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3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7

by isanjo 2024. 12. 10.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23_4층 북19_중국고대옥기7

 

 

# 조경루빙(雕琼鏤冰)

*이는 작품의 풍격이 명결하거나 구상이 참신하고 정교함을 비유하는것으로서 명 (明) 나라 양신 (楊愼) 의 ≪ 승암시화 (承庵詩話) · 손기의 평시 ≫ 에서 나왔다.

 


# 옥 조각의 예술성

상고시대에 사람들은 아름다운 돌을 옥으로 여겼다. 춘추시대 이후 광물학 지식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점차 섬석(閃石)을 진옥(眞玉)으로 인식하는 개념을 확립하였고, 그 밖에 옥과 유사한 색의 돌을 "민(珉)"이라고 불렀다. 이처럼 옥과 같은 색깔의 돌은 각자 명칭이 생기게 되었다. 예를 들면 벽전자(碧甸子), 마노(馬瑙), 수정(水精), 수산석(壽山石) 등과 같은 돌은 전통적으로 이러한 옥과 비슷한 색깔의 돌은 종종 가공 및 조각을 위한 대체 유형의 옥으로 간주된다.

옥석에서 옥기가 되는 과정은 원료의 경도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며, 이로 인해 역대의 옥 장인들이 옥 을 절단하는 도구 및 기술의 연구 개발에 전념하게 되었다.

옥석의 풍부한 색상, 변화하는 무늬결, 따뜻한 질감은 장인에게 상상의 공간을 제공하였다. 절묘한 장인정신[精湛工藝]과 섬세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동시에 "천인합일(天人合一): 인간과 자연의 조화"라는 중국 전통 개념을 디자인과 조각에도 교묘하게 응용하였는데, 아름다움은 옛날부터 지금까지 옥기를 제작하는 사람과 감사하는 사람에게 영원한 추구 대상이다.


# 중국 고대보옥석기 원료사진 분포도.

 

 

# 선조(線雕)_선 조각

선 조각은 단일 음선 조각[單陰線刻], 이중 갈고리 음선[雙勾陰線], 경사 칼 연삭[斜刀碾扎], 유사모조(游絲毛雕) 등 다양한 종류의 형식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나, 주로 옥기의 테마 장식을 조각하는데 사용한다. 똑같지 않은 선으로 조각하여  강하고 거칠거나 섬세하고 부드럽고 아름움 등 매우 다양한 예술 품격을 표현할 수 있다.

* 단일 음선 조각[單陰線刻]: 모든 왕조의 옥 작품에서 볼 수 있으며, 당나라와 송나라에서는 잎맥의 윤곽을 그리는 데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 이중 갈고리 음선[雙勾陰線]: 상나라 옥에 사용된 조각기법으로 두 개의 평행한 음선을 사용하여 문양을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상나라 옥기의 글자는 비교적 직선적이고 굵다.
* 경사칼 연삭[斜刀碾扎]:
* 유사모조(游絲毛雕): 한나라 특유의 칼기법으로 굵은 음선과 가는 음선을 나란히 사용하고 있으며, 섬세한 조각선은 비단처럼 가늘고 끊어진 듯하며, 유영하는 듯한 곡선을 이룬다. '유사모조' 기법은 춘추전국시대에 나타나 한대에 최고조에 이르렀고 한대 이후에 소멸되었다.

 

 

◆ 신인문황(神人紋璜)

- 서주시기

 

 

# 부조(浮雕)
-  부조는 지면을 줄이거나 깎아 입체감을 표현하는 조각 방식으로 지면을 줄인 부조와 지면을 감소한 부조로 나눌 수 있으며, 지면을 줄인 부조는 다만 깎아서 감소한 주체문식의 주변 면적을 감소시킬 뿐이며, 조각된 물체의 수는 높지 않으며 기물의 표면이 돌출되었다. 지면을 깍은 부조는 주체문식 이외에 별도의 지면을 깎아내어 문식이 완전히 기물의 표면에서 완전히 돌출되게 하는 것이다.

*부조(Relief)는 작가가 만들고 싶은 이미지를 평평한 판에 새겨 원재료의 평면과 분리시키는 조각의 일종이다. 부조재료에는 돌, 나무, 상아, 금속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낮은부조, 높은부조, 오목부조 3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 용(龍)

 

◆ 돼지

- 동한(25~220년)

 

- 한팔도(漢八刀)는 일종의 기울어진 추를 사용하여 단 몇 개의 칼만으로 물건의 모양을 새기는 방법으로 옥매미, 옥돼지, 옥옹중(玉翁仲) 등 부장품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데, 기법이 선명하고 깔끔하며 간결성이 매우 강하다.

 

 


◆ 조리문향낭(雕螭紋香囊)

- 동한(25~220년)

 

 

#   교작(巧作): 색상의 사용.

 

- 교작은  "초색(俏色)" "교색(巧色)"이라고도한다. 일부 옥석은 자연스럽고 선명한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옥 장인이 조각할 때 의도적으로 표면색의 일부를 유지하여 다양한 색상과 도안을 능숙하게 결합하여 독특한 예술적 효과를 낼 수 있는데, 이는 중국 예술의 추구인 천인합일(天人合一)과 혼연천성(渾然天成)의 심미적개념을 구현한 것이다.

 

 

◆ 동감옥송록대과(銅嵌玉松鹿帶銙)_구리에 소나무와 사슴을 조각한 옥음 상감한 대구[버클].

- 명나라(1368~1644)

 

 

 

◆ 국화식(菊花飾)_국화문양 장식.

- 금원(1115~1368년)

 

 

◆ 비취어복문대구(翡翠魚蝠紋帶鉤)_비취에 물고기와 박쥐 문양을 새긴 대구.

- 청나라(1644~1911년)

 

 

# 묘금(描金)_금을 체우다.

- 묘금은 "전금(塡金)"이라고도 하는데, 옥에 새겨진 조각의 선에 금실을 눌러 넣거나 금가루를 메워는 것을 가리킨다. 묘금공예는 대부분 백옥 또는 청옥[사파이어]에 사용되어 금과 옥이 반사되는 화려한 효과를 만들어 낸다.

 

 

◆ 부조니금좌불식(浮雕泥金坐佛飾)_옥에 금박으로 부처를 부조한 장식.

- 청나라

 

 

◆ 묘금어제시 화훼문개완(描金御制詩花卉紋)_어제시와 화훼문양을 묘금한 뚜껑 있는 완(碗)

- 청나라.

 

 

# 양감(鑲嵌)_모자이크. 박아 넣다.

 

- 양감[상감]은 하나의 물체에 접착, 포장, 매립 등의 형식을 통해 다른 물체와 고정시키는 장식 공예이다. 옥기 작업은 일종의 보배를 넣은 아름다운 돌로, 일반적으로 다른 보석, 귀금속, 귀한 목재 등과 양감 방식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공예품을 만든다. 양감 작업은 상고시대에 이미 등장했으며 시대마다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 감옥점취로사하연식(嵌玉點翠鷺鷥荷蓮飾)_해오라기와 연을 새긴 옥과 비취를 상감한 장식.

- 명나라(1368~1644년)

 

 

◆ "복록수(福祿壽)" 3자를 백옥에 상감한 장식.

- 청나라(1644~1911년)

"백옥에 상감한 것을 "鈿嵌"이라고도 하는데, 금, 은 및 다양한 보석, 산호, 밀랍, 뿔과 이빨, 자개[ 나전], 침향, 조개[硨磲]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풍경, 인물, 건물, 꽃, 새와 동물 등의 형상을 만들고 그 위에 다시 붉은 백단향, 황화리(黃花梨), 칠기에 상감하여 색상이 풍부하고 아름다움이 뛰어나다.

 

 

◆ 홍목감옥룡문삽병(紅木嵌玉龍紋揷屛)_붉은 나무에 옥으로 용문양을 장식한 것을 삽입한 병(屛).

- 명나라.

 

 

# 맺음말._결론

 

- 한반도, 일본 열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북미 및 남미 등 환태평양의 일부 국가와 지역에서는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옥을 사용하는 고대 문화가 나타났다. 옥기(玉器)의 품격은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갖고 있었으며, 대규모의 옥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다. 중국은 이 문화권 중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중국의 옥문화는 9천년의 긴 발전과정을 거쳐 왔으며, 옥기는 널리 분포되어 있고, 수량이 많고, 종류도 모두 갖추고 있으며 공예가 매우 절묘하다. 우아하고 아름다운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대와 다양한 종류의 옥기에는 신앙, 예의, 인격, 사상, 관습 등 사회적 내용도 담겨 있습니다. 유구한 역사와 풍부한 함의는 중국 옥의 독특한 문화적 전통을 구성하며, 세계 예술계에서 독특한 것이다. 공통 문화 요인은 중국 문명의 집단적 기억과 정신적 유대를 구축하고 중국 옥 문화의 영원한 매력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