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박물관/시립부산박물관29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5_대형 그림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5_대형 작품◆ 요지연도(瑤池宴圖) 8폭병풍- 19세기- 작자미상-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해상군선도(海上群仙圖) 10폭병풍.- 19세기말~20세기 초- 작가 미상-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 8폭병풍.- 19세기- 작가 미상- 아모레퍼시픽미술관    ◆ 십장생도(十長生圖) 10폭병풍- 19세기- 작기 미상-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묵죽도(墨竹圖) 10폭병풍- 1924년- 김규진(金圭鎭:1868~1933)-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영광풍경도(靈光風景圖) 10폭병풍- 1915년- 안중식(安中植: 1861~1919)- 리움미술관 소장. 2024. 7. 19.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4_도자기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4_도자기 # 수집가의 시선3. - 고 현수명 회장과 현승훈 회장._화승.- 고 서성환 회장과 서경배 회장. _아모레퍼시픽.   ◆ 청화백자 기명문 병- 19세기-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청화백자 대나무 무늬 각병- 18세기- 국립중앙박물관[고 이건희 기증].   ◆ 백자 달항아리- 18세기- 현승훈 기증.   ◆ 백자 대호(白磁大壺)- 17세기말~18세기 초- 부산박물관[고 현수명 기증]  ◆ 백자 달항아리- 17세기 말~18세기 초-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 백자 상감 연꽃 넝쿨무늬 편병- 15세기.- 국립중앙박물관[고 이건희 기증]   ◆ 철화백자 용문 호(壺)- 17세기 말~18세기 초- 부산박물관[고 현수명 기] # 용이 해학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 2024. 7. 18.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3_그림3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3_그림3 ◆ 책가도(冊架圖) 8폭 병풍- 19세기- 작기 미상- 개인 소장 - 처음에 멀리서 보고 사진인줄 알았다.   ◆ 사인(士人) 초상- 19세기- 작가 미상- 개인 소장.    ◆ 삼공불환도(三公不換圖)- 1801년- 김홍도(金弘道: 1745~1806)- 개인 소장.    ◆ 귀거래도 8폭병풍.- 18세기- 정선(鄭敾: 1676~1759)- 개인 소장.             ◆ 도원문진도(桃源問津圖) #武陵桃源- 1913년- 안중식(安中植:1861~1919)- 리움미술관       ◆ 초동독서도(草堂讀書圖)- 18세기 말~19세기 초- 이명기(李命基: 1756~1813 이전)- 국립중앙박물관[고 이건희 기증]      # 화제- 독서다년 종송개작룡린( 讀書多年種松皆作龍.. 2024. 7. 16.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2_그림2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2_그림2 # 수집가의 마음2- 고 이병철 회장과 고 이건희 회장.- 신성수 이사장.   ◆ 연지쌍압도(蓮池雙鴨圖)- 1760년- 심사전(沈師正: 1701~1769)- 리움미술관 소장.     ◆ 영모도(翎毛圖)- 19세기- 장승업(張承業: 1843~1897)- 개인소장.      ◆ 애군우국(愛君憂國) *보물.- 17세기- 허목(許穆: 1795~1682)- 신성수.     ◆ 답상출시도(踏霜出市圖)- 18세기- 김홍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고 이건희 기증]    ◆ 화조구자도(花鳥狗子圖)_꽃과 새, 그리고 강아지들. - 16세기- 이암(李巖: 1499~?)- 개인소장.      ◆ 행서 대련(行書對聯)- 19세기- 김정희(金正喜: 1786~1856)- 개인소장.   ◆ 행서.. 2024. 7. 14.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1_그림1 2024_부산박물관_수집가전1_그림1 # 전시회를 개최하며  # 부산에서 만나는 오리 시대의 수집가1  # 이병철  ◆ 신익성(申翊聖) 초상.- 17세기- 작가 미상- 신성수.     ◆ 박문수(朴文秀) 초상 *보물.- 1750년- 작가 미상.- 신성수. # 어릴 때 만화로 보던 암행어사 박문수....       ◆ 삽살개- 18세기- 김두량(金斗樑: 1696~1763)- 현승훈.         # 화제시문야직(柴門夜直) 밤에 사립문 지키는 것이시이지임(是爾之任) 바로 너의 소임이거늘여하도상(如何途上) 어찌하여 길가에서주역약차(晝亦若此) 이와 같이 짖고 있니.  ◆ 용정반조도(龍汀反照圖)- 18세기- 정선- 아모레퍼시픽미술관. # 용정에서 지는 해.       ◆ 수하오수도(樹下午睡圖) *나무 아래서 낮.. 2024. 7. 12.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7_미야자키 사츠키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7 #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 미야자키 사츠기 선생 기증문화재.  ◆            ◆ 먹_묵(墨)- 청나라.      ◆ 단계연(端溪硯)- 청나라.   ◆ 붓_필(筆)- 청나라.   ◆ 징니연(澄泥硯)- 청나라.*징니: 진흙은 구워 만듬. 2024. 7. 8.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6_신옥진 기증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6 # 화랑 운영 30년, 서른 점의 문화재- 신옥진 선생 기증문화재   ◆ 난초- 최북(崔北)- 1712~1786년 경.  ◆ 바위- 최북(崔北)- 1712~1786년 경.    ◆ 또아리 모양 백자 연적(硯滴)- 조선시대.   ◆ 석류무늬 사각 청화백자 연적.- 조선시대.     ◆ 박쥐무늬 청화백자 병- 조선시대.    ◆ 봉화무늬 청화백자 소호(小壺)- 조선시대.    ◆ 편호 백자 명기(明器)- 조선시대. 2024. 7. 7.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5_송금조 기증.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5 # 나눔의 또 다른 실천- 송금조 선생 기증문화재.  ◆ 풀무늬를 조각한 분청사기 호(壺)- 조선시대_16세기.   ◆ 헤엄치는 오리- 조선시대_19세기.     ◆ 울산 장흥고(蔚山 長興庫) 명문 분청사기 접시.- 조선시대_15세기.  ◆ 창원 장흥고 명문 분청사기 접시.  ◆ 의령 인수부(宜寧 仁壽府) 명문이 새겨진 인화문 분청사기 대접.- 조선시대_15세기. 2024. 7. 6.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4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4 # 5대를 대물림한 효행- 천장률 선생 기증문화재.   ◆ 박기수(朴綺壽)가 효자 술운에게 보낸 글.- 조선시대_1817년.   ◆ 동래부사 서목(東萊府使 書目)- 조선시대_1762년.    ◆ 금동보살 입상.- 통일신라시대- 국보 제200호. *김지태 기증. 2024. 7. 5.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1 2024_부산박물관_기증전시실1 # 문화재 나눔과 사랑.  # 기증자: 현수명, 김지태, 이은창.  # 부산박물관 최초의 기증자_현수명.숨을 쉴 수 없는 설명서.  ◆ 음각 앵무무늬 청자 대접- 고려시대.  ◆ 물가풍경무늬[蒲柳水禽文] 상감 청자 대접.- 고려시대.   ◆ 국화무늬 상감청자 합.  ◆ 구름 학 무늬[雲鶴文] 상감청자 소병.- 고려시대.   ◆ 음각 연꽃잎무늬 잔- 고려시대.   ◆ 음각 국화무늬 청자 탁잔(托盞)- 고려시대_12세기.    ◆ 풀꽃무늬[草花文] 철화(鐵畵) 청자 매병.- 고려시대_11~12세기.      ◆ 풀꽃무늬 청자 편병(扁甁)- 고려시대.    ◆ 국화무늬가 새겨진  참외 모양 상감청자 병- 고려시대_13세기.    ◆ 황촉규무늬[黃蜀葵文] 상감청자 매병- 고려시대.. 2024. 7. 2.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11_책거리_지도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11_서가와 지도 # 책거리[冊架] 8풍 병풍.              # 곤여전도(坤輿全圖)   ◆ 해좌전도(海左全圖)    ◆  천상열차분야지도( 天象列次分野之圖) 2024. 7. 1.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10_미술실2_초상화와 서예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10_미술실2_초상화와 서예 # 조선의 초상화.  ◆ 조선말기 성리학자 간재(艮齋) 전우(田愚) 초상화.   ◆ 미수(眉叟) 허목(許穆) 초상화.- 1676년.    ◆ 남벌(南橃) 초상화.- 작가 미상.- 조선 / 17세기 전반.   # 조선시대의 서예   - 왼쪽에 4명의 족자가 있다.  ◆ 1. 김의신(金義信)이 쓴 "어약연(魚躍淵)"- 조선 / 17세기 중반.   ◆ 2. 이삼석(李三錫)이 쓴 왕유(王維)의 "산중송별(山中送別)"- 조선 / 1682년  산중상송파(山中相送罷)   산 속에서 그대와 이별하고 일모엄시비(日暮掩柴扉)   해 저물어 사립문을 닫네 춘초명년록(春草明年綠)  봄풀은 내년에도 푸르겠지만 왕손귀불귀(王孫歸不歸)  그대는 다시 돌아올 수 있을지    .. 2024. 6. 23.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9_미술실1_도자기 외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9_미술실1_도자기 외 # 부산박물관 소장품의 정수(精髓)를 만나다.  ◆ 청자 모란넝쿨무늬 막새[靑磁陽刻牡丹唐草文瓦]- 고려 / 12세기   ◆ 고려백자 3기.- 고려 / 10~11세기.    ◆ 청자 도철무늬를 양각한 향로[靑磁陽刻饕餮文方鼎形香爐]- 고려 / 12세기  ◆ 우: 청자 연꽃무늬 병.[靑磁陰刻蓮花文倂]- 고려 / 12~13세기.  ◆ 청자 국화무늬 병- 고려시대.   ◆ 청자 모란무늬 편병[靑磁象嵌牡丹文扁甁]- 고려시대  ◆ 청동북[靑銅金鼓]- 고려 전기.-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170호.   ◆ 상주 안수사명 동종[尙州安水寺銘文銅鐘]- 고려시대-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 청동 은입사발[靑銅銀入絲鉢]- 고려시대.  #  ◆ 청동향로뚜껑- 고려시.. 2024. 6. 22.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8_근대2_개항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8_근대2_개항 # 개항, 세계로 문열 열다.  # 우리는 일어선다.  # 국채보상운동 / 민족교육의 확립.  # 부산의 3.1 운동.  # 비밀 결사 운동.    ◆ 대한독립 선언서(大韓獨立 宣言書)     # 부산의 독립운동가.  # 부산의 독립운동가- 한형석, 안희제, 박차징, 박제혁, 김약수.  # 신기한 서양 문물과 일상의 변화.    # 서양 문화의 유입과 근대화의 바람.      ◆ 이발 도구.     ◆ 담배의 '고어'   ◆ 사진관.  # 사람의 혼을 빼 가는 마술 상자_사진기와 사진.  # 6.25 전쟁  # 따뜻한 남쪽 피난 도시, 부산.  # 임시수도 1,023일   # 대한민국 재건의 핵심 도시, 부산.  # 민주주의 항쟁의 중심.  # 산업화의 견인차,.. 2024. 6. 21.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7_근대1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7_근대1 # 근대의 물결 속 동래부. ◆     # 근대 관청의 설립_부산해관과 부산항람리서.  ◆ 해은일록(海隱日錄).    ◆    ◆      ◆       ◆     ◆    # 이방인의 눈에 비친 개항기 부산.  ◆     ◆      # 짙게 드리워진 도시 근대화의 그늘.  # 부산항 수출우 검역수   # 관부 연락선.      # 메워지는 바다.  ◆   ◆     ◆    # 부산 시가지 계획.  # 일제의 지배와 침략 정책.       # 1876년 개항.  ◆ 면암 최익현 선생 충혼가- 대한제국 / 1906년   ◆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부록- 조선 / 1876   ◆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조선 / 1876 2024. 6. 20.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4_조선4_교린과 통신사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4_조선4_교린과 통신사 # 성신(誠信)과 교린의 대표, 통신사.  # 부산, 일본 사행의 출발지.   ◆ 사로승구 도권(槎路勝區圖卷)_일본 사신으로 갈 때 명승지를 그린 두루마리.- 조선 / 1748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만리길 부상(扶桑:일본)을 향하여.    ◆ 조선인도해선문장명(朝鮮人渡海船文 長皿)- 에도시대 / 19세기- 조선인이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는 모습을 그렸다.    # 통신사의 여정.  ◆ 통신사 서계(通信使 書契)- 조선 / 1748년      ◆ 조선인 래조지기(朝鮮人 來朝之記)- 에도시대.  ◆ 우: 대전기(大全記)- 1763년 제11차 조선통신사 행렬 장면.   ◆ 조선통신사 형렬도 판화- 일본 / 20세기  ◆ 쓰시마주 서계(對馬島主 書契).. 2024. 6. 18.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3_조선3_임진왜란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3_조선3_임진왜란 # 전쟁의 발발과 경과.- 1592년 임진왜란이 시작되다.  ◆ 부산진 순절도(釜山鎭 殉節圖) *보물 제391호- 조선 / 1760년- 육군박물관.- 1760년 동래부 군관 변박(卞璞)이 임진왜란 최초 전투인 부산진성 전투 장면을 그린 기록화이다.   ◆ 동래부 순절도(東萊府 殉節圖) *보물 제392호.- 조선 / 1760년- 육관박물관.- 변박이 1592년 4월 15일에 벌어진 동래성 전투의 항전내용을 그린 기록화이다.  ◆ 동래부 순절도(東萊府 殉節圖)- 조선 / 1834년- 울산박물관.- 1592년 4월 15일 왜구와 맞서 대항하다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과 도래부빈의 저장을 중심으로 동래성 전투 상황을 묘사한 기록화이다.   # 전쟁의 참상.   ◆ 찰.. 2024. 6. 17.
2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1_조선1 024_부산박물관_부산관01_조선1 # 동래관에서 부산관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치미.       # 조선와 관문 동래   # 동래부  ◆ 구재윤(仇載允) 호구단자.- 동래부 부산면 좌일리 11통 1호에 살던 구재윤의 호구단자.- 1785년.    ◆ 구명창(具命昌) 준호구(準戶口)- 동래부 남촌면 상동 동부리 30통 1호에 살던 구명창의 준호구.   ◆ 동하면 (東下面) 우세답(牛稅沓) 개양안(改量案)- 조선 / 1842년-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24호   ◆ 동래부산고지도(東萊釜山古地圖)- 19세기 후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동하도록교량준천수치절목(東下道路橋梁濬川水治節目)- 조선 / 1792년.-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24호.   ◆ 동면 하단 관우절목책(東面 下端 官牛節目冊).. 2024. 6. 14.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10_고대/중세7_고려시대3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10_고대/중세7_고려시대3 # 동래에 꽃피는 고려불교.  ◆ 1. 후우:  소형청동탑 / 소장품. ◆ 2. 잎: 소형석탑 / 소장품  ◆ 3.   ◆ 4. 금동여래좌상(金銅如來坐像) / 소장품   ◆ 5.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 소장품.    # 청동그릇.  ◆ 6. 후좌: 종모양 청동거울 / 소장품◆ 7. 후우: '卍'자가 새겨진 청동거울 / 소장품.  ◆ 8. 전우: 청동병 / 소장품.  ◆ 9. 전중: 청동잔 / 소장품.  ◆ 10. 전좌: 청동주전자 / 소장품.   ◆ 11. 후:  금강요령(金剛搖鈴) / 소장품 ◆ 12. 전: 금강저(金剛杵) / 소장품.   ◆ 13. 청동향로 뚜껑 / 소장품.    ◆ 14. 복장용기(腹臟容器) / 소장품.   ◆ 15. 청동.. 2024. 6. 13.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9_고대/중세6_고려시대2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9_고대/중세6_고려시대2 # 고려시 동래인의 삶.  ◆ 동경(銅鏡)  ◆ 반룡문경:  용이 서려 있는 모양의 거울.  "황비창천(煌丕昌天)_ 밝게 빛나는 창성한 하늘’ "이 새겨진 동경.- 이와 동일한 형태의 거울은 박물관에서 자주 만날 수 있다.  ◆ 5. 청동기울- 덕천동 / 연산동 / 소장품.  ◆ 1. 뒤: 청자상감유개합(靑磁象嵌有蓋盒) / 덕천동.◆ 2. 앞:   ◆ 3. 청자상감 소병 / 덕천동. ◆ 4. 청자상감 유병(油甁).   ◆ 6. 유리구슬- 덕천동.   ◆ 7. 청동반지- 덕천동.   ◆ 8. 동곳- 동래 고읍성지 / 덕천동.   ◆ 9. 청동가위- 덕천동.  ◆ 17.    ◆ 10.  ◆ 11.    ◆ 12.  ◆ 13.  ◆ 14.    ◆ 15. .. 2024. 6. 12.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8_고대/중세5_고려시대1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8_고대/중세5_고려시대1 # 동래현, 지방관이 파견되다.  # 동래현과 동래정씨.  ◆ 1. 녹청자 접시[靑磁皿] / 담강동.  ◆ 2.  청자 접시[靑磁皿] / 동래 고읍성지.     ◆ 3. 우: "호장동정 정자형(戶長同正 鄭子赫)" 명문 기와. ◆ 3. 좌: "호장동정 정자형(戶長同正 鄭諧)" 명문 기와.   ◆ 4. "동래군(東萊郡)" 명와(銘瓦) / 당감동.- '東萊郡'이 새겨진 암키와.   # 호족문화의 융성.   ◆ 1. 청자해무리굽완[靑磁日暈底碗]  / 만덕사지  / 두구동.   ◆ 2. 좌: 끝이 뾰종한 청자 그릇. ◆ 3. 우: 청자삼감초문(靑磁象嵌草文) "壬申'명문 접시. / 동래 고읍성지.*접시(接匙) 2.  3.    ◆ 7. 상: 청자화형접시[靑磁花形皿.. 2024. 6. 11.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7_고대/중세4_통일신라2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7_고대/중세4_통일신라2 # 고대 건축의 완성, 기와.  ◆ 1. 귀면와[鬼面瓦] / 기장 좌동리.    # 다양한 기와_와당.  ◆ 2. 수막새[圓瓦當]- 기장 고촌리 / 기장 임랑리.  2. 기장 좌동리 / 낙민동.  2. 온천동 / 송정동. *소장품.  ◆ 3. 암막새[平瓦當]  /  낙민동 / 온천동.  #  기와의 종류와 쓰임.- 용마루: 수마룻장, 적새, 부고, 착고, 치미.- 내림마루, 수키와, 암키와, 귀면와- 귀마루, 마루수막새, 귀면와, 모서리기와, 사래기와.- 수막새, 암막새, 연목기와, 부연기와. 2024. 6. 10.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6_고대/중세3_통일신라1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6_고대/중세3_통일신라1 # 동래군, 동평현과 기장현을 거느리다.  # 불교문화의 확산과 장례풍습의 변화  ◆ 1. 불상이 새겨진 벽돌 / 부산박물관 소장.     ◆ 2. 우: 청동불상 / 부산박물관 소장품   ◆ 3. 좌: 금동여래입상 / 부산박물관 소장품.  ◆ 4.    ◆ 5. 좌: 도장무늬 항아리  / 소장품 ◆ 6. 우: 녹류뼈 항아리 / 소장품 5. 6.   ◆ 7. 뼈항아리 /  연산동 / 기장 교리 / 소장품   ◆ 8. 뚜껑. / 기장 명례리 / 기장 청강리 / 노포동       ◆ 9. 뚜껑 있는 바리 / 노포동 / 오륜동 / 좌동.        # 우물과 고대인의 생활  ◆ 1. 뒤: 사발[盌]  / 좌_오륜동 / 우_노포. ◆ 2. 앞: 등잔 / 기장 .. 2024. 6. 9.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5_고대/중세2_삼국시대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5_고대/중세2_삼국시대 # 거대한 무덤의 시대, 연산동 고분군.  ◆ 1. 말띠 드리개 / 연산동 ◆  2. 안장 / 연산동   ◆ 3. 미늘갑옷 조각 / 연산동◆ 4. 큰칼 / 연산동 ◆ 5. 화살촉 / 연산동 ◆ 6. 화살촉 / 연산동 ◆ 7. 쇠투겁창 / 연산동   ◆ 14.    ◆ 8. 항아리 / 연산동 ◆ 9. 손잡이 항아리 / 연산동 ◆ 10.  긴목항아리 / 연산동    ◆ 12. 긴목항아리 / 연산동. ◆ 13. ◆ 16. 굽다리접시.    ◆  20. 굽다리접시[高杯] / 연산동  ◆ 15. 손잡이 있는 그릇. ◆ 16. 굽다리 그릇. ◆ 17.  뚜껑 ◆ 18. 뚜껑 있는 굽다리 접시. ◆ 19. 뚜껑 ◆ 20. 굽다리접시.  ◆ 10. 저울추 / 배산성.. 2024. 6. 8.
2024_05_부산박물관_최민식 작가 부산 사진전 2024_05_부산박물관_최민식 작가 부산 사진전 부산관 2층에서 1층으로 내려오는 나선형 복도에  위에서 아래순으로 전시되어 있다. # 부산(釜山) 그리고, 부산의 얼굴들 대한민국 다큐멘터리 사진의 대가 그의 시선으로 본 부산의 얼굴.    # 1. "다양한 삶, 다양한 표정"  - 오랜만에 보는 대나무 우산이다.비오는 날 한 손에는 우산을 들고 한 손에는 책보를 들고 학교를 가는 길인듯.  # 머리에 나무 조각을 이고 가는 어린이~~ # 찐고구마?를 파는 아낙. - 동생을 엎고 걸어가는 형..저 형의 얼굴에서 국민학교 때 내 모습이 연상된다.  - 단체 급식 점심시간? - 지게 진 아저씨.  - 거리의 악사?김영석(金永石) - 양푼에 식사하는 아낙.   - 자물쇠 장사  - 큰 망치를 어깨에 멘 아저.. 2024. 6. 7.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4_고대/중세1_가야_삼국시대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4_고대/중세1_가야_삼국시대 # 선사시대에서 고대로 넘어오는 복도. # 대형 토기.- 큰항아리.     # 부산의 뿌리, 동래.  # 동래군 이전에 가야가 있었다. # 삼국시대 유적분포도.  # 철감옷과 무기이 발달.  1. 덩이쇠[鐵鋌]  / 복천동.  2. 쇠갑옷[鐵長板甲] / 복천동.  # 말갖춤의 종류. 기마에 사용된 물건의 이름들.  3. 재갈 / 부산박물관 소장.4. 말띠 꾸미개 /  부산박물관 소장. 5. 말방울[靑銅鈴] /   부산박물관 소장. 6. 말띠 드리개[杏葉]   / 부산박물관 소장. 7. 발걸리[鐙子]   / 기장 동백리.  8. 고리자루큰갈[銀象嵌環頭大刀] / 기장 용수리 / 복천동.9. 쇠투겁창[鐵鉾] / 기장 동백리 / 복천동 / 미음.  10. .. 2024. 6. 6.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3_선사실3_삼한시대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3_선사실3_삼한시대 ■ 삼한시대_철기시대# 철기문화의 유입과 변한사회의 성립.  # 널무덤을 만든 변한 사람들.  1. 야요이식[彌生] 토기 / 동래 내성.2. 뚜껑이 달린 굽다리 접시.[有蓋臺附杯] / 부산박물관 소장. 3. 쇠납작도끼[板狀鐵斧] / 기장 방곡리.  4. 상좌: 청동칼[韓國式銅劍] / 부산박물관 소장.5. 상우: 청동거울[方格規矩四神鏡] / 김해 양동리. 傳.6. 하좌: 청동 꺾창[銅戈]  7. 하중하: 말모양 허리띠고리[馬形帶鉤]8. 하중상: 호랑이모양 허리띠고리[虎形帶鉤]9. 하우: 청동도끼[銅斧] / 부산박물관 소장.  10. 쇠칼[鐵劍]  / 기장 방곡리.11. 족집게[鐵鑷]12. 쇠칼[鐵劍] 13. 쇠칼[鐵劍]   14. 15. 자귀?16. 철낫.17.. 2024. 6. 5.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2_선사실2_청동기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2_선사실2_청동기  # 마을을 일군 사람들.  # 벼농사의 시작과 도구의 발달.  1. 가락바퀴[紡錘車]  / 노포동 / 명장동, 미음동 분절 / 반여동 / 오륜대  *우측 모형.  2.  어망추(漁網錘)  / 기장 장안읍  3. 돌도끼[石斧]  상: 모형- 미음동 분절  / 기장 방곡리 / 복천동 / 반여동 / 회동동, 석대동 / 기장 월내리.4. 상우: 돌끌[石鑿] / 당감동 / 기장 방곡리 / 오륜대5. 하우:  대팻날[扁平片刀石斧] / 노포동 / 기장 교촌리.  6. 반달돌칼[半月形片刀] / 기장 방곡리 / 기장 반룡리 / 노포동 / 부산박물관 소장 /  하*모형. 7. 상: 갈돌[棒石] / 온청동8. 하: 갈판[碾石] / 노포동.  # 청동기시대 유적분포도.   9. .. 2024. 6. 4.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1_선사실1_신석기_구석기 # 부산박물관 전경   # 박물관 정면에서 왼쪽에 있는 비석들       1층 복도를 지나서 왼쪽 계단을 따라 2층으로 올라간다.2층은 동래관, 부산관 2개로 되어 있다.동래관에는 고대의 유물이, 부산관에서는 근현대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2층 동래관1  ■ 선사실(先史室)는 4개로 시기로 구성되어 있다.- 1) 구석기시대,  2) 신석기시대,  3) 청동기시대,  4) 삼한시대.  # 부산박물관 안내도.   ■ 구석기시대# 인류의 출현과 구석기 문화- 구석기시대 유물은 총 12종이 전시되어 있다.  # 구석기인의 자취, 해운대.- 이때도 해운대 부근에 사람이 모여 살았나보다.  1.  찍개[單面器].2. 찌르개[尖頭器].3. 뚜르개[錐形石器].4. 5. 6.   7. 작은 돌날[細石刃]. -중동 출토.. 2024.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