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218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4_수당오대십국(隋唐五代十國)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4 # 수당오대십국(隋唐五代十國) - 수당시기에 중국은 다민족국가를 통일하였다. 621년 당(唐)은 개원통보를 주조하였는데 그 무게는 한나라 오수전근 거의 비슷한데 당대의 도량형을 살펴보면 무게는 2.4수(銖)이다. 당(唐) 이라 전폐에 '수'라는 .. 2017. 5. 16.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3_삼국양진남북조(三國兩晉南北朝)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3 # 삼국양진남북조(三國兩晉南北朝) - 이 시기는 끊임없는 전쟁으로 상업환경이 무너져 농민은 식량과 포백(布帛)으로 세금을 내고, 관리의 녹봉을 대부분 실물과 토지로 주었다. 화폐의 수요는 현전히 감소도어 전폐가 주조되지 않은 시기도 .. 2017. 5. 16.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2_진(秦) 한(漢)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2 # 진(秦) 한(漢) 진한시대는 다민족을 통일한 중앙집권국가가 확립되어 발전하던 시기이다. 진대에는 전국시기의 기타 정권에서 사용되던 구 화폐가 폐지되고 전국단위의 통일화폐제도가 추진되었다. 서한 전기에는 수차례 화폐의 법정 중량.. 2017. 5. 16.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1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1 # 원시화폐 서주(西周)~# 선진(先秦) 하은주 # 원시화폐 서주(西周) - 상주 시대에는 '전(錢)' '포(布)'가 당시 유통되던 화페의 명칭이다. 왕망의 신(新) 때 옛날 제도에 의거하여 자귀 모양의 화폐를 '포'라고 하였는데 후세에도 그대로 사용되었.. 2017. 5. 16.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8_명청(明淸) 시기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8_명청(明淸) 시기 # 1368년부터 1911년까지 1) 청화병(靑花壺) 2) 청화목운문병(靑花木雲紋甁) 3) 청화관이병(靑花貫耳甁) 4) 청화병(靑花尊) ◆ 명 태조 진상(眞像) ◆ 흑칠감나전집호(黑漆嵌螺鈿執壺) - 明 - 꽃과 새가 상감된 아름다운 그림. ◆ 겸사법랑정(掐絲珐琅鼎) - 明 - 몸통과 다리의 색채가 화려하다. *법랑: 광물을 원료로 하여 만든 유리질의 유약. ◆ 경태 관동태겸사 법랑호로병(景泰款銅胎掐絲珐琅葫蘆甁) - 明 ◆ 겸사 법랑전지연문고(掐絲珐琅纏枝蓮紋觚) - 明 宣德 연간(1426~1435) - 고궁박물원소장 ◆ 아랍백문대좌동로(拉伯文帶座銅爐) - 明 정덕(正德) 연간(1506~1521) - 화로의 상부에 아랍문자로 장식했다. ◆ 선덕 구리 방울[.. 2017. 1. 14.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7_요송하금원(遼宋夏金元) 시기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7_요송하금원(遼宋夏金元) 시기 # 916년부터 1368년까지 ◆ 요 정혜대사 사리탑 소석비(遼 正慧大師 舍利塔 小石碑) - 遼 ◆ 기와 끝의 장식_치미(雉尾) # ◆ # ◆ 송태조 趙匡胤 像 ◆ 원우당적비(元祐黨籍碑) ◆ 서하 문자로 '수령'이 새겨진 청동인(西夏文 首領 靑銅印) - 서하 乾祐 6년(1175년) - 1984년 寧夏 동심현(同心縣) 출토. ◆ 西夏文 牌子 - 오른쪽에 있는 것을 왼쪽 위에서 끼우면 합체. ◆ 날개 달린 천사? ◆ 날개 달린 천사? ◆ 두 마리 물고기기 문양의 청동 거울[雙魚靑銅鏡] - 金 - 1964년 흑릉강 아성(阿城) 출토. - 이 거울은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큰 크기의 금대 청동거울이다.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을 생동감 있게 새겼다. .. 2017. 1. 14.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6_수당오대(隋唐五代) 시기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_수당오대(隋唐五代) 시기 # 581년부터 960년까지 ◆ 백자 닭머리 호[白瓷鷄首壺] - 隋 大業4년(608) - 1957년 섬서 서안 李靜訓 묘 출토. # 白瓷鸡首壶 高27.4厘米、口径7.1厘米、底径7厘米 1957年陕西省西安市李静训墓出土 鸡首壶是指带有鸡首状流的盘口壶,始烧于三国末年,由两晋一直沿用到唐初,流传范围很广。早期鸡首壶,以小件为主,肩部贴塑鸡首,鸡首无颈,与之相对的一面贴鸡尾,壶流有的可通,有的是实心。东晋时壶身变大,鸡头引颈高冠,鸡尾演变成弧形柄,上端与盘口粘接,下端装在肩部。南朝至隋鸡首由小到大,壶身由矮小到瘦长,壶口更高,颈变细,肩部贴附的系由条状到桥形。此鸡首趋向写实,柄仍保留着南朝时期的双龙形柄,足部微向外撇。 ◆ 청자사계 개관(靑瓷四系蓋罐) # 4개의 연결 고리[系]와 뚜껑이 있는 청자 .. 2017. 1. 14.
2016_중국 베이징 국가박물관 2016_중국 베이징 국가박물관 http://www.chnmuseum.cn/http://m.chnmuseum.cn/ http://kr.chnmuseum.cn/tabid/693/Default.aspx # 위의 있는 3개의 사이트의 내용이 다르다. 첫번째는 중국어 전용판, 특히 유물 설명에 자세하다. 두번째는 국제판: 중문(中文), 영어(English), 불어(Français), 독어(Deutsch), 이태리어(Italiano), 일어(日本語), 한국어, 러시아어( Pусский), 스페인어(Español), 네덜란드어(Nederlands) 등 10개국어로 되어 있다. 3번째는 한국어판으로 설명이 중문, 영문, 일어에 비해 소략하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87X.. 2016.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