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218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2_주(周)시기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2_주(周) # 주나라(周) ◇ 주(周) 시기 전도 ◇ 서주 시기 중심지역 ◇ 成周 부근 - 현재 산시성 낙양시 지역 ◇ 宗周 부근 - 현재 섬서성 시안(西安)시 지역 ◆ '첨공覘公' 청동 구(覘公靑銅㲃) - 주 위왕(威王) 시기 - 4행 22자의 명문이 있다. 주 위왕 28년에 당백후를 진(晉)에 보낸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 '강후康侯' 청동 도끼_부[康侯靑銅斧] - 주 성왕(成王) 시기 - 하남 浚縣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 강후는 주 무왕의 동모 제 희봉(姬封)이다. 성왕 때 위국(衛國)의 임금이 된다. '康叔' ◆ '강후康侯' 청동 술잔_작(康侯靑銅爵) - 주 성왕기 - 손잡이 끈 아래에 '강후康侯'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 '언후匽侯' 청동 바리_우[匽侯.. 2019. 4. 21.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2_하(夏)시기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2_하(夏)시기 # 하상주(夏殷周)는 약 기원전 21세기에서 기원전 771년까지. ◇ 하(夏) 시기 전도 ◇ 安邑과 帝丘 부근 - 이 전시관의 제목은 하상주이지만 실제는 상나라와 주나라 유물이 대부분이다. https://zh.wikipedia.org/wiki/%E4%BA%8C%E9%87%8C%E9%A0%AD%E6%96%87%E5%8C%96 https://baike.baidu.com/item/%E4%BA%8C%E9%87%8C%E5%A4%B4%E6%96%87%E5%8C%96/1731546?fr=aladdin # 하(夏)나라 ◆ 청동 술잔_작[靑銅爵] - 이리두(二里頭) 문화 - 夏代 - 1984년 하남 언사(偃師) 이리두(二里頭)에서 출토. - 청동 작의 합금비율은 동(銅) 9.. 2019. 4. 21.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3_조율대문화(造律台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3 # 조율대문화(造律台文化:Zàolǜtái wénhuà) BC 2500~2000-조율대문화(造律台文化). 하남 회양. https://baike.baidu.com/item/%E9%80%A0%E5%BE%8B%E5%8F%B0%E9%81%97%E5%9D%80/4377675?fr=aladdin ◆ 도성의 공공수도 시설에서 발견된 질그릇 상하수도관[陶水管] ◆ 돌 화..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2_왕만삼기문화(王灣三期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2 # 왕만삼기문화(王灣三期文化) BC 2500~1900_왕만삼기문화(王灣三期文化)_하남 용산문화 만기. https://baike.baidu.com/item/%E7%8E%8B%E6%B9%BE%E4%B8%89%E6%9C%9F%E6%96%87%E5%8C%96 ◆ 구멍을 아로새긴 질그릇 받침[鏤孔陶器座]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1_객성장문화(客省庄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1 # 객성장문화(客省庄文化:kè shěng zhuāng wénhuà) BC 2500~2000_객성장문화(客省庄文化) https://baike.baidu.com/item/%E5%AE%A2%E7%9C%81%E5%BA%84%E9%81%97%E5%9D%80/8977013 ◆ 질그릇 술잔_가[陶斝] ◆ 질그릇 솥_력[陶鬲] ◆ 사슴뿔로 만든 곡괭이[鶴嘴鋤] - 객성장..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0_삼리교문화(三里橋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0 # 삼리교문화(三里橋文化:Sānlǐ qiáo wénhuà) BC 2500~2000_삼리교문화(三里橋文化)_하남 섬현. https://baike.baidu.com/item/%E4%B8%89%E9%87%8C%E6%A1%A5%E6%96%87%E5%8C%96 ◆ 질그릇 시루[陶甑]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9_용산문화(龍山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9 # 용산문화(龍山文化:Lóngshān wénhuà) BC 2500~2000_용산문화(龍山文化)_산동 교현. https://baike.baidu.com/item/%E9%BE%99%E5%B1%B1%E6%96%87%E5%8C%96/33606 ◆ 옥 도끼[玉鉞] - 옥으로 만든 도끼가 깨지지 안고 내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에 대해 이 도끼를 만든 분..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8 _석협문화(石峽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8 # 석협문화(石峽文化:shí xiá wénhuà) BC 2900~2700_석협문화(石峽文化)_광동성 북강과 동강 유역. https://baike.baidu.com/item/%E7%9F%B3%E5%B3%A1%E6%96%87%E5%8C%96 ◆ 세 발 질그릇 소반[三足陶盤]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7_굴가령문화(屈家嶺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7 # 굴가령문화(屈家嶺文化:qūjiālǐngwénhuà) BC 3000~2500_굴가령문화(屈家嶺文化)_호북성과 호남성 장강 유역._龍山文化)로 연결. https://baike.baidu.com/item/%E5%B1%88%E5%AE%B6%E5%B2%AD%E6%96%87%E5%8C%96/50498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20c3712a ◆ 대롱 모양 ..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6_마가요문화(馬家窑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6 # 마가요문화(馬家窑文化:mǎjiāyáo wénhuà) BC 3200~2000_마가요문화(馬家窑文化)_황하 최상류인 감숙성과 청해성._청동기 발견. https://baike.baidu.com/item/%E9%A9%AC%E5%AE%B6%E7%AA%91%E6%96%87%E5%8C%96 신석기 시대 ◆ 춤추는 무늬 채색 질그릇 동이[舞蹈紋..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5 _카약문화(卡若文化:카뤄문화)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5 # 카약문화(卡若文化:kǎruò wénhuà카뤄문화) BC 3300~2100_카약문화(卡若文化) https://baike.baidu.com/item/%E5%8D%A1%E8%8B%A5%E6%96%87%E5%8C%96%E9%81%97%E5%9D%80/6897908?fr=aladdin ◆ 질그릇 항아리[陶罐]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4_현석산문화(縣石山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4 # 현석산문화(縣石山文化:xiàn shíshān wénhuà) BC 3500~2000_현석산문화(縣石山文化) https://baike.baidu.com/item/%E6%98%99%E7%9F%B3%E5%B1%B1%E6%96%87%E5%8C%96 ◆ 그물무늬 질그릇 솥_부[罔紋陶釜] ◆ 질그릇 두[陶豆]_제기?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3_양저문화(良渚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3 # 양저문화(良渚文化:Liangzhu wénhuà) BC 3300~2200_양저문화(良渚文化)_절강성 항주_長江[揚子江]_숭택문화 계승. https://baike.baidu.com/item/%E8%89%AF%E6%B8%9A%E6%96%87%E5%8C%96 https://zh.wikipedia.org/wiki/%E8%89%AF%E6%B8%9A%E6%96%87%E5%8C%96 ◆ 검은 색의 두(豆) ◆ 쌍코 ..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2_설가강문화(薛家崗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2 # 설가강문화(薛家崗文化:xuējiāgǎng wénhuà) BC 3500~2600_설가강문화(薛家崗文化)_안휘 잠산. https://baike.baidu.com/item/%E8%96%9B%E5%AE%B6%E5%B2%97%E6%96%87%E5%8C%96 ◆ 구멍이 아홉개 뚤린 돌칼[九孔石刀]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1_숭택문화(崧澤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1 # 숭택문화(崧澤文化:Sōngzé wénhuà) BC 3900~3300_숭택문화(崧澤文化)_절강성 상해시 장강하류와 태호 주변. https://baike.baidu.com/item/%E5%B4%A7%E6%B3%BD%E6%96%87%E5%8C%96 https://zh.wikipedia.org/wiki/%E5%B4%A7%E6%BE%A4%E6%96%87%E5%8C%96 https://ko.wikipedia.org/wiki/%EC%91%B9%E..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0_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0 # 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Tawenk'ou wénhuà) BC 4200~2500_대문구문화(大汶口文化)_산동 태안. https://zh.wikipedia.org/wiki/%E5%A4%A7%E6%B1%B6%E5%8F%A3%E6%96%87%E5%8C%96 https://baike.baidu.com/item/%E5%A4%A7%E6%B1%B6%E5%8F%A3%E6%96%87%E5%8C%96/429230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4..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9_대계문화(大溪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9 # 대계문화(大溪文化:dàxī wénhuà) BC 4200~3000_대계문화(大溪文化)_重慶市 巫山縣 瞿塘峽._屈家嶺文化 계승. https://zh.wikipedia.org/wiki/%E5%A4%A7%E6%BA%AA%E6%96%87%E5%8C%96 https://baike.baidu.com/item/%E5%A4%A7%E6%BA%AA%E6%96%87%E5%8C%96 ◆ 대롱 모양 채색 질그릇 병[..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8_홍산문화(紅山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8 # 홍산문화(紅山文化: Hóngshān Wénhuà) BC 4700~2900_홍산문화(紅山文化)_하북성 북부에서 내몽골 자치구 동남부 및 요녕성 서부. https://baike.baidu.com/item/%E7%BA%A2%E5%B1%B1%E6%96%87%E5%8C%96/1034250 https://zh.wikipedia.org/wiki/%E7%BA%A2%E5%B1%B1%E6%96%87%E5%8C%96 http://..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7_탕가강문화(湯家崗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7 # 탕가강문화(湯家崗文化:tāngjiāgǎng wénhuà) BC 4800~4300_탕가강문화(湯家崗文化)_호남 안향. https://zh.wikipedia.org/wiki/%E6%B1%A4%E5%AE%B6%E5%B2%97%E9%81%97%E5%9D%80 https://baike.baidu.com/item/%E6%B1%A4%E5%AE%B6%E5%B2%97%E6%96%87%E5%8C%96 ◆ 물결무늬 질그릇 소반[水波..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6_앙소문화(仰韶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6 # 앙소문화(仰韶文化:Yǎngsháo wénhuà) BC 5000~3000_앙소문화(仰韶文化) https://baike.baidu.com/item/%E4%BB%B0%E9%9F%B6%E6%96%87%E5%8C%96/19834761 https://ko.wikipedia.org/w/index.php?search=%E4%BB%B0%E9%9F%B6%E6%96%87%E5%8C%96&title=%ED%8A%B9%EC%88%98%3A%EA%B2%80%EC%83%89&go=%EB%B3%B4%EA%B8%B0&ns0=1 # 신석기 시대 ◆ 사람 얼굴의 물고기 무늬 채색 질그릇 동이[人面魚紋彩陶盆] - 앙소문화에서는 옹관으로 요절한 아이를 매장할 때 질그릇 동이로 관 뚜껑..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5_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5 # 신석기_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Hemudu wénhuà ) BC 5200~4200_하모도문화(河姆渡文化)_절강성 동부와 영파시, 주산시. https://baike.baidu.com/item/%E6%B2%B3%E5%A7%86%E6%B8%A1%E6%96%87%E5%8C%96/30234 ◆ 뼈로 만든 보습[骨耜]. - 新石器 - 河姆渡文化 # <中國北京..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4_신락문화(新樂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4 # 신락문화(新樂文化:Xīnlè wénhuà) BC 5300~4800_신락문화(新樂文化)_요녕성 심양시. https://baike.baidu.com/item/%E6%96%B0%E4%B9%90%E6%96%87%E5%8C%96 ◆ 대롱 모양 질그릇 항아리_관[筒形陶罐]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3_자산문화(磁山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3 # 자산문화(磁山文化:Císhān wénhuà) BC 6100~5600_자산문화(磁山文化)_중국 화북 초기 신석기 문화 중 하나 https://ko.wikipedia.org/wiki/%EC%B8%A0%EC%82%B0_%EB%AC%B8%ED%99%94 https://baike.baidu.com/item/%E7%A3%81%E5%B1%B1%E6%96%87%E5%8C%96 ◆ 세 발 질그릇 바리때[三足陶..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_배이강문화(裴李崗文化)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2 # 배이강문화(裴李崗文化:Péilĭgăng wénhuà) BC 6100~5000_배이강문화(裴李崗文化)_하남. https://baike.baidu.com/item/%E8%A3%B4%E6%9D%8E%E5%B2%97%E6%96%87%E5%8C%96/2039284 ◆ 뼈 피리[骨笛]_뿔피리 ◆ 뼈 피리[骨哨]_뿔피리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 돌소반[.. 2019. 4. 19.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_구석기 2016_베이징_국가박물관 지하1_석기(石器) 시기1 #석기시대_구석기 ◆ 무소의 뿔 -구석기 중기 다양한 인류의 두개골이 있었다. ◆ 지인(智人) ◆ 각종 석기.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 돌 송곳??[石錘]과 돌 모탕[石砧] ◆ 베고 자르는 도구[砍砸器] ◆ 돌공[石球] # <中國北京國家博物.. 2019. 4. 19.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4층 복도_불상과 편종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4층 복도_불상과 편종 # 4층 복도_불상 ◆ 유금동보살좌상(鎏金銅菩薩坐像) -청대 ◆ 유금동 백도모좌상(鎏金銅白度母坐像) -청대 ◆ 동보살좌상(銅菩薩坐像) -청대 ◆ 동록탁모좌상(銅綠度母坐像) -청대 ◆ 유금동 문수보살좌상(鎏金銅文殊菩薩坐像) -청대 ◆ 유금.. 2018. 1. 25.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_N18_국가수증품5_한국_조선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_N18_국가수증품5 한국과 조선 한국(韓國) # 1994년 3월. 한국(韓國). 총통 김영삼. - 길상 무늬를 새긴 도자기 단지. # 1995년 4월. 한국. 국회의장 황낙주. - 취옥(翠玉)이 장식된 금관. # 2001년 5월. 한국. 통리 이한동李漢東 - 나전칠합(螺鈿漆盒) # 2001년 5월. 한국. .. 2018. 1. 24.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_N18_국가수증품3_20세기 3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_N18_국가수증품3 # 20세기 3 # 1978년 11월. 태국(泰國). 총리. - 목조. 나무를 움직이는 코끼리. - # 1974년. 아랍 예맨(阿拉伯也門) 공화국. - 허리에 차는 칼. # 1965년 9월. 콩고(剛果) 공화국. 총통. - 황색 유약을 바른, 고기잡는 그림이 있는 도자기 소반. # 1960년대. 기니아(幾內亞). 총통. - 상아에 조각한 부인 흉상. # 1973년 10월. 카나다(加拿大). 총리. - 뼈로 만든 "해표海豹". # 1965년 10월. 비엣남(越南). 정부. - 은으로 아로 새기고 남색 유리를 장식한 다리가 높은 사발. # 1966년 4월. 파기스탄(巴基斯坦). 다카(達卡)시 시민. - 조개껍질에 아로새기고 진주를 상감한 공작. # 19.. 2018. 1. 22.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_N18_국가수증품2_20세기 2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_N18_국가수증품2 # 우호왕래 역사견증 友好往來 歷史見證 # 20세기 2 # 2000년. 카나다. 온타리오(安大略) 주지사. - 유리 공예품. # 1997년 5월. 코트디브아르(科特迪瓦). 총통. - 목조. 바나나를 머리에 인 사람. # 1994년 11월. 말레이시아(馬來西亞). 총리. - 꽃이 새.. 2018. 1. 22.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_N18_국가수증품1_20세기 1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_N18_국가수증품1 # 우호왕래 역사견증 友好往來 歷史見證 - 당과 국가 영도자 외국활동 수증 예품 전시. 黨和國家領導人外交活動受贈禮品展 # 20세기 1 # 1956년 네팔(尼泊尔) 왕국. - 은에 상감한 보석으로 장식한 단성(壇城). # 1962년. 미얀마(緬甸)총리 U Nu(吳努.. 2018.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