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금류15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4_흰꼬리수리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4 # 흰꼬리수리 # 흰꼬리수리 4형제. - 이름이 건강, 검진, 청둥, 번개. # 애가 "건강"이. 날지 못하고 땅에만 있다. # 애들도 번식기라고 엄청 울어댄다. - 소리를 위한 동영상이다. 2023. 5. 30.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5_달마수리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5 # 달마수리 2023. 5. 30.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6_붉은허벅지말똥가리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6 # 붉은허벅지말똥가리 - 날아가는 먹이를 낚아채는 사냥꾼이다. 말똥가리와 새매를 합친 것 같은 새. 2023. 5. 30.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7_참매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7 # 참매 - 북한 김정은이 타고 다니는 비행기가 바로 "참매1호"이다. 참매가 맹금사 전체에서 가장 활발하게 움직인다. 속도도 엄청 빠르다. 물론 천장의 그물이 낮아 잠깐의 비행에 그치지만... # 참매 활공 동영상 2023. 5. 30.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_황조롱이8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8 # 황조롱이 - 털 색이 황색이라 황조롱이이다. 2023. 5. 30.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9_올빼미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9 # 올빼미 - "밤의 은둔자" 올빼미는 낮에 동굴에서 자고 있다. # 올빼미가 자면서 눈을 떳다감았다 한다. 2023. 5. 30.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10_수리부엉이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10 # 수리부엉이 - 수리부엉이도 자다깨다를 반복한다. 2023. 5. 30.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3_독수리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3 # 독수리 # 서울동물원 사이트 사진 2023. 5. 29.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2_안데스콘도르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2 # 안데스콘도르 - 나를 보고 앉아 있다가 날개를 펴고 온다. 장관이다. - 눈 앞에 앉아서 쳐다본다. - 한 마리가 더 날아 왔다. - 식상했는지 더운지 다시 동굴로 들어갔다. # 안데스콘도르 동영상 2023. 5. 29.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1_검독수리 # 서울대공원 동물원_맹금사1 # 검독수리 # 맹금사 입구 - "하늘의 제왕 맹금" # 맹금사 전경 산쪽으로 윗쪽에는 독수리 독방, 중앙 뒷쪽에는 칸을 나누어 왼쪽부터 달마수리, 참매, 붉은허벅지말똥가리, 황조롱이, 수리부엉이가 있다. 아랫쪽에는 흰꼬리수리의 독방, 앞쪽의 왼쪽에는 검독수리, 오른쪽에는 안데스콘도르가 있다. - 보인는 맹금사가 중앙 뒷쪽이다. 여기서 오른쪽이 독수리사. - 산쪽 방향에 있는 독수리사. - 입구 쪽에 있는 맹금사. 보이는 사진에서 앞쪽에 안데스콘도르, 뒷쪽에 검독수리가 있다. 맨 뒤에 보이는 높은 그물집이 "큰물새장". 그 쪽에 있는 것이 흰꼬리수리 맹금사이다. # 검독수리_"태풍이" - 안데스콘도르와 달리 검독수리는 좀처럼 땅으로 내려오지 않았다. - 사진이 없어 아쉽다. 2023. 5. 29.
경성대 조류관_박제 A4 맹금류4 경성대 조류관_박제 A4 맹금류4 - A4에는 수리부엉이, 올빼미, 쏘쩍새 등 야행성 맹금류이 3종이 전시되어 있다. # 왼쪽이 칡부엉이와 오른쪽이 쇠부엉이 # 올빼미 # 올빼미 새끼 올빼미 # 큰소쩍새 #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 # 야행성 맹금류 - 올빼미는 소리 없이 날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의 깃털과 뛰어난 청각으로 어둠 속에서도 먹잇감을 기습공격한다.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올빼미과의 새들은 낮에는 잠을 자고 해질녘이나 어두운 밤에 사냥을 한다.) 선명하지 않은 칙칙한 색의 깃털로 둘러싸인 몸은 낮에는 포식동물로부터, 밤에는 먹잇감에게 자신을 숨긴다. 야행성 조류의 특징은 눈이 매우 크고 사자와 같은 포식동물척럼 두둔이 앞쪽을 향하고 있어 사물의 거리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올빼미과의 새는 좌.. 2023. 5. 23.
경성대 조류관_박제 A3 맹금류3 # 경성대 조류관_박제 A3 맹금류3 - 부산의 맹금류_매 "참매" # 유성처리 내리꽃아.... [매에 대한 설명] - 매가 먹이를 향해서 급강하할 때의 비행속도는 새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다. 급강하할 때의 속도가 어느정도인지에 대하여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대략 시속 225km를 충분히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맹금류란? 사나운 새라는 의미로, 매목과 올빼미목에 속한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감각이 예민하고 행동도 민첩하며, 다른 새나 짐승, 물고기 따위를 공격하여 잡아먹는 사나운 육식성 조류이다. 몸이 크고 부리와 발톱이 날카로우며 눈과 귀가 발달하였다. 매, 독수리, 부엉이, 올빼미 따위가 있다. # 부산의 맹금류 - 부산의 우리나라 새의 2/3를 볼 수 있다고 한다. 겨울에는 독수리, 참수.. 2023. 5. 22.
경성대 조류관_박제 A2 맹금류2 경성대 조류관_박제 A2 맹금류2 - 조류관 입구에서 왼쪽이 A2이다. 독수리 2마리의 박제가 있다. # 먹어서 치운다? [독수리] - 대부분의 맹금류는 살아 있는 먹이를 사냥하여 먹거나, 일부는 죽은 동물의 사체를 먹기도 하지만 콘도르류와 독수리를는 오로지 사체만을 먹는다. 크고 넓은 날개로 유유히 하늘을 날며 어디엔가 있을 사체를 찾아 하루 종일 찾아 헤맨다. * 역시 자연의 청소부라는 별명이 어울리는 동물이다. 땅에는 하이에나 하늘에는 독수리. 2023. 5. 21.
경성대 조류관_박제 A1 맹금류1 # 경성대 조류관_박제 A1 맹금류1 생물학과 우용태 교수가 수집한 275종 1000여점의 국내 서식 조류와 포유류 등을 전시한다. 특히 경성대학교 조류관에만 소장된 것으로는 붉은배지느러미발도요, 홍비둘기, 고대갈매기, 쇠청다리도요사촌, 긴발톱할미새, 알락쇠오리 등이 있다고 한다. # 지하 로비 # 새의 각 부분 명칭. # 경성대학교 조류관은 본관 지하에 있다. 관람 순서는 출입구에서부터 후문까지 A~F로 전시되어 있다. A는 맹금류, B1~3는 오리류, B4~6은 해오라기 뜸부기 아비류, C1과 3는 갈매기류, C2는 도요새 물떼새류, D는 우는 새류, E는 큰 새, F1은 부산 포유류, F2는 앵무류, F3는 사육조류 및 가금류, F4는 수달과 물범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조류관 입구 왼쪽 로비에는 .. 2023. 5. 20.
검독수리 # 검독수리 증산동 - 카메라고 독수리의 높이 따라가지 못했다. 감나무에 열린 감을 찍다가 우연히 찍힌 검독수리. 2021.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