆ 도궤(陶簋) - 서주 - 성식기(盛食器)_음식 담는 그릇 2020. 7. 30.
2019_12_시안1_임동박물관5_주진문물전2 2019_12_시안1_임동박물관5_주진문물전(周秦文物展)2 # 서주(西周) 시기1 # 거마기(車馬器) ◆ 기룡식(夔龍飾) - 서주 거마식(車馬飾)_ 수레와 말에 사용된 장식 ◆ ◆ ◆ 난령(鑾鈴) - 서주 - 거마식 ◆ 동령(銅鈴) - 서주 - 거마식 ◆ 거할(車轄) - 서주 - 거마식 ◆ 동거비(銅車轡) - 서주 - 거마식 ◆ ◆ 마표(馬鑣) - 서주 - 거마식 2020. 7. 30.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4_周秦문물전1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臨潼博物館)4 # 주진문물전(周秦文物展)1 - 임동박물관 입구 정면에 있는 건물 2층에 있다. 대부분의 관광객은 2층 자체를 올라오지 않았다. 덕분에 해설사가 아닌 관리 아저씨가 처음부터 끝까지 설명을 주욱해주셨다. 해설 보고 설명 듣고 해설 보고 설명 듣고. 마지막까지 너무 친절한 아저씨에게 드릴 것은 없고. 다행이 가지고 있던 과자가 있어 드리니 웃으면 받아주셨다. 야중에 또 오라고... 함께 사진 한장 찍고 못한 것이 못내 아쉽다. # 입구를 들어서면 볼 수 있는 유물 # 주인진적(周印秦迹) - 주진역사문물전(周秦歷史文化展) 밖의 현판과 이름이 약간 다르다 # 영구교장(零口窖藏) - 1976년 3월 상순 섬서성 임동현 영구공사 서쪽에서, 농민이 우물을 파다가 .. 2020. 7. 30.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3_금관은곽 진보전2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臨潼博物館)3 ◆ 금관은곽 진보전(金棺銀椁珍寶展)2 ◆ 동전(銅剪) - 청동 가위 - 당대(618~907) ◆ 유금관상기(鎏金管狀器) - 유금한 관 모양 기물 - 당대 ◆ 흑채도발(黑彩陶鉢) - 검은 채색의 질그릇 바리때 - 당대 ◆ 흑채도발(黑彩陶鉢) 전도(剪刀) 유금관상기(鎏金管狀器) 설명서 ◆ 금관(金棺) - 당대 - 밖의 관은 금으로 만들고 안에 관은 은으로 만들었다. ◆ 은곽(銀槨) 관속의 관 - 당대 ◆ 은작(銀勺) - 은 구기 - 당대 ◆ 은쾌(銀筷) - 은 젓가락 - 당대 ◆ 선형은기(扇形銀器) - 부채모양 은 기물 - 당대 ◆ 유금호퇴수면함환동훈로(鎏金虎腿獸面銜環銅熏爐) - 유금한 호랑이 모양 다리에 짐승의 얼굴이 새겨진 청동 향로 - 당대 - 출토.. 2020. 7. 30.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2_금관은곽진보전1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2_경산사 ◆ 금관은곽 진보전(金棺銀椁珍寶展)1 - 임동박물관에 들어서서 바로 보이는 2층 건물의 1층 정면에 있다. ◆ 측천무후와 경산사에 얽힌 이야기 ◆ 경산사(慶山寺) 상방사리탑기비(上方舍利塔記碑) - 비석 상단에 "대당개원 경산지사(大唐開元慶山之寺)"라고 쓰여 있다. 개원(開元:713~741)은 당나라 현종의 연호이다. 이 비석은 1985년 5월 5일 경산사 유지 사리탑에서 출토되었다. 비문에는 당 측천무후 시기에 경산사를 창건한 이유, 발전과 개원 초 소실된 원인과 결과, 개원 후기에 다시 경산사를 중사하여 부처의 사리를 안치한 상황과 불교의 활동이 당나라의 정치에 미친 상황과 의의를 은유적으로 기록하였다. 경산사(慶山寺) 상방사리탑(上方舍利塔) ◆ 상방사리.. 2020. 7. 30.
2019_12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1_경산사 2019_1226_섬서(陝西)1_임동박물관(臨潼博物館)1_경산사 ◆ 임동박물관 - 입구는 그냥 평범하고 소박하다. 마치 그즈녁한 사원을 들어가는 느낌이다. ◆ 중아에 있는 종 - 이곳이 사찰이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 불일증휘(佛日增輝) ◆ 유오지족비(唯吾知足碑) - 비석 위에 파자로 된 그림이 있다. - 유오지족(唯吾知足) - 招財進寶(초재진보)와 같은 파자풀이. - 이 비석은 1994년에 세웠다. - 경산사 경내 ◆ 류무묘(劉懋墓) - 호는 양충(養充)으로 임동출신이다. ◆ 2020.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