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고대유물_유형별185 고대유물_005_각석(刻石) ◆ 각석(刻石)1 - 약간 마모가 되기는 했어도 글자는 분별할 수 있다. ◆ 각석(刻石)2 - 비석에 ~~穴이 반복되어 있다. 2019. 4. 16. 고대유물_004_가면[面具]_청동 ◆ 가면[면구(面具)]_청동 - 상하로 길게 된 기둥이 있다. ◆ 가면[面具]_청동 # 청동 가면_商 蜀 2019. 4. 16. 고대유물_003_가래[犁鏵] ◆ 가래[리화(犁鏵)]_鐵 https://baike.baidu.com/item/%E7%8A%81%E9%93%A7/8536501?fr=aladdin - 가래는 기원전 6세기 중국에서 발명하였으며 17세기에 이르러 구라파에서 사용하게 되었다. ◆ 가래[鍤]_鐵 2019. 4. 16. 고대유물_002_가락바퀴(紡輪) ◆ 가락바퀴(紡輪)_질 https://baike.baidu.com/item/%E7%BA%BA%E8%BD%AE/303984 - 한자로 '방륜', 방추차라고도 불린다. 방륜은 신석기 시대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최초에는 돌을 사용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도기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 가락바퀴(紡輪)_질 2019. 4. 16. 고대유물_001_가(斝) 유형별 고대유물은 베이징, 타이완, 호치민 등의 박물관에서 찍은 사진을 가나다 순을 정리해서 올린 사진이다. ◆ 가(斝)_陶 https://zh.wikipedia.org/wiki/%E6%96%9D - 가(斝)는 중국 선진 시기의 술그릇 겸 예기(禮器)로 사용하던 기물이다.일반적으로 3개의 다리와 1개의 손잡이가 있다. 이 유물의 경우 양쪽에 2개의 손잡이기 있다. 아마도 질그릇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무개를 견디기 위해인 것으로 보인다. ◆ 가(斝)_청동- 통상적으로 청동으로 주조하였는데 주로 술을 데우는데 사용하였다. 청동으로 만든 가(斝)는 상대(商代)부터 서주(西周) 초기까지 유행하였으며 이 이후에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 가(斝)_청동 ◆ 가(斝)_청동 ◆ 가(斝)_청동 # '婦好' .. 2019. 4. 16.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