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8_명청(明淸) 시기
# 1368년부터 1911년까지

1) 청화병(靑花壺)
2) 청화목운문병(靑花木雲紋甁)
3) 청화관이병(靑花貫耳甁)
4) 청화병(靑花尊)

◆ 명 태조 진상(眞像)

◆ 흑칠감나전집호(黑漆嵌螺鈿執壺)
- 明
- 꽃과 새가 상감된 아름다운 그림.
◆ 겸사법랑정(掐絲珐琅鼎)
- 明
- 몸통과 다리의 색채가 화려하다.
*법랑: 광물을 원료로 하여 만든 유리질의 유약.
◆ 경태 관동태겸사 법랑호로병(景泰款銅胎掐絲珐琅葫蘆甁)
- 明
◆ 겸사 법랑전지연문고(掐絲珐琅纏枝蓮紋觚)
- 明 宣德 연간(1426~1435)
- 고궁박물원소장
◆ 아랍백문대좌동로(拉伯文帶座銅爐)
- 明 정덕(正德) 연간(1506~1521)
- 화로의 상부에 아랍문자로 장식했다.
◆ 선덕 구리 방울[宣德銅鈴]와 공이[杵]
- 明 선덕
◆ 공 모양 구에 아로 새긴 훈향 구리 향로[鏤空繡球熏香銅爐]
- 明
◆ 동화총(銅火銃)
- 明 경태 원년(1450)
- 총신에 화포 제작에 대한 간략 설명이 있다.
◆ 주판[算盤]
- 明
- 윗줄에 알이 2줄, 아랫줄에 5줄이 있다.
◆ 대명통행보초 일관초판('大明通行寶鈔' 壹貫鈔版)
- 明
◆ 저울과 저울추
◆ 백색 광택 석가모니 좌상(白釉釋迦牟尼坐像)
-明 萬曆 연간(1573~1620)
◆ 청화 팔선 호로병(靑花八仙葫蘆甁)
- 明 嘉靖 연간(1522~1566)
◆ 정화주동종(鄭和鑄銅鍾)
- 明 선덕 6년
- 1981년 복건 남평 채집.
- 이것은 정화가 제7차 서양 출정 전에 평안을 기원하며 주조한 것이다.
# <中國北京國家博物館>
郑和铸铜钟
通高83厘米、口径49厘米、厚2厘米、重77千克
1981年福建南平采集
此钟呈褐绿色,覆釜形,葵口;钟钮为双龙柄,钟肩表面浮印十二组云气如意纹,腹中部以云水波浪纹为母题,还铸有铭文、八卦、云雷等字纹;主纹饰上部环绕一周八卦纹,共五组,其中第二、四组各铸有“国泰民安”和“风调雨顺”铭文。铜钟下部的铭文为:“大明宣德六年岁次辛亥仲夏吉日,太监郑和、王景弘等同官军人等,发心铸造铜钟一口,永远长生供养,祈保西洋回往平安吉祥如意者。”
# 정화의 7차 항해도.
◆ 관기(關記)
- 淸
◆ 大政殿寶. 玉印
- 淸
◆ 청 태조(淸 太祖) 누루하치 초상.
◆ 마패(馬牌)
◆ 강희제(康熙帝) 초상
◆ 칼집
◆ 오세달뢰 동에 유금한 초상[五世達賴銅鎏金像]
◆ 옥인(玉印)
◆ 황제지보(皇帝之寶)
- 한자와 만주어가 병기되어 있다.
◆ 전당포 현판
◆ 장족 용병 동집호(藏族龍柄銅執壺)
- 淸
- 장족의 유물.
◆ 몽고칼 집[蒙古刀具]
- 淸
◆ 들국화 나는 새 문양 칠보 법랑 병(野菊飛鳥紋七寶琺琅
琺琅甁)
- 이것은 일본에서 청나라에 보낸 예물이다. 칠보는 일본 정통교예로 중국의 胎畵琺琅 공예와 유사하다.
◆ 금화철삽도(金花鐵揷刀)
- 이것은 1785년(건륭50) 尼泊爾國王 拉特納巴가 청조에 보낸 예물이다.
◆ 두 종류의 칼
◆ 도자기
◆ 하얀 제비가 조소된 자기
◆
◆ 소를 탄 사나이
◆ 왕부지(王夫之)
◆ 고염무(顧炎武 )
◆ 황종의(黃宗羲)
◆ 왕수인(王守仁)
◆ 황료에 기 문양을 새긴 시구가 있는 병[黃料夔紋詩句甁]
- 淸
◆ 건륭 도장이 있는 붉은 색에 깎은 100명의 아이가 있는 보합[乾隆款 剔紅 百子寶盒]
- 청 乾隆(1736~1795)
- 뚜껑 내부에 금으로 쓴 해서로 '百子寶盒<!--[endif]-->'이 있으며, 보합 바닥에 '乾隆年制'라는 款이 있다.
* 童子의 각종 유희가 그려져 있다. 죽마탄 모습, 폭죽놀이, 씨름 등의 정경이 생동감 있게 조각되어 있다. 뚜껑 벽과 합 몸통에는 귀뚜라미 싸움, 투계 등의 도안이 조각되어 있다.
◆ 청옥 여섯마리 잠자리 귀고리 쌍으로 연결된 洗[靑玉六蜻蜒環耳雙聯洗]
- 淸
◆ 동에 법랑처리한 박쥐 연꽃 문양 화분[銅胎畵琺琅蝠蓮紋花盆]
-淸
◆ 전화기
◆ 구리에 도금한 금륜 선박모양 시계[銅鍍金輪船模型表]
- 晩淸
- 고궁박물원소장
◆ 동 기차 머리 모양에 있는 풍우 시계[銅火車頭風雨表]
- 晩淸
- 고궁박물원소장
◆ 구의(球儀)
◆ 각도기
◆ 원명원 포수(圓明園鋪首)
- 晩淸
- 1860년 영국 프랑스 연합군이 북경의 황가 원림인 원명원을 점거하고 거리낌없이 원명원의 보물을 약탈하고 원명원을 불살라 훼손하였다. 이 포수는 약탈 후 남아 있는 원명원의 장춘원 書屋門에 있던 유물이다.
*문고리 좌우에 전서체로 20자가 새겨져 있다.

# 전시고관 외부에 휴게실 옆에 있는 철동 거울.
- 주로 기념일에 주조한 것이다.
◆ 5명의 아들이 과거에 급해한 것을 축하한 동경['五子登科' 銅鏡]
- 明代
◆ 수복이 쓰여진 동경[福壽 銅鏡]
- 明代
◆ 네 마리 봉이 조각된 동경[四鳳 銅鏡]
- 明代
◆ 네 마리 봉, 네 마리 짐승이 조각된 동경[四鳳四獸 銅鏡]
- 明代
◆ 목숨수 자를 꽃으로 그린 동경[壽花 銅鏡]
- 明代
◆ 설진후 글자가 새겨진 아이들의 유희 구린 동경[薛晉侯造嬰戱銅鏡]
- 淸代
◆ '복수쌍전'이 새겨진 동경[福壽雙全銅鏡]
- 明代
◆ '부귀쌍전이 새겨진 동경[''富貴雙全']
- 淸代
'박물관 >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2_진(秦) 한(漢) (0) | 2017.05.16 |
---|---|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1_S11_고대화폐전1 (0) | 2017.05.16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7_요송하금원(遼宋夏金元) 시기 (0) | 2017.01.14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6_수당오대(隋唐五代) 시기 (0) | 2017.01.14 |
2016_중국 베이징 국가박물관 (0) | 2016.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