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4_수당오대십국(隋唐五代十國)

by isanjo 2017. 5. 16.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4



# 수당오대십국(隋唐五代十國)

- 수당시기에 중국은 다민족국가를 통일하였다. 621년 당(唐)은 개원통보를 주조하였는데 그 무게는 한나라 오수전근 거의 비슷한데 당대의 도량형을 살펴보면 무게는 2.4수(銖)이다.

당(唐) 이라 전폐에 '수'라는 명칭은 사용되지 않고 이를 고쳐 '寶'라고 칭하였다. 오대십국 여러 정권이 할거하던 시기 다수의 정권이 전폐를 발행하였는 다만 그 수량이 적었으며 그 중 일부는 철, 연철이고, 일부는 허치전 대패(大幣)와 치전폐(値錢幣)였다.

 

- 수(隋) 문제는 신오수전을 발행하여 구전의 사용을 금지하고 사주전을 정리하였다.

수양제는 민력을 허비하여 경전(輕錢)을 주조하여 막대한 지출을 메꾸려 하였으며, 사주전이 대량으로 출현하여 쇳조각이나 가위로 돈의 형태를 만들고 ????????? 지호(紙糊)같은 위폐도 생겨났다.

당의 개원통보는 구리의 품질이 우수하고 주조공이 정정(精整)하였고 당대에 유통된 시간이 가장 긴 가장 주요한 화폐였다. 당대에는 또 건봉선보(乾封泉寶), 건원중보(乾元重寶) 등 허치전이 발형되었다.

  

 

 

 

- 당대 말기에는 전페가 부족하였다. 회창(會昌) 5년(845) 당 무종이 명을 내려 사찰의 동상과 동기(銅器)를 몰수하여 녹인 뒤 각지의 정자에 개원통보를 주조하라고 하였다. 뒷면에는 지명 혹은 연호를 간략히 주조하였는데 23종이 있다.

 

 

 

 

 

 

# 양송(兩宋)

- 송대는 번성한 시장경제와 발달된 과학문화로 중국 고대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경제는 갈수록 번영하여 송대의 상품경제는 이전 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하였다.

송(宋)은 농민이 화폐를 사용하여 세금을 내게 하고 군수물자와 관리의 월급도 화폐로 지급하도록 규정을 정하였다. 전폐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발행량도 대폭 증가하였다.

그 중 동전, 철전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지폐의 생산과 유통도 시작되었다. 

 

송대가 시작되면서 황제의 연호로 동전을 명명하였다. 철전은 보편적인 방식으로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연호는 원보(元寶) 통보(通寶) 중보(重寶) 등의 형식으로 붙였다.

황제가 개원하면 전폐의 명칭도 따라서 바꾸었는데 이 때문에 매우 많은 종류의  전폐가 출현하게 되었다.

송대는 중국 역사상 동전을 주조한 수량이 가장 많은 왕조이다. 북송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된 동전은 금속 전폐로 동전 위주였다.

 

 

- 북송이 시작되고 부터 전폐는 보편적으로 몇종의 이름 화폐 가치가 있다. 당시 최저 화폐가치는 전()으로 소평진(小平錢)으로 1문전, 치2문, 3문, 5문, 10문전 ??? 절이(折二), 절삼(折三), 당십전(當十錢)이다.

북송의 동전 중 주요한 것은 소평전으로 희정 연간 이후 전폐의 수용가 증가하여 절이전의 발행량이 증가하였으나, 절삼, 절오, 당십전의 수량을 많지 않았다.

 

북송시기 천(川) 촉(蜀) 지역은 주로 철전이 유통되고 있었는데 규정상 철전은 천촉에서 유출할 수 없었다.

 송 인종 때 서하(西夏)와의 전쟁을 준비하면서 군비를 마련하기 위해 섬서, 하동(지금은 산서 남부)에서 대량의 철전을 발행하였는 이 때문에 2 곳의  철절이 함께 쓰이게 되었다. 북송 시기 銅과 철전은 가치가 동일하지 않아 철전 화폐의 가치가 동전보다 확실히 작았다.

 

동전과 철전은 큰 금액을 무역할 때  매우 불편했다. 1024년 북송 정부는 사천 지역에서 세계 최초의 지폐인 교자(交子)를 발행한다. 교자는 뒤에 전인(錢引)으로 이름이 바뀌는데 전국의 일부지역에서 유통되었다.

남송은 1160년에 회자(會子)라는 지폐를 발행하였는데 몇 종은 액수가 커서 전국의 일부 지역에서만 유통되었다. 이외에도 남송시기에는 또 몇 종의 지방의 지폐가 발행되었다.

 

 

 

 

- 남송의 강남 지역에서는 동전이 사용되었다. 동광의 채산량이 부족하자 동전 주조량의 크게 감소하였으며, 동전은 무역을 할때 대량으로 지역 박으로 유출되어 남송에서는 동전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당시 동전의 이름과 화폐 가치는 동전을 주조하는데 들어가는 동 재료 가격보다 현저히 낮았다.

허치(虛値) 절삼전(折三錢)은 과거에도 환영받지 못하였는데, 이 때도 승치(升値)로 유통되었다. 남송의 절이전은 주조량이 소평전보다 많았다. 

 

 

 

 

 

 

 

- 동전 주조량이 부족하자 남송 정부는 철전과 지폐를 더 발행하였다. 당시 철전의 주조량이 동전보다 많았아지게 되었다. 주요한 금속화페인 철전은 유통되는 지역이 사천에서 장강 이후의 일부지역으로가지 확대되었으나 동전이 북쪽의 금(金)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지역에서는 동전 사용을 금지하였다.

남송의 철전은 소평전이 적지 않았으나 절이전도 많았다.

 

 

 

 

 

 

 

 

◆ 권무은정(權務銀鋌)

- 북송

 

 

 

◆ 대은정(大銀鋌)

- 남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