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4_고대/중세1_가야_삼국시대
# 선사시대에서 고대로 넘어오는 복도.
# 대형 토기.
- 큰항아리.




# 부산의 뿌리, 동래.

# 동래군 이전에 가야가 있었다.

# 삼국시대 유적분포도.

# 철감옷과 무기이 발달.

1. 덩이쇠[鐵鋌] / 복천동.

2. 쇠갑옷[鐵長板甲] / 복천동.

# 말갖춤의 종류. 기마에 사용된 물건의 이름들.

3. 재갈 / 부산박물관 소장.
4. 말띠 꾸미개 / 부산박물관 소장.
5. 말방울[靑銅鈴] / 부산박물관 소장.
6. 말띠 드리개[杏葉] / 부산박물관 소장.
7. 발걸리[鐙子] / 기장 동백리.

8. 고리자루큰갈[銀象嵌環頭大刀] / 기장 용수리 / 복천동.
9. 쇠투겁창[鐵鉾] / 기장 동백리 / 복천동 / 미음.

10. 큰칼[大刀] / 기장 동백리 / 미음동 / 기장 명례.



11. 화살통[盛矢具] / 복천동.

12. 화살촉[鐵鏃] / 복천동 / 미음동 / 오륜.

13. 살포[鐵鏟] / 기장 용수

15. 쇠도끼[鐵斧] / 미음동 / 구랑동 / 기장 동백리.

14. 따비[鐵耒] / 기장 청강리, 대라리.
16. 살포[鐵鏟] / 복천
17. 괭이 / 기장 청당리, 대라리.

18. 낫[鐵鎌] / 기장 동백리 / 복천동 / 오륜동.

19. 손칼[鐵刀子] / 기장 용수리 / 복천동.
20. 굽은 손칼[曲刀子] / 복천동.

# 그릇으로 본 사회의 모습

# 가야토기의 변천
1. 두귀달린 항아리[兩耳付短頸壺]
- 복천동.


◆

◆ 5.

◆ 2. 좌: 짧은목 항아리[短頸壺] / 복천동
◆ 2. 우: 화로 모양 그릇[爐形土器] / 복천동


◆ 4.




◆ 6. 굽다리접시[高杯] / 복천동
◆ 6. 뚜껑이 있고 손잡이가 달린 굽다리 항아리[有蓋臺附把手附壺] / 복천동

◆ 8. 좌: 바리모양 그릇 받침[鉢形器臺] / 복천동.

◆ 9. 좌: 굽다리접시[高杯] / 복천동.
◆ 9. 우: 뚜껑이 있고 손잡이 달린 굽다리 항아리[有蓋臺附把手附壺] / 복천동.
◆ 9. 앞: 뚜껑이 있는 굽다리 항아리[有蓋臺附壺] / 복천동

◆ 11. 뒤: 넙은입 항아리[廣口小壺] / 지사동
◆ 11. 앞: 작은 그릇받침[小形器臺] / 복천동

# 가야토기의 아름다움.
◆ 10. 손잡이 잔[把手附杯] / 미음동 / 오륜동 / 지사동
*지금의 감각으로 봐도 너무 아름답다. 가야 토기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 13. 우: 뚜껑 있는 굽다리 접시[有蓋高杯] / 지사동 *소가야계토
◆ 14. 좌: 굽다리 접시[高杯] / 복천동 / 지사동. *아라가야계 토기


◆ 12.



◆


# 상형토기
◆ 16. 앞: 신선로 모양 토기 / 부산박물관 소장.
◆ 16. 뒷: 방울잔[土器鈴杯] / 부산박물관 소장.
◆ 16. 우: 잔이 달린 굽다리 접시[角杯臺] / 부산박물관 소장.


# 다리에 있는 물결 무늬가 화룡점정이다.

'한국박물관 > 시립부산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5_고대/중세2_삼국시대 (0) | 2024.06.08 |
---|---|
2024_05_부산박물관_최민식 작가 부산 사진전 (0) | 2024.06.07 |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3_선사실3_삼한시대 (0) | 2024.06.05 |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2_선사실2_청동기 (0) | 2024.06.04 |
2024_부산박물관_동래관1_선사실1_신석기_구석기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