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2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6

by isanjo 2024. 12. 9.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2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6

 

# 코담배 병_스너프 병

명말 청초에는 코담배가 유럽에서 중국으로 유입되면서 국산화된 코담배병이 탄생하게 되었다. 옥으로 만든  코담배병은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솜씨 좋게 만들었기 때문에 황궁 귀족들의 생활 필수품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포상이나 선물로도 자주 사용되었다. 옥으로 만든 코담배병은 주로 청나라 궁내 제조소에서 생산되었으며, 골동품, 초생(肖生), 내채(內彩) 등이었으며, 문식은 전통적인 도안 이외에도 시나 축하의 글 등이 있었다.

 

 

 

# 산자(山子)_산 모양의 옥 바위

산자(Shanzi)는 산과 숲의 풍경을 표현하기 위해 원조(圓雕:둥글게 새김) 기법을 사용한 옥장식품이다. 옥에는 산, 숲, 인물, 동물, 시냇물 등이 층층이 뚜렷하고 새겨져 있다. 구성과 배치부터 사물의 표현까지 회화의 기법이 스며들어 있다. 산자(山子)는 송(宋)나라 시대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명청시기는 고부조, 다층 투각, 선조각 등 다양한 기법이 나타나 산자 조각의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 만 그루의 소나무와 천 개의 봉우리가 있는 산자.
- 청나라 (1644-1911 AD)
이 산자는 재료, 조각, 매력이 모두 뛰어나 청나라 궁중에 전시되었다. 산자 위에는 건륭제가 쓴 시가 새겨져 있다.

萬松春曉坐山房雨後千峰濯翠光

만 그루 소나무 있는 산방에 새벽에 앉아 있자니, 비 그친 후 천 개의 봉우리가 푸른 빛으로 물들었네.

 

因迥爲高步入古,受宜得趣意延涼。

閒聽倚巘濤翻鬣,極眺鋪阡浪擺芒。

詎事遊山欣愜賞,爲民額手慶宜暘。

 

 


◆ 송암세연(松岩洗硯) 산자_소나무 밑 바위에서 벼루를 씻는 모양의 산자.

 

 

암형무금(岩穴撫琴) 산자_바위굴에 거문고를 뜨는 모양의 산자.
- 청나라.

 

 

◆ 휴금방우(携琴訪友)산자_거문고를 들고 친구를 찾아온 모양의 산자

- 청나라.

 

 

◆ 선인하수(仙人賀壽)_산자_신선이 장수를 축하는 모양의 산자.

- 요금(遼金)

 

 

송음문도(松蔭問道)_산자_ 소나무 그늘 아래에서 도를 묻은 모양의 산자.

- 청나라.

 

 

 

# 문방구의 여러 보물들.

고대인의 서재에는 흔히 사용하는 붓, 먹, 종이, 벼루 외에도 어울리는 도구도 많이 있었다. 고대인들은 옥이 붓을 유지하고, 수질을 맑게 하며, 기분을 좋게 하고 인격을 키우는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송나라 이후에는 옥을 사용하여 문방구를 만드는 전통이 나타났다. 명청시기에는 과거제도의 영향을 받아 주로 붓통, 붓받침, 물그릇, 붓빨개, 서진, 손목받침 등이 만들어졌다. 대부분의 옥문구는 독창적인 디자인에 정교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공부방 책상에 한층 빛나게 하는 예술적 보물이기도 하다.

 

 

 

 

◆ 7. ?

 

 

◆ 8. 수형수주(獸形水注)_짐승 모양 연적.

- 명나라(1368~1644)

*수주(水注)는 "연적"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먹을 갈 때물 사용하는 도구이다. 조형미가 풍부하며 대부분은 동물 모양으로 둥글게 조각하며, 배 가운데 빈 공간에 물을 저장해서 입이나 뚜껑 위에 물을 떨어지게 하는 작은 구멍이 있다.

 

 

◆ 

 

 

 

 

 

◆ 1. 이무기가 영지를 물고 있는 모양에 두 귀가 있는 세.

- 청나라 (1644-1911 AD)
- 붓 씻는 그릇은 붓을 세척하기 위해 물을 담는 데 사용되는 용기이다. 그릇의 외벽에는 연꽃, 갈대, 날아다니는 새, 물결무늬를 얕은 부조로 새겼다. 연꽃과 연잎으로 구성된 청련의 해음(諧音)이 청렴(淸廉)이다. 1품은 관직의 최고등으로 민간에서는 사람들은 흔히 연꽃을 청렴한 1품'이라는 뜻으로 사용한다.

 

 


◆ 2. 호로형수승(葫蘆形水丞)_조롱박 모양 연적.

- 청나라.

- 수승( 水丞)  또 "수우(水盂)"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책상 위에 물을 담았다가 벼루에 물을 추가하여 먹을 가는데 사용한다. 대부분은 편원형으로 흐름이 있는 것을 "수주", "연적"라고 하고, 흐름이 없는 것을 "수승"이라고 한다. 연적의 외벽에는 투조, 고부조의 조롱박의 가지와 덩굴 모양, 박쥐문양이 있는데 이는 자손이 번성하고 복록이 완전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