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44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9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2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9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2 # 남청북백(南青北白)성숙한 자기의 탄생(서기 220-907년)위진남북조시기에 자기(瓷器) 수공업생산은 빠른 발전단계에 들어섰고 남쪽지역은 이미 보편적으로 성숙된 청유약과 흑유약을 발라 굽기 시작했으며, 절강, 호남, 강서와 복건 등지에서 일부 자기 제조 중심지와 자기가마의 체계를 초보적으로 형성하였다. 북쪽 각지의 자기업 생산도 빠르게 일어나 백자를 성공적으로 구워 냈다.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정권이 통일되면서 경제가 발달했으며 문화와 무역교류가 전례없이 번영하여 도자기 제조업의 발전과 도자기 시장의 확대를 추진했고, 지역적으로 '남청북백'의 생산 구조를 형성했다. 이 시기에 유약 위에 채색을 해서 굽는 도자기가 요(遼) 송(宋) 서하(西.. 2024. 11. 10.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10_1층_10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10_1층_10 3. 가이의 발전1변한(弁韓)의 여러 작은 나라에서 출발한 가야는 발달한 철기 생산 능력과 남해안 바닷길 중개 교역을 바탕으로 성장했다. 차츰 축적된 국력과 나라 안팎으로 높아진 위상은 마침내 큰 변화를 불러왔다. 3세기 후반 무렵 지배계층 무덤이 획기적으로 발전한 모습에서 그러한 변화를 엿볼 수 있다. 큰 무덤을 만들고 많은 재물을 장례에 소비했을 뿐만 아니라 순장 풍습도 나타났다. 4세기는 금관 가야의 눈부신 성장이 주목된다. 5세기 이후에는 대가야를 중심으로 아라가야, 소가야가 함께 발전했다. 옛 가야 지역 곳곳에 남은 커다란 무덤과 다양한 출토 유물은 당시 지배자들의 우월한 경제력과 사회적 영향력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 단단한 토기의 등장, 그리고 .. 2024. 11. 10.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8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8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  # 중국고대자기전(中國古代瓷器展)  # 머릿말[前言]. 5,000여년의 기나긴 문명발전사에서 중국인민은 눈부시게 빛나는 중화문명을 창조하여 인류문명 진보사업에 크게 기여하였다. 도자기는 중화전통문화에서 가장 차별성이 있는 표지의 하나로서 중화민족의 중대한 창조일뿐만아니라 인류의 물질문명사에서 위대한 발명이기도 하다.일찍이 하상(夏商) 시기에 우리나라[중국]는 이미 원시 자기를 구울 수 있었다. 동한(東漢) 말기에 보편적인 의미에서 성숙한 도자기는 성공적으로 구워졌다. 당나라의 "남청북백(南靑北白)"에서 송나라의 유명한 가마가 즐비하고 원명청(元明淸)의 정교하고 현란하며 이채로움에 이르기까지 도자기의 발전은 실용과 심미를 하나로 융합시키고 과.. 2024. 11. 9.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9_1층_09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9_1층_09 2. 가야의 여명3 # 옻칠_빛깔 입은 목기 옻칠은 목기의 장식성과 기능성을 한껏 높이는 기술로, 옻칠한 나무는 윤이 나고 표면이 매끈해질뿐더러 습기, 열, 부패에 강하다. 목제품뿐만 아니라 토기, 가죽, 쇠붙이 등에도 칠을 발라 그 효과를 기대했다. 옻나무 수액을 채취하고 정제해서 칠하기까지 과정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당시 칠기는 매우 귀하게 여겨졌다. 널무덤에서 발견된 칠기는 무덤 주인공의 사회적 경제적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 옻칠한 굽다리 접시 제작 과정. *재현품.   ◆ 1. 옻친한 부채 *복제품.- 원삼국시대- 창원 다호리.   ◆ 2. 옻칠한 부채 *복제품.- 원삼국시대- 창원 다호리. ◆ 1. 옻칠한 칼집과 쇠칼. *복제품.- 원삼국.. 2024. 11. 9.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4_4층 북16_수설서준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4_4층 북16_수설서준1 # 수설서준(數說犀尊)        # 머리말 과학기술의 진보는 박물관 사업발전을 위한 새로운 기회와 무한한 공간을 제공했다. 보다 스마트한 박물관을 건설하는 것은 새로운 시대의 박물관인의 시대적 책임이자 역사적 사명이 되었다. 문화 디지털화 전략을 심도 있게 구현하고 디지털 중국 건설을 가속화하기 위해 중국국가박물관은 스마트 국립박물관 건설을 추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철저한 인식, 유비쿼터스 상호 연결, 스마트 융합, 자기주도 학습, 반복 개선의 기술적 경로에 근거하여, 클라우드 컴퓨징, 빅데어터,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인공 지능 및 최신 정보 네트워크 기술을 적극적으로 응용하여 대중이 높은 수준의 정신문화 산업을 충분히 누릴 수 .. 2024. 11. 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1_청동시대(靑銅時代)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1_청동시대(靑銅時代)#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2   # 청동시대(靑銅時代)   # 상읍열열(商邑烈烈烈) 궁실위위(宮室巍巍) 2024. 11. 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0_3층_택자중국(宅玆中國)2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0_ 택자중국(宅玆中國)2 #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    # 택자중국(宅玆中國) 전범초성(典範初成)      # 사방폭사(四方幅射) 대국추형(大國雛形) 2024. 11. 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9_3층_택자중국(宅玆中國)1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9_택자중국(宅玆中國)1     # 택자중국(宅兹中国) 하상주(夏商周) 3대는 중국 노예사회가 형성되고 발전하며 전성기를 향해 나아가는 역사 시기이자 중화민족 풍격 및 가치 취향과 문화구조의 형성 시기이다. 지금으로부터 3,800년을 전후하여 중원지역은 더욱 성숙된 문명형태를 형성하였고 문화영향은 사방으로 퍼져나갔다.상나라[商朝]는 갑골문(甲骨文)으로 세상에 유명했다. "갑골문은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견된 연대가 가장 오래된 성숙한 문자체계로서 한자의 근원이자 중화의 우수한 전통문화의 근간이다. 은허 갑골문의 중대한 발견은 중화문명, 나아가 인류문명발전사에서 획기적인 의의를 지닌다."주(周)나라 사람들은 기원전 1,046년에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진출하여 상(商)나라를 멸망.. 2024. 11. 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8_2층_문명기원(文明起源)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8_2층_문명기원(文明起源)  #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8  #도적고사(陶的故事)_도자기 이야기. 2024. 11. 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7_문명기원(文明起源)7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7_문명기원(文明起源)7  #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7 # 시기별문화 분류표. 2024. 11. 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6__문명기원(文明起源)6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6_문명기원(文明起源)6#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6 # 중판화태(重瓣花朶) 2024. 11. 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5__문명기원(文明起源)5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5__문명기원(文明起源)3#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5 # 중화문명탐원공정(中華文明探源工程) 2024. 11. 8.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8_1층_08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8_1층_08 2. 가야의 여명2 # 와질토기(瓦質土器)_제작 기술의 혁신기원전 1세기 무렵 한반도 중부와 남부에서는 지역별로 독특한 토기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영남지역에서는 ‘와질토기'가 등장한다. 질감이 기와와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회색, 회흑색을 띠며, 주로 무덤에서 출토되기에 제사 그릇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릇의 모양은 주머니단지, 쇠뿔모양 손잡이 항아리 그리고 짧은목 항아리 등이 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굽다리를 붙이거나 화로 모양 그릇받침이 나타나는 등 형태와 종류가 다양해진다.   ◆ 1. 보시기_완(盌)- 원삼국시대- 창원 다호리.   ◆ 2-1. 주머니모양 항아리-대상호(袋狀壺) - 원삼국시대 - 창원 다호리/반계동, 김해 구지로.   ◆ 2-2... 2024. 11. 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4__문명기원(文明起源)4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4__문명기원(文明起源)3#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4 2024. 11. 7.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3_문명기원(文明起源)3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3_문명기원(文明起源)3 # # 신석기(新石器時代)3 2024. 11. 7.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2__문명기원(文明起源)2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2_문명기원(文明起源)1 # 신석기(新石器時代)2 2024. 11. 7.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_중국역사연구원_문명기원(文明起源)1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_중국역사연구원         #  1층 로비.1층에는 정면에는 “歷史中國 鼎鑄文明-中國歷史硏究院 文物文獻精品展示”는 높은 벽 속에 창고 식으로 되어 있다. 바닥에서 고대에서 현대까지 중요 사건을 위주로 연표가 작성되어 있다. 박물관은 1단원 “문명기원(文明起源)”, 2단원 “중국거주()”, 3단원 “대국통일(大國統一)”, 4단원 “화합과 융합(和合融合)”, 5단원 “민족각성(民族覺醒)”이라는 다섯 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 역사중국(歷史中國) 정주문명(鼎鑄文明)- 중국역시연구원 문물문헌정품전. - 벽 속에 유물이 전시되어 있는데, 디자인은 예쁘지만 사실 보라고 전시한 것은 아니고, 박물관 컨샙을 알려주는 듯하다. 2층에 가면 실제로 이렇게 전시된 공간이 있다. #.. 2024. 11. 7.
2024_0820_노사고거 2024_0820_노사고거 # 왕푸징 거리를 부근 수도극장 앞에서 버스가 서고, 내려서 오른쪽으로 걸어서 10분 미만에 노사의 옛집이 있다.  # 수도극장 공연제목 "조씨고아(趙氏孤兒)"  # 상무인서관의 이름이다. "함분루서점(涵芬樓書店) # 노사고거는 작은 골목인 풍부후통(豊富胡同) 입구에 왼쪽에 있다.   # 실내가 비좁아 인원을 채크하면 입장시킨다.  # "북경시 문물보호단위"이다.- 1984년에 지정.# 입구에는 노사기념관(老舍紀念館) # 노사기념간 설명 및 안내도. 1950년에 로사는 북경 동성구 내자부(迺玆府) 풍성후통 10호인 평범한 사합원(현 주소는 등시구 서가풍부후통 19호: 灯市口西街丰富胡同19号) 을 구매하였다. 약 400㎡ 의 부지에 19개의 방이 있다. 집에 들어설 때 가장 먼저.. 2024. 11.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6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3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6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3 # 청대복식(淸代服飾)  # 청대_남장. # 청대 남성 순행(巡行), 기사(騎射) 착장. / 청대 기인(旗人) 여성 편복(便服)  # 청말 한족 여성 분장.         # 기타 관정(官定) 복식.  # 황제 조주(皇帝 朝珠)   # 여장(女裝)_여성 장식. 2024. 11.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5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2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5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2 # 원대 귀족여성 정식 착장(着裝) / 원대 남성 착장.     # 원대 복식(元代服飾)  # 명 중후기 여성 분장.  # 명 말기 문인 편복(便服)  # 명대 복식.  - 남장(男裝).   # 명대 관복.  # 사복(賜服)    ◆ 효단황후(孝端皇后) 풍관(風冠)- 북경 명(明) 정릉(定陵) 출토.- 중국국가박물관 소장.   # 명대 복식 # 하피(霞帔) # 여성 머리장식. 2024. 11.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4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1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4_4층 북18_중국고대복식문화1  #  복식의 출현.   # 선진 복식(先秦服飾)  # 상주복식(商周)    ◆     ◆    # 호복(胡服)  # 혁대(革帶(와 대구(帶鉤)         # 동한 문관 착장_ # 남장(男裝)  # 수(綏)   # 진한위진남북조(秦漢 魏晉 南北朝) 복식  # 관제(冠制)- 관(冠)    # 면(冕)_면류관.  # 당대복식(唐代服飾) # 초당(初唐) 관원 상복. / 성당 시녀 분장(扮裝)        # 당송 5대 귀족여성 분장 / 당대 제왕 예의 복장.  # 남송 관원 공복(公服:관복) / 남송 여성 일상 분장.  # 송 료 금 서하 원(宋 遼 金 西夏 元) 복식  # 송대 복식(宋代 服飾) 2024. 11.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3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6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3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6 2024. 11.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0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3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0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3 2024. 11.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2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5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2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5 2024. 11.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1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4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11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4 2024. 11. 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7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7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7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7  # 조경루빙(雕琼鏤冰)*이는 작품의 풍격이 명결하거나 구상이 참신하고 정교함을 비유하는것으로서 명 (明) 나라 양신 (楊愼) 의 ≪ 승암시화 (承庵詩話) · 손기의 평시 ≫ 에서 나왔다. # 옥 조각의 예술성 상고시대에 사람들은 아름다운 돌을 옥으로 여겼다. 춘추시대 이후 광물학 지식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점차 섬석(閃石)을 진옥(眞玉)으로 인식하는 개념을 확립하였고, 그 밖에 옥과 유사한 색의 돌을 "민(珉)"이라고 불렀다. 이처럼 옥과 같은 색깔의 돌은 각자 명칭이 생기게 되었다. 예를 들면 벽전자(碧甸子), 마노(馬瑙), 수정(水精), 수산석(壽山石) 등과 같은 돌은 전통적으로 이러한 옥과 비슷한 색깔의 돌은 종종 가공 및 조각을 .. 2024. 11. 7.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7_1층_07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7_1층_07 2. 가야의 여명1 청동기시대 막바지에 이르러 옛 가야 지역 곳곳에 나타난 덧띠토기문화와 더불어 새롭게 확산된 철기문화는 사회변동을 재촉했다. 하지만 새로운 문화는 이전부터 뿌리내린 지역문화를 완전히 압도하지는 못한 채 일정 기간 공존하면서 서서히 퍼져나갔다. 사람들이 사용하던 물건도 바뀌었다. 새로이 등장한 널무덤에서 널리 확인되는 철 제품과 와질토기가 대표적이다. 무덤에 넣은 껴묻거리 종류와 양이 많아진 것도 청동기 시대 고인돌에서 찾아볼 수 없던 큰 변화이다. 주변 지역과 교류도 활발해져 각 지역 공동체들은 새로운 선진문물을 경쟁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가야로 발전해 나갔다. # 철기의 사용철은 고대사회 형성과 변동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광석에서 추출한 .. 2024. 11. 7.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6_1층_06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6_1층_061. 가야 이전 사람들의 삶5  # 민무늬토기- 청동기시대 살림살이_무문토기청동기시대 사람들이 사용한 그릇은 민무늬토기無文土器입니다. 민무늬라 하지만 아가리 겉면에 짧은 선이나 구멍 등 간단한 무늬를 새기기도 했습 니다. 바리·대접·접시·항아리·독 등 필요한 용도에 따라 생김새가 다양 하지만 바닥은 대체로 납작합니다.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와 마찬 가지로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이며 꾸준히 사용되었습니다. ◆ 1. 바리_발(鉢)- 청동기시대- 진주 대평리  ◆ 2. 바리- 청동기시대- 산청 소남리 ◆ 3. 바리- 청동기시대- 울산 교동리   ◆ 4. 바리- 청동기시대- 울산 서부동.   ◆ 5. 접시- 청동기시대- 진주 대평리   ◆ 6. 항아리 - 청동.. 2024. 11. 6.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5_1층_05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5_1층_05 1. 가야 이전 사람들의 삶4 # 농경과 마을의 탄생_농촌의 출현 청동기시대에 이르러 벼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신석기시대 조·기장 위주의 소규모 잡곡 농사와는 달리 벼농사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면서 큰 규모의 마을이 생겨났다. 여러 채의 움집, 논과 밭 마을 전체를 두른 도랑이나 울타리가 청동기시대 마을 풍경이다. 농사가 가장 중요한 생업수단으로 정착하면서 땅을 일구고 수확 하는 도구들도 발달했다. ◆ 동심원이 그려진 바위 그림- 청동기시대- 밀양 상동면 안인리 *경남 밀양시 상도연 안인리 신안마을의 고인돌 유적에서 출토된 바위 그림이다. 지름 7cm 내외의 동심원 세 겹 아래로 검이 새겨져 있다. 동심원은 모든 생명의 근원인 태양을 상징하는 것으로 추.. 2024. 11. 5.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4_1층_04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4_1층_04 1. 가야 이전 사람들의 삶3 # 문화사 연표- 구석기시대부터 가야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발견된 유적과 유물을 기준으로 설명한 문화사 연표. BP : 현재(1950)년 이전BCE: 기원전CE: 서력 기원후 # BP : 700,000 - 한반도에 인류 등장. - 뗀석기 사용. - 수렵채집사회. ◆ 1. 돌남몸돌- 구석기- 밀양 천황재 ◆ 3. 격지- 구석기- 밀양 천황재. BP : 40, 000- 후기 구석기- 돌날문화 성행. ◆ 2. 돌날- 구석기 후기- 밀양 천황재 # BCE: 8,000- 신석기시대- 토기 등장- 간석기 사용- 움집생활- 초보적 농사 시작. ◆ 1. 빗살무늬토기- 신석기- 진주 상촌리  ◆ 2. 결합식 낚시바늘- 신석기- 울산 세죽, 통영 연.. 2024.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