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박물관/독립기념관5

독립기념관_2.2. 2관. 겨레의 시련2 독립기념관_2.2. 2관. 겨레의 시련2 # 나라를 빼앗기다. # 시련의 시작 #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 강화 단판도. # # 일로전쟁 사진화보. # 로바노프-아마카타 의정서. # 강제된 조약. # 을사늑약. # 한규설 관복. # 공고사控告詞 # 을사늑약문. # 김광제 상소문. # 민영환 유서. # 대한 이천만 동포에게 남기는 글. # 을사늑약 체결 장면. # 빼앗긴 권리. # 한일의정서 # 정미조약 丁未條約. # 기유각서己酉覺書 # # 동양철도선로략도 東洋鐵道線路略圖 # 경부철도선로약도 京釜鐵道線路略圖 # # 재정고문 용빙 계약안. # 한국시정 연보 # 경술년의 치욕. # 대한제국 최후의 1년. 2025. 5. 5.
독립기념관_2.2. 2관. 겨레의 시련1 # 독립기념관_2.2. 2관. 겨레의 시련1 # 북관대첩비 北關大捷碑 # 북관대첩비가 돌오오기까지.- 북관대첩비는 임진왜란(1592~1598) 때 북평사(北評事) 정문부(鄭文字,1565~1624) 선생이 의병을 일으켜 함경도 길주, 백탑교 등지에서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가 이끄는 왜병들을 격파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워진 승전비이다. 그러나 정문부 선생의 업적은 선생을 모함한 무리에 의해 가려지고, 오히려 선생은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돌아가셨다.선생이 돌아가신 지 43년 후에야 모든 것이 밝혀지고, 선생이 돌아가신 지 85년 뒤인 1708년에는 그곳에 부임했던 함경도 북평사(北評事) 최창대(崔昌大, 1669~1720)가 글을 짓고 이명필(李明弼)이 글을 써서 함경북도 길주군 임명(臨溟)에 .. 2025. 5. 5.
독립기념관_2.1. 1관. 겨레의 뿌리 # 독립기념관_2.1. 1관. 겨레의 뿌리 # 존 I. 우리 겨레의 터전과 뿌리우리 겨례의 터전과 뿌리 동북아시아 중앙에 위치한 한반도는 수천 년 동안 우리 겨레의 터전이 되었고, 우리 겨레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우리 겨레는 북방계 유목 민족과 남방계 농경 민족이 정착하여 형성되었고, 만주 지역과 한반도에 고대국가를 이루며 독자적이고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습니다. # 민족의 기원 # 주먹도끼- 구석기 연천 전곡리- 서울대학교박물관 제공 # 고인돌 왕국 # 천전리川前里 바위 그림 巖刻畵- 선사시대의 인류는 자신들의 생활상과 소망을 바위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천전리 바위그림에는 동심원, 마름모 등 기하학적 무늬와 동물 그림이 새겨져 있다. 이는 풍요를.. 2025. 5. 5.
독립기년관_0.2.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 # 독립기년관_0.2.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 - 사실 작년에 이름만 보고 가지 못해 매우 안타가웠던 곳이다. 과연 어떻게 전시가 되었있는지 궁금했었다.입구에서부터 느껴지는 것이 내 생각과는 달랐다. 뭐랄까? 폐허가 된 그리스신전 느낌. 캄보디아 앙코르유적의 일부를 보는 느낌이 들었다.이 공원을 보면서 느꼈던 아쉬움은 너무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것이 여기에 있는 이유를, 저 유물?을 보고 후세, 후대가 어떤 느낌을 받을지를 알고 설치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개인적으로, 차라리 광화문사거리에 두었으면 어떻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한 때의 번영이 결국 어떻게 바꾸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을 알기에.... #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 가는 길 오른쪽에 있다. # 독립기념관 .. 2025. 5. 5.
독립기년관_0.1. 광개토대왕비 # 독립기년관_0.1. 광개토대왕비 - 겨례의탑을 지나 오른쪽에 있다. # 광개토대왕릉비(廣開土大王陵碑)이 비는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시(集安市)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릉비와 같은 석질, 형태 글씨로 제작된 것이다. 높이 6.39미터에 무게 38톤에 이르는 이 비는 동양에서 가장 크고 높다. 4면에 새겨진 1,802자의 비문은 고구려의 건국사실과 왕위계승, 광개토대왕의 정벌활동, 그리고 왕릉을 지키는 제도와 대왕의 유훈이 담겨 있어서, 한국 고대 고구려의 웅장한 역사를 알려주는 증표(證票)이기도 하다.이 비가 있는 현장을 직접 찾아보기도 어렵고, 이 비를 둘러싸고 주변국들이 역사왜곡을 벌이기도 하여 우리에게 커다란 우려를 주고 있다. 독립기념관 겨레의 큰 마당에 광개토대왕릉비(再現碑)를 다.. 2025.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