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박물관/독립기념관

독립기념관_2.2. 2관. 겨레의 시련1

by isanjo 2025. 5. 5.

# 독립기념관_2.2. 2관. 겨레의 시련1

 

 

 

# 북관대첩비 北關大捷碑

 

# 북관대첩비가 돌오오기까지.

- 북관대첩비는 임진왜란(1592~1598) 때 북평사(北評事) 정문부(鄭文字,1565~1624) 선생이 의병을 일으켜 함경도 길주, 백탑교 등지에서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가 이끄는 왜병들을 격파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워진 승전비이다. 그러나 정문부 선생의 업적은 선생을 모함한 무리에 의해 가려지고, 오히려 선생은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돌아가셨다.
선생이 돌아가신 지 43년 후에야 모든 것이 밝혀지고, 선생이 돌아가신 지 85년 뒤인 1708년에는 그곳에 부임했던 함경도 북평사(北評事) 최창대(崔昌大, 1669~1720)가 글을 짓고 이명필(李明弼)이 글을 써서 함경북도 길주군 임명(臨溟)에 고을 주민의 뜻을 모아 마침내 북관대첩비를 건립하게 되었다.
그로부터 약 200년 후 러일전쟁(1904~1905)이 일어나자 이 지역에 주둔한 일본군 이케다 마사스케(池田正介) 소장이 이 비석을 읽어보고 자기네 조상들의 패전 기록임을 알게 되자 비석을 뽑아 일본으로 보내버렸다. 그 후 비석은 일본 왕실에서 보관하다 야스쿠니 신사(靖國神社)로 옮겨졌다.
이러한 사실은 도쿄(東京)에서 활동하던 최서면(崔書勉) 선생이 1978년에 옛 기록을 검토하다가 1909년 당시 일본 유학생이었던 조소앙(趙素昻, 1887~1958) 선생이 대한흥학보에 기고한 글을 읽고 처음 알게 되었으며, 이 비석 또한 야스쿠니 신사에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그 후 한국 정부와 민간단체들이 수차례 비의 반환에 노력을 기울여 2005년 10월 20일에 비를 반환받게 되었다. 이 비석은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에 관한 귀중한 역사적 자료인 동시에 남북간의 잃어버린 역사상을 회복하고 한·일 간의 불행했던 과거를 청산하는 증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으로부터 반환된 북관대첩비는 남북 협의에 따라 2006년 3월 1일 북한에 인도되어 본래의 자리인 함경북도 김책시에 복원되었으며, 이 비석은 원래의 비를 그대로 복원하여 2006년 7월 4일 독립기념관에 세운 복제비이다.

 

# 박은식의 한국통서  서문 중에서.

 

# 계레의 시련

 

 

# 존 I.  조선, 문을 열다

 

 

# 제국주의 일본의 시작_요시다 쇼인과 쇼카손주쿠

- 제국주의 일본을 만든 요시다 쇼인의 제자들.

이토 히로부미 / 야마가타 아리토오 / 기도 다카요시.

 

 

# 개항과 변화.

 

#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 조약.

 

# 불평등한 시작_조일수호조규.

 

 

# 일명 "강화도조약"이다.

 

 

 

# 통상장정通商章程_조일무역 규칙.

 

 

 

# 조약 체결과 문호 개방.

 

 

 

# 서양 열강과 체결한 수호통상조약.

 

 

# 교통의 발달.

 

# 근대 문물과 제도의 수용.

 

# 통신의 발달.

 

 

 

 

# 대조선국 우정국 사무장정_조선 우체국 업무지침.

 

◆ 집배원 모자.

 

# 근대 교육의 시작.

 

◆ 육영공완일록育英公院日錄 

 

 

◆ 외국어학교 교관 임명장

- 대한제국 외국어학교 교관 나현구羅鉉九의 임명장이다. 외국어학교는 육영공원의 후신으로 1895년 외국어학교관제 제정과 함께 설립되었다. 나현구를 외국어학교 교관 판임관 8급 임명하는 임명장이다.
학부대신 이완의 도장이 직혀 있다.

 

-1906년

- 독립기념관 소장(한국방송 기증)

 

 

# 존 II.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다

 

# 정교, '김옥균이 임금에게 아뢰다'  {대한계년사.} 중에서.

# 최익현, '도끼를 들고 궐 앞에 엎드려 척화를 논하는 상소' 중에서.

 

 

# 개화와 척사.

 

# 개화.

 

 

# 위기에 대응하는 민중.

 

# 보국안민을 내세운 동학농민운동의 시작.

 

◆ 양호초토등록 兩湖招討謄錄

 

동학교도 증서 동학교도 부적

 

# 동학 집강執綱 임명장

 

# 무장 동학 포고문.

 

 

# 사발통문.

 

# 독립협회.

 

 

독립문 기공식_1896.11.21. 독립협회 주요 회워

 

# 독립문 금속 모형

 

# 대조선 독립협회 회보.

독립협회 토론회 규칙 의회통용 규칙

 

 

# 일본의 침략에 다시 일어난 동학농민운동.

 

# 전봉준 체포 첩보.

 

 

# 전봉준 공초供招

 

#  동학농민군 참수 작두.

 

# 근대 국가로의 개혁.

 

 

# 갑오개혁.

 

# 군국기무처 의안議案

 

 

# 의정존안 議定存案

 

 

# 장정존안 章程存案

 

 

# 관보 호외.

 

# 단발령 지령

 

 

# 우두신설

 

 

 

# 대한제국

 

 

# 고종황제 조서.

 

# 대한제국 관보

- 1907년 1월부터 3월까지 간행된 대한제국의 관보이다. 관보에는 대한제국의 법령, 시임, 관청 사항, 틀린 것을 바로 잡는 '정오' 및 광고 등이 실려 있다.

 

# 대한국 국제國制

- 1899년 8월 17일 공포된 대한제국의 국제이다. 대한제국의 정치 체제는 만세불변의 전제정치제이며, 모든 권한이 황제에게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고종황제.

 

 

# 대한제국 전잡 관계 문서.

 

# 대한제국 집조執照

*집조執照는 현재의 여권이다.

 

# 대한제국 가사家舍 관계 문서.

 

 

#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사진 우편엽서.

 

# 보병 정위 예복

 

 

# 변화와 시련의 시간, 그리고 우리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