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0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4

by isanjo 2024. 12.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0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4

 

 # 제3단원 임랑길옥(琳琅吉玉)_화려한 길조의 옥.
수나라(581-618)와 당나라(618-907) 이후 전통적인 의례제도가 변형되면서 옥기의 예의 특징 또 차츰 옅어져, 종(琮), 결(玦), 황(璜) 등 옥기류의 기본이 사라지면 옥대, 모정(帽頂)  등 신분을 나타낼 수 있는 옥기류가 출현하였다. 
옥기의 신비로운 색채가 사라지면서 옥은 점차 일상 생활에서 상서로움 기물이 되었으며 아울러 가면 갈 수록 속세에서는 진귀한 것이 일생활에 사용되게 되었다.

당대(唐代)에는 사회는 개방적이고 문화는 포용적이어서 양주 지역에는 옥을 가공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이 시기의 옥기 공예는 솜씨가 뛰어나고 풍격이 웅장하고, 유형이 다양했는데, 화훼(花卉), 조수(鳥獸), 충어(蟲魚), 인물(人物) 등 무늬와 장식이 유행하였다.

요, 송, 금, 원나라(916-1368) 시대에는 옥기의 세속화가 한층더 가속화되어 옥기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모양이 간결한 장식품이 위주였으며 건환(巾環), 조대구환(縧带勾環), 동식물 장식품 등 유형이 출현하였다.
거란족, 여진족, 몽골족 등  북부 민족에서도 낙시와 사냥, 유목 생활과 관련이 있는 춘수추사옥(春水秋山玉)이 유행하였는데 이런 유형의 옥기는 새기는 방식이 거칠고 풍격이 질박하다. 명대(1368-1644)의 옥기 종류는 매우 많았는데 견고하고 크기가 크고 정교하여 북견, 소주, 남경 같은 도시가 옥 가공의 중심지가 되었다. 
특히 청대(1644~1911)에는 관정문화(官庭文化)의 영도 아래 옥기의 정밀하고 섬세한 공예 기교와 복잡한 형식미가 이전에 없이 고르게 발전하였다.

 

 

# 패옥청화(佩玉菁華)_절묘한 장식
- 신성한 옥의 시대가 끝난 이후에도 옥기는 원래 지니고 있던 신비로움은 비록 유지되었지만 더 이상 종교적 경외감과 장엄성을 상실하여 점차 길상, 기복, 벽사 등 세속적으로 복우(福佑)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도가(道家)의 영향을 받아 옥이 사람을 기르고, 사람이 옥을 기른다는 개념이 생겨나 옥기를 상항 의관과 머리 장식화 패식에 사용하게 되었다. 옥패의 공예 조형과 길조적 관용어는 서로 관련이 있어, 일종 "그림에는 반드시 의미가 있고 의미에는 반드시 길상이 있다"는 사회 습속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특징은 지금까지도 계속 이어져, 전 세계 중국인 사외에서 보편적인 문화전통이 되었다.

 

 

◆ 화훼문 소배(梳背)_꽃 문양이 새겨진 빗 등.
- 당나라(618년~907년)
- 고대의 빗과 빗에는 대부분 '介'자형태, '箕'형태, 반 원형 등으로 만들었는데, 당대에 처음으로 가로로 넓은 반월형태의 과도기가 시작되었다. 꽃을 조각한 빗은 종종 머리카락이나 구랫나루에 장식하였기도 하였는데 단순한 머머리를 빗는 도구로 사용한 것이 아니다. 처음에는 단지 단순하게 하나의 빗에 지나지 않았으나 성당 이후에는 점차 증가하여 소배(梳背)에 문식이 또 일로 풍부하고 하려해졌다.

 

 

◆ 수대함화건환(綏帶銜花巾環)

- 송대(960년~1279년)

 

 

◆ 용찬화로정(龍穿花爐頂)_용이 꽃을 뚫은 화로 뚜껑. *꽃과 용을 아로새긴 화로 뚜껑모양 장식.
- 명대(1368년~1644년)
- 《만력야획편(萬曆野獲編》에는 "요즘에 또 진귀한 옥으로 만든 모정(帽頂)은 그 크기가 3촌에 이는 것도 있고, 높이가 4촌에 이르는 것도 있는데 가격은 30년전보다 열배나 뛰었는데 다. 정이(頂彝)에는 상감한 인꼭지[鈕]를 달 수 있다."라고 되어 있다. 명대에 사람들은 다시는 몽고식 관모를 착용하지 않았다. 다만 옥으로 만든 모자 꼭지에[帽頂] 아로새긴 형태를 착용해오다가 향로 뚜껑 형태의 장식으로 바꾸고 노정(爐頂)이라고 칭하였다.

 

◆ 좌: 쌍어화훼문식(雙魚花卉紋飾)_두 마리 물고기와 화훼 문양을 아로새긴 장식.
- 원대(1206년~1368년)

- 연꽃과 물고기는 민간에서 매우 사랑받는 길상 도안인데 그 이유는 해음(諧音)이 "連年有餘"이기 때문이다. 

*蓮과 連/年, 魚와 餘가 음이 같기때문.

 

◆ 우: 화지앵무문패(花枝鸚鵡佩)_꽃가지와 앵무새 문양의 패식. 

- 청대(1644년~1911년)

*식(飾): 장식. '佩'에 비해 크기가 좀더 크다.

*패(佩): 차개. 허리나 가슴에 달는 장식.

 

 

◆ 투조팔선문향낭(透雕八仙紋香囊)_8명의 신선을 투조한 향낭.
- 청대(1644년~1911년)
- 향낭은 기물의 형태가 작고 정교하며 기물의 표면은 아로새겼다. 안쪽에 약재와 향환(香丸) 등 두어 향기를 내게 하여 제신(提神:신을 부르고), 더러운 냄새로 피하게 하였는데 일종의 정신을 맑게 하는 장식품이다.

 

◆ 

 

 

◆ 옥대(玉帶)

 

 

◆ 6. 마노용수조리옥구(瑪瑙龍首雕螭玉帶鉤)

- 원대(1206년~1368년)

 

 

# 옥대(玉帶)_제이드 벨트
- 고대 중국에서 허리에 두르는 벨트는 일반적으로 천, 가죽 또는 더 튼튼한 직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조대(縧帶), 혁대, 대대(大帶)라고 칭하는데, 옥대는 옥 장식을 사용한 혁대 또는 대대를 가리킨다. 한 벌의 완정한 옥대는 대정(帶鞓:띠)부터 대구(帶扣), 대과(帶銙)와 타미(䤩尾)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帶扣)는 대정(帶鞓)의 머리 끝에 장식되어 있고, 꼬리 끝부에는 타미(䤩尾)가 장식되어 있으며 양쪽 사이에 상감한 목판을  대과(帶銙)라고 칭한다.
수나라(581~618)와 당대(618~907) 시기의 옥대는 관복에만 전용하였으나 국한되었으나, 대과(帶銙)의 수량은  관원의 품계에서 따라 많고 적고를 결정할 있었다. 옥대는 관복과 예제를 구성하는 부분이 되어 명대까지도 줄곧 지속되었다.

 

 

◆ 21. 용문대식(龍紋帶飾)_용문양이 새겨진 혁대 장식.
- 명대(1368년~1644년)
- 明나라 익장왕(益庄王) 주후엽(朱厚燁)에서 무덤 출토.
- 이것은 옥대, 대과가 합쳐진 것으로 누조(鏤雕) 기법을 채용하여 두 층으로 꽃문양을 새겼는데, 아랫 층에는 '卍'가 문양이 있고, 위층에는 화조문과 구름 문양을 조각했다.

옥의 재질이 매운 순종하고 새긴 기술이 매우 정교하여 아마도 무덤 주인이 주후엽이 생전에 사용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주후엽은(1498~556)은 선계가 익단왕(益端王) 주우빈(朱祐檳)의 아들로 명나라 헌종(憲宗)인 주견심(朱見深)의 손자로 익장왕의 봉호를 받았다. 명대에는 궁내에서 사용하던 옥대에는 "겨울에는 하얀 빛이 나고 여름에는 영롱하다.[冬則光素, 夏則玲瓏]"라는 말이 있는데, 이 기물은 구멍을 아로새겨 투조한 옥대의 판이기 때문에 영롱한 식건(飾件)의 될 수 있는 것이다.

 

 

 

 

# 생령백태(生靈百態)_다양한 장식 형태.

唐代玉器世俗化倾向已经初露端倪,宋代由于citycity经济的繁荣发超, 市民阶 层不断扩大, 玉器表现流浓厚的生活气息,越来越多地反映는 일반적인 삶의 면 貌.神仙、童子、瑞兽、琼花等题材是民间饰玉的主要母题,这些生灵造型多以圆 雕和透雕方式表现, 造型小巧, TYPE 象生动, 往往以含蓄 的 装饰纹, 寓意着福寿绵长, 富贵康宁, 好德高洁,夫妇和睦, 子孙繁盛等内容,达到了生 活和艺术의 높은 정도입니다.

당대(618-907)의 옥기는 세속화로 경도되기 시작했다. 송대(960~1279)에 도시 경제가 번영을 이루로 발전하면서 시민 계층은 끊임 없이 확대되었으며 옥기에는 농후한 생활상이 표현되었고, 가면갈 수로 일반 서명의 생활적인 면모가 반영되었다.

신선, 아이, 상서로운 짐승, 경화(琼花: 잎이 부드럽고 윤이 나며 꽃잎이 두텁고 담황색이며 밤에 꽃이 피는 진귀한 꽃) 등의 제재가 바로 민간에서 장식한 옥의 주요 주제였다. 이 생동감 있는 형태는 대부분 원조(圓雕)와 투조(透雕) 방식으로, 모양이 작고 정교하며 형상이 생동감 있다. 종종 함축적인 수법으로 만든 특정한 장식 문양을 만들어 '복수면장(福壽綿長), '부귀강녕(富貴康寧)' '호덕고결(好德高潔)' '부부화목(夫婦和睦)' '자손번성(子孫繁盛)' 등의 내용을 나타내어 상활과 예술이 극도로 일치하게 되었다.

 

 

◆ 13. 수산석지여의미륵불(壽山石持如意彌勒佛)_수산석으로 만든 여의를 손에 들고 있는 미륵불.

-청대(1644년~1911년)

 

 

◆ 15. 수산석복호나한(壽山石伏虎羅漢)_수산석으로 만든 엎드린 호랑이와 나한.

-청대(1644년~1911년)

 

 

◆ 12. 쌍인상도병(雙人像刀柄)_2명의 형상이 있는 칼자루.

- 금나라(1115년~1234년)

 

 

◆ 21. 호박수성(琥珀壽星)

- 명대(1368년~1644년)

 

 

◆ 20. 마고헌수(麻姑獻壽)_마고에서 장수를 기원하다.

- 청대(1644년~1911년)

 

 

◆ 17. 기아동자(騎鵝童子)_거의 탄 아이.

- 원대(1206년~1368년)

  

 

◆ 17. 연석원앙(蓮石鴛鴦)_연꽃 바위 그리고 원앙.

- 금-원(金-元)(1115년~1368년)

 

 

◆ 11. 밀랍군후적도문추(蜜蜡群猴摘桃紋墮)_밀랍으로 만든 원숭이 무리가 복숭아를 따는 문양의 추.
- 명대(1368년~1644년)
- 원숭이가 복숭아를 따는 전거는 "백후축수(白猿献壽)" 또는 영후축수(靈猴祝壽)"를 취한 것으로 이른바 천년백후(千年白猴) 왕모선도(王母仙桃)가 모두 장수의 상징이다. 이 외에도 "猴"와 侯"가 동음이가 때문에 관운, 제후에 봉해지거나 재상에 임명되는 것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원숭이가 복숭아를 따는 예술 조형물은 관운이 형통하고 백세토록 장수하라는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다.

 

 

◆ 9. 웅계함영지문식(雄鷄含靈芝紋飾)_수닭이 영지를 물고 있는 문양의 장식.

-청대(1644년~1911년)

 

 

◆ 1. 벽사(辟邪)

- 남조(南朝)_420년~589년.

 

 

◆ 6. 쌍학대구(雙鶴帶鉤)_두마리 학을 조각한 대구.

- 청나라(1644년~1911년)

 

 

◆ 1. 쌍환(雙獾)

- 청대(1644년~1911년)

 

 

 

◆ 4. 쌍마(雙馬)_ 두 마리 말.

- 명대(1368년~1644년)

 

 

◆ 8. 함연원앙(含蓮鴛鴦)_연꽃을 물고 있는 원앙.

- 청대(1644년~1911년)

 

 

◆ 

 

 

 

◆ 4. 석류(石榴)

- 명대(1368년~1644년)

 

 

◆ 3. 여지(荔枝)

- 명대(1368년~1644년)

 

 

◆ 5. 불수(佛手)_부처님 손.
- 청대(1644년~1911년)
- 부처의 손 형태 매우 아름다우며 항기가 사람을 아름답게 하기 때문에 길상문화(吉祥文化)에서 부처의 손을 "학불(學佛)"에 비유한다. 또 "佛"과 "福"이 해음이기 때문에 만복을 의미하기도 한다.

 

 

◆ 10. 과(瓜)_오이

- 청대(1644년~1911년)

 

 

◆ 연봉(蓮蓬)_연밥.

- 청대(1644년~1911년)

 

 

# 춘수추산(春水秋山)_봄물과 가을산

辽、金皇帝保持着祖先재渔猎生活中养成的习惯, 4时转徙,尤喜재春,秋两季率领群臣到야외驻跸行猎,既是 娱乐,也是一种政治活动.春水玉와秋山玉就是以此类渔猎 活动为题材的玉雕작품, 常见형제조품, 为发饰、带板、佩饰和山 子. 元代继续沿用此类题材,并将表现内容拓展延伸,其影响 一直延续至明、清。

요(遼, 916~1125), 금(金, 1115~1234), 원(元, 1206~1368) 시기에 북방의 거란족, 여진족, 몽골족은 모두 물과 풀을 따라 이동하며 유목과 수렵생활을 했으며, 중원에 들어온 이후 차츰 사시날발(四時捺鉢)의 정통이 생겼다. 

요(遼)와 금(金)의 황제는 선조의 어렵생활 중 양성한 습관을 보존하기 위해 사계절을 옮겨다녔는데 특히 봄과 가을 두 계절에 군신을 거느리고 야외에서 말을 타며 사냥하는 것을 좋아하였는에 이것은 오락이면서 또 일정의 정치활동이었다.

'춘수옥'과 '추산옥'은 이런 유의 어렵활동을 주제로 옥에 새긴 작품으로 머리 장식, 혁대판, 패식과 산자(山子)등에 형제(형상과 구조)에서 항상 보인다. 원대에도 이런 유의 주제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아울러 내용이 확대하여 표현하였는데 그 영향은 명대와 청대까지 줄곧 이어졌다.

'

 

 

# 춘수옥(春水玉)

 

- '춘수옥'은 봄에 매가 백조나 거위를 사냥하는 것을 주제로한 옥기로, 형상이 모두 강렬한 역동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북방 민족이 무력을 숭상하고, 약자가 강자를 이긴다는 영웅적 기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북송·왕선(王詵)의 《삼백도(三白圖)》

 

 

◆ 1. 골탁아문조환(鶻啄鵝紋縧環)_송공매가 거위를 쪼는  문양의  띠고리.

- 원대(1206~1368)

 


2. 화수조골조환구(花首雕鶻環鉤)_꽃머리에 솔공매를 조각한  끈고리.

- 원대(1206~1368)

 


3. 아천연문조환(鵝穿蓮紋環)_거위가 연꽃을 뚫고 있는  문양의  띠고리.

- 원대(1206~1368)



 

 

골탁아문대환(鶻啄鵝紋帶環)_송골매가 거위를 쪼는 문양의 띠고리.
-  요 금(遼 金) (916年—1234年)

此类只雕刻鹘与天鹅, 没有花草杂饰的造型是辽、金时期早期春水玉特征.

- 이런 유형은 단지 송골매와 거위만 조각하고 화초나 다른 장식이 없는 형태로 요나라와 금나라  초기 춘수옥의 특징이다.

 

 

◆ 추림인물산자(秋山人物山子)_가을 산의 풍경에 인물을 새긴 산자.

- 요 금(916년~1234년)

 

 

# 추한옥(秋山玉)

- 가을 산 옥

秋山玉是指以秋季狩猎环境와动물为主题的玉器,图案多为虎, 鹿,熊, 兔或其他动물, 辅以山석, 灵芝와 桦树等,主要表现为人与兽현재山木间와谐상处정말 대단해요.

가을산 옥화는 바위와 나무 사이에서 호랑이, 사슴, 곰, 토끼 등의 동물이 사냥하는 가을 풍경을 묘사하여, 사람, 동물, 자연의 조화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 北宋・黄宗道(傳) 《獲鹿圖》미국 大都會藝術博物館 소장.

 

 

◆ 1. 상중: 서 있는 사슴 문양 장식[立鹿紋飾件]

- 金 元

◆ 2. 하: 두 마리 사슴 문양 장식[雙鹿紋飾件] 2건.

-金 元

◆ 3. 하중: 두 마리 토끼 문양 장식[紋飾件] 3건.

- 金 元

◆ 4. 하: 두 마리 호랑이 문양 장식[雙虎紋飾件]

- 金 元

 

 

◆ 사슴 무리 문양 노정[群鹿紋爐頂]

金 元

 

 

◆ 산석와호파건(山石臥虎擺件)
- 金 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