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7_요송하금원(遼宋夏金元) 시기
# 916년부터 1368년까지
◆ 요 정혜대사 사리탑 소석비(遼 正慧大師 舍利塔 小石碑)
- 遼
◆ 기와 끝의 장식_치미(雉尾)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chlht&logNo=80132589629>
◆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chlht&logNo=80132589629>
◆ 송태조 趙匡胤 像
◆ 원우당적비(元祐黨籍碑)
◆ 서하 문자로 '수령'이 새겨진 청동인(西夏文 首領 靑銅印)
- 서하 乾祐 6년(1175년)
- 1984년 寧夏 동심현(同心縣) 출토.
◆ 西夏文 牌子
- 오른쪽에 있는 것을 왼쪽 위에서 끼우면 합체.
◆ 날개 달린 천사?
◆ 날개 달린 천사?
◆ 두 마리 물고기기 문양의 청동 거울[雙魚靑銅鏡]
- 金
- 1964년 흑릉강 아성(阿城) 출토.
- 이 거울은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큰 크기의 금대 청동거울이다.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을 생동감 있게 새겼다.
◆ 鐵像
- 무슨 죄라도 지어 무릎을 꿇고 손을 묶은 것치고는 눈과 입모양이 너무도 밝다.
◆ 식물이 새겨진 병
◆ 구멍이 두개 뚫린 도자기
◆ 청자
◆ 판화
◆ 청동 저울추[靑銅秤錘]
- 원_연우(延祐) 3년(1316년)
- 제작 관련 문구가 있다.
◆ 동판(銅版)
◆ 동판
◆ '嘉祐' 가 새겨진 청동 칙(則)
◆ 봉황 기린 문양 석조[雙鳳麒麟紋石雕]
- 元
- 1966년 출토.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双凤麒麟纹石刻
纵105厘米,横120厘米,厚13厘米
1966年北京市桦皮厂西部明代城墙墙基出土
该石雕画面主体使用了四连弧的开光装饰形式,中以缠枝纹衬托双凤戏珠图案。双凤头如锦鸡、嘴如鹦鹉、身如鸳鸯、翅如大鹏等体征都一致,但有两处不同:一处是下方的凤头上有像灵芝一样的冠和缕束状的颈羽,而另一只没有,第二处是下方的凤有五条浪草纹尾羽,而上方的凤是卷草纹尾羽,这应该是雄性和雌性的区别。开光之下是两只追逐嬉闹的麒麟,背景是海涛纹。石雕两侧以缠枝纹为装饰。
◆ 개보사 탑 용문양 벽독[開寶寺塔 龍紋磚]
- 北宋
- 이 벽돌은 원래 개보사탑 외벽에 상감되어 있었다. 개보사탑은 지금의 하남 개봉시 동북부에 위치했었다. 북송 태평 흥국 7년(982)에 처음 건립했을 때는 목탑이었는데 후에 전탑으로 바꾸었다. 탑 외벽에는 갈색의 花磚과 유리기와로 상감하였다. 안료의 색깔이 철색에 가까워 철탑이라고도 칭한다.
◆ 파탑 벽톨[繁塔磚] *繁은 지명일 때 '파'
- 北宋
- 이 벽돌은 원래 파탑 벽에 상감되어 있었다. 보탑은 지금의 하남 개봉시 동남쪽 천청사(天淸寺)에 있었다. 대략 송 개보 중기에 계획하여 순화 원년(990) 이후에 준공되었다.
*등에 짐을 한가득 진 스님이 모습이다.
◆ 꽃이 조각된 벽돌[雕花磚]
-元
◆ 용무늬 돌 난각판[龍紋石欄板]
- 元
◆ 유금한 무늬가 돋보이는 은 호(壺)
- 오른쪽 위에 구멍이 나 있다.
◆ 각종 짐승이 새겨진 거울
◆ 당시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석판화
- 元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좌: 妇女斫鲙雕砖
纵34.2厘米,横24厘米,厚2.2厘米
传河南偃师酒流沟出土
斫鲙雕砖表现一妇女剖鱼做饭的场景,她腰系宽大的斜格纹围裙,挽起袖子,露出多圈套镯,身前的高木方桌上有厨刀和菜墩,墩上1条大鱼,鼓腮动鳍,栩栩如生,还有3条小鱼用柳枝串起,正待清洗。妇女足边有一盆,水波荡漾。桌旁有一个方形火炉,炉火熊熊,炉上有锅,锅中水在沸腾,表示即将煮鱼。
◆ 주전자
- 주전자를 데우는 난로?
◆ 입구가 좁은 병 등에 액체를 따를 때 사용했을 것 같은 그릇_이(匜)
◆ 주방 도구
◆ 늘씬하게 생긴 병
◆ 호리병
◆ 색이 짙은 병 2개
◆ 주둥이가 그릇 모양으로 되어 있다.
◆ 그림을 그린 후 파낸 기법을 사용한 도자기
◆ 특이한 모양의 그릇.
◆ 세가지 색체의 꽃, 물고기, 해당화가 있는 쟁반
◆ 재미난 모양의 물병
- 휴대하기 편하게 구멍을 뚫었다.
◆
◆ 푸른 파초입 문양의 고[靑花蕉葉紋觚]
- 元
* 자기로 만든 고는 처음 본다.
◆ 짐승 얼굴이 조소된 재미난 그릇
- 元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钧窑镂空座瓶
高58.3厘米、口径17厘米、底径18厘米
1970年内蒙古自治区呼和浩特市东郊元代丰州城遗址出土
此瓶分为上下两部分,上为瓶形,下为镂空瓶座,连为一体。瓶口外敞,长颈,螭形双耳,瓶腹浑圆,四面各有一铺首衔环。瓶体通施天蓝釉,釉层较厚,釉色不匀,部分流于底部,俗称“流釉”。釉面有多处紫红斑,是釉料中的铜在烧制时还原所致。 元代钧窑釉色以青蓝为基调而多变化,但是成品釉层较厚,呈“乳浊现象”,不像其他青瓷那样有透明感。
◆ 흰 채색에 검은 꽃 그림을 그린 관(罐)
- 元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磁州窑白釉黑花婴戏图瓷罐
高30厘米、口径18.5厘米、腹径31厘米、足径12厘米
1993年辽宁绥中三道岗元代沉船出土
此罐造型浑厚,罐体在白地上用黑色画出婴戏、花卉等图案,绘画手法简练粗犷,极富民间色彩,具有磁州窑产品的典型风格。元代的磁州窑系是当时北方最重要的瓷器生产者,尤其是白地黑花产品数量惊人。从发现婴戏罐的元代沉船的位置看,那艘船应该在离岸后不久就遭意外沉没,所以难以判断这件瓷器的目的地究竟是哪里,但是从此可以折射出元代海运的繁盛。
◆ 목조관음상(木雕觀音像)
- 宋
* 천년을 살아 남은 나무의 결이 위대해 보인다. 2개의 나무판으로 나누어 조각한듯.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chlht&logNo=80132589629>
◆ 악기를 연주하는 악동
◆ 얼굴에 도금이 남아 있는 불상.
◆ 불상
◆ '勅召萬神'이 새겨 있는 부적?
◆ 효자 고사를 새긴 벽돌[孝子故事 磚雕]
- 金
◆ 신주 동인유혈침구도경 각석(<新鑄 銅人腧穴針灸圖經> 刻石)
- 北宋
- 1971년 북경시 명대(明代) 성장(城墻) 유지 출토.
◆ 침구동(針灸銅人)
- 北宋 천성(天聖) 년간 의관 王惟一이 주조한 경락과 혈자리가 있는 동인.
- 이 동인은 명 영종(英宗) 정통 8년(1443)에 다시 주조한 것이다.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chlht&logNo=80132589629>
◆ 청동화총(靑銅火銃)
◆ 陶器
◆ 물고기 모양 도기
◆ 짐승 모양 도기
◆ 銅壺 물시계[銅壺滴漏]
- 元
- '동호적루'는 중국 고대에 물을 이용하여 일정한 양을 흐르게 하여 기간을 계산한 儀器이다. 이것은 현존하는 것중 가장 완벽하게 남아 있는 동호누적이다.
# <中國國家博物館>
铜壶滴漏
通高264.4厘米
此件滴漏是中国古代的计时工具,由广州人冼运行、杜子盛等铸造于元延祐三年(公元1316年)。整件滴漏由四个铜壶组成,分别是日壶、月壶、星壶、受水壶。也有一种说法称为日天壶、夜天壶、平水壶和受水壶。这件铜壶滴漏从制成之日一直被使用到公元1900年前后,历时将近700年,是我国现存最早、最大、最完整的铜壶滴漏。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chlht&logNo=80132589629>
'박물관 >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2_진(秦) 한(漢) (0) | 2017.05.16 |
---|---|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1 (0) | 2017.05.16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8_명청(明淸) 시기 (0) | 2017.01.14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6_수당오대(隋唐五代) 시기 (0) | 2017.01.14 |
2016_중국 베이징 국가박물관 (0) | 2016.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