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7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6
# 2장. 도자공예(陶瓷工藝)
후대에 각 지방에서 서로 다른 특징의 도토와 도자기를 발견했고 인공적으로 각종 기교와 기예를 창조하여 아름답고 우아한 도자기를 만들었다. 어떤 것은 피부처럼 하얗고 어떤 것은 옥처럼 매끄럽다. 연회석에 놓여 서로 어우러져 문명을 움킬 수 있으니, 어찌 단지 견고하고 오래 쓰기 때문이겠는가.
명나라 송응성의 <천공개물>에 자기의 탄생은 중화민족의 위대한 창조력이 세계의 물질문명에 대한 매우 크게 기여하였다. 중국의 고대 장인들은 조형, 유약색, 장식, 소조(燒造) 기예에 있어 끊임없이 탐구하고 정진하며 지속적으로 도자기에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래서 도자기의 질이 견고해지고, 유약의 색이 아름다워졌으며, 그릇의 모양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도자기는 물질적인 실용기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초월하는 미학정신을 나타냈다. 과학과 예술, 실용과 심미의 결합은 중국 도자기의 근본적인 가치를 만들었고, 천여 년 동안 불에서 변신하고 태어나 옛것을 빛나게 하였으며, 세계 속에서 "도자기국가"라는 아름다운 이름을 이루었다.
“后世方土效灵, 人工表异, 陶成雅器, 有素肌、玉骨之象焉。掩映几筵, 文明可掬。岂终固哉!”
———明·宋应星《天工开物》 瓷器的诞生, 是中华民族的伟大创造力对世界物质文明的重大贡献。中国古代工匠在造型、釉色、装饰、烧造 技艺上不断探索与精进, 持续地为瓷器注入生机与活力, 因而瓷之质愈坚、釉之色愈美、器之形愈丰, 使得瓷器不仅有物质上的实用功能, 更表达出超越功能性的美学精神。科学与艺术、实用和审美的结合, 构成了中国瓷器的根本价值, 千余年来, 浴火而生, 耀古烁今, 并成就世界 “瓷国”之美名。
# 2.1. 형구신생(形具神生)
"자기의 품질이 귀하게 되는 원인은 도자기 진흙에 달려 있다." <이 말을> 자기 태체의 품질의 우열은 도자기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원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적합한 원료를 골라 반제품으로 만드는 것이 도자기를 만드는 첫걸음이다. 반제품을 제조한 후, 다른 방법을 통해 각종 형태의 반제품을 만드는데, 도자기 성형 방법은 주로 수제, 모제와 윤제 등이 있는데 단독으로 성형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성형 방법을 종합하여 하나의 기물에 유연하게 운용할 수도 있다.
“瓷质之贵, 在于瓷泥”, 瓷器胎体质量的优劣, 与制瓷所用的原料密切相关。选取合适的原料并将其制备成坯料是制瓷的第一步。坯料制备好后, 便可以通过不同的方法塑造各种形态的坯体。瓷 器成型方法主要有手制、模制和轮制等, 既可单 独成型, 也可将不同的成型方法综合起来, 灵活 运用在一件器物上。
◆ 청유조(靑釉竈)
- 서진(西晉) 265~316년.
이 부뚜막은 뱃머리 모양으로 유약색이 청록색이며 침유법(浸釉法)으로 유약을 칠했다. 동한시대기 처음 침유법으로 자기에 유약을 바르기 시작했다. 침유법은 기물 표면의 유약을 더욱 매끄럽게 하고 빛깔과 광택을 더욱 균일하게 하여 각종 복잡한 기물에 적응시킬 수 있다.
此灶呈船首形, 釉色青绿, 采用浸釉法施釉。东汉时期,开始采用浸釉法给瓷器施釉。浸 釉法可使器物表面的釉更加光滑, 色泽更加均一, 适应于各种复杂的器物。
◆ 청유소첩쌍어문집호(靑釉塑貼雙魚紋執壺)
- 당대(618~907년)
- 1978年湖南长沙铜官蓝岸咀出土
이 주전자는 유하방첩(流下方貼) 모인(模印:도장으로 찍은 것)의 물고기 무늬장식이 있다. 첩화(貼花)는 모인(模印) 혹은 빚은 각종 무늬장식을 이미 성형된 기물 배체(坏體:반제품)의 표면에 붙인 후 유약을 발라 가마에 넣어 굽는 것이다. 모인첩화장식은 만당시기에 성행하였는데, 무늬장식의 내용이 풍부하며 대부분 생활에서 볼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꽃, 새, 물고기, 기러기 등이다.
此壶流下方贴有模印的双鱼纹饰。贴花是将印模或捏塑成的各种纹饰粘贴在已成形的器物坯体表面, 然后施釉入窑焙烧。模印贴花装饰盛行于晚唐时期, 纹饰内容丰繁, 多来源于生 活所见, 如花、鸟、鱼、雁等。
◆ 越窑青釉秘色瓷刻莲花纹盒
- 오대(五代) 907-960년.
- 1959년 정강 영파(寧波) 출토.
이 합(盒)은 뚜껑 중간에 한 송이의 연봉오리가 볼록하게 찍혀 있는데 안쪽 연밥 7개개 찍혀 있고, 연봉오리 주변에는 두 겹의 연판 무늬가 볼록하게 새겨져 있다. 모인(模印)과 착인(戳印) 두 가지 기법으로 함께 한 물건을 장식하는데, 여전히 연밥이 껍질을 깨고 나오려는 느낌이 있어 상당히 입체감을 가지고 있다. 이 합을 내려다보면 마치 활짝 핀 연꽃처럼 열매가 꽉 찬 연봉오리를 받치고 연못에 떠 있어 의경(意境)의 청원하다.
此盒盖中间凸印一朵莲蓬, 内戳印莲子七颗, 莲蓬周边凸刻有双层莲瓣纹。印、戳两种技法共同装饰一物, 犹有莲子破皮突起之意,颇具立体感。俯视该盒, 其盖宛如盛开的莲花正在托起果实饱满的莲蓬, 漂浮在荷池中, 意境清远。
◆ 녹유척획모란도침(綠釉剔劃牡丹圖枕)
- 북송(北宋) 960~1127년.
척화(剔花: 꽃을 깎아내는 것)는 먼저 배체(坯体) 표면에 유약을 바르거나 화장토를 발라 꽃무늬를 깎아낸 다음 꽃무늬 부분의 유약층 또는 화장토층을 깎내는 것을 유지척화(留地 剔花 )라고 한다. 또 무늬 이외의 부분의 유약이나 화장토층을 깎아내어 꽃을 남기고 나머지를 부분을 깎아낸다고 할 수 있다. 불에 구운 후 유약색과 화장토색과 태지(胎地)가 대비되고 무늬장식은 옅은 부조의 느낌을 갖게 된다.
剔花是先在坯体表面施釉或施化妆土, 剔划出花纹, 然后将花纹部分的釉层或化妆土层 剔去, 称留地剔花; 也可将花纹之外部分的釉层或化妆土层剔去, 称留花剔地。烧成后,釉色、 化妆土色和胎地形成对比, 纹饰具有浅浮雕感。
◆ 길주요흑유주채월영매지문완(吉州窑黑釉酒彩月影梅枝紋碗)
- 남송(南宋) 1127~1279년.
이 완(碗)의 내부는 유백색 진흙을 사용하였으며 검은 유약에 무늬장식을 묘사한 후 다시 가마에 넣고 구운 것으로 길주요에서 자주 사용하는 장식 기법이다.
此碗内部用乳白色泥料在黑釉上描绘纹饰, 然后再入窑烧成, 是吉州窑常用的装饰技法。
◆ 자주요백유풍화설화침(磁州窑白釉“風花雪月”枕)
- 금(金) 1115-1234년
이 베게는 화장토를 발랐으며 베는 면에 흑채(黑彩)로 “風花雪月”이라는 4자가 쓰여 있다. 서법 예술의 창조성을 도자기 장식에 운용했는데, 백자 기법이 이미 매우 성숙하였기 때문에 그 만드는 방법이 먼저 태체(胎體) 위에 백색 화장토(化粧土)를 바르고 다시 각종 장식을 진행한 후 백유를 칠한다.
此枕在施有化妆~~~~ 体上以黑彩题写“风花雪月”四字,将书法艺术创造性地运用到陶 妆白瓷技法已非常成熟,其做法是先在胎体上施白色化妆土, 再進行各種裝飾, 然後施~~~
◆ 제홍유반(祭紅釉盤)
- 명대 선덕(宣德)연간 (1426~1435년)
이 반(盤)은 선덕홍유자 중의 진귀한 제품이다. 붉은 유약의 발색제는 산화아동(氧化亞銅)이다. 유약 속에 구리 원소의 함량이 다르고 소제(燒制) 공예의 차이로 인해 붉은 유약은 농도와 깊이가 일정하지 않은 색조를 나타낼 수 있다. 선덕조는 명나라 홍유자가 가장 휘황찬란하게 제작된 시기이다. 생산된 제홍유자의 유약은 색깔과 광택이 천연 루비와 비견할 만하기 때문에 '보석홍유자'라는 미칭이 있다.
此盘为宣德红釉瓷中的珍品。红釉的呈色剂为氧化亚铜, 由于釉料中铜元素的含量不同, 以及烧制工艺的差别, 红釉会呈现浓淡、深浅不一的色调。宣德朝是明代红釉瓷制作最辉煌的时期, 所产祭红釉瓷釉面色泽堪与天然红宝石相媲美, 故有“宝石红釉瓷”之美称。
◆ 균요천람유자록반계심관(钧窑天蓝釉紫绿斑鸡心罐)
원대(元代) 1206-1368년.
이 관(罐)의 유약색은 하늘색[天藍]이고 유약면의 분포가 불규칙한 장미자색 요변반(窯變斑)으로 원대 균요자기중의 상품이다. 도자기가 가마에서 구워졌을 때 유약에는 여러가지 발색원소가 함유되어 있어 산화 또는 환원작용을 거쳐 가마에서 나온 후 유약면이 알록달록하여 의외의 효과를 나타냈는데, 옛날사람들은 "요변(窯變) "이라고 불렀다.
此罐釉色天蓝, 釉面分布不规则玫瑰紫色窑变斑, 为元代钧窑瓷器中的佳品。瓷器在窑内烧成时, 由于釉中含有多种呈色元素, 经氧化或 还原作用, 出窑后釉面色彩斑斓, 呈现出令人意想不到的效果, 古人称之为“窑变”。
◆ 오금유완(烏金釉碗)
- 청대 옹정 연간(1723~1735)
- 대성룡(大成龍) 1999년 제작.
이 완(碗)의 외벽에는 오금색(烏金色) 유약을 발라 유약의 질이 고르고 깨끗하여 옹정시기 오금유자의 대표작이다. 오금유약은 진귀한 고온 색깔의 유약으로 청대 강희시기에 창소되었다. 오금유약은 산화철을 발색제로 하고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취유법(吹釉法)으로 유약을 바른 후 가마에 넣고 굽는다.
此碗外壁施乌金釉, 釉质匀净, 为雍正乌金釉瓷的代表作。乌金釉是一种名贵的高温颜色釉, 清代康熙时期创烧。乌金釉以氧化铁为呈色剂, 并含有氧化钴、氧化锰等, 一般以吹釉法施釉, 然后入窑烧成。
◆ 유리홍전지국문옥호춘병(釉里紅纏枝菊紋玉壺春甁)
- 명대 홍문(洪武) 연간(1368~1398)
유하채회(釉下彩繪)는 색료(色料)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배체(坯體)에 무늬장식을 묘사한 후 투명 유약을 바른 후 가마에 넣은 후 고온에서 한 번에 구워낸다. 유리홍(釉里紅)은 유하채회(釉下彩繪) 자기의 일종으로 산화동을 착색제로 하고 자기 태(胎) 위에 무늬장식을 묘사하며 투명유약을 발라 고온환원기분(高溫還原氣氛)에서 구워 유약 아래에 붉은색 무늬를 나타낸다.
釉下彩绘是用色料在成型的坯体上描绘纹饰后, 施以透明釉, 入窑经高温一次烧成。釉里红是釉下彩绘瓷的一种, 以氧化铜为着色剂, 在瓷胎上描绘纹饰, 施以透明釉, 于高温还原气氛中烧成, 釉下呈现红色花纹。
◆
# 2.2. 운외지수(韻外之收)
장식은 도자기를 더욱 아름답게 만들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동시에 또 사람들에게 즐거운 심미적 체험을 가져다 줄 수 있다. 태(胎), 유약, 채색은 도자기 장식의 3대 영역으로 이런 장식은 때로는 단독으로 만들기도하고 때로는 몇 가지 기법을 결합하여 사용하여 더욱 풍부한 표현 효과를 낸다.
装饰不仅使瓷器变得更有美感, 在使用的同时还能给人带来愉悦的审美体验。胎、釉、彩是瓷器装饰的三大领域, 这些装饰有时单独作用, 有时几种技法 结合使用, 以产生更为丰富的表现效果。
# 2.3. 조화천공(造化天工)
가마에 넣어 굽는 것은 도자기 생산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공정이다. 굽는 방법, 불의 세기와 시간의 정확도에 대한 파악 및 가마 도구의 사용은 모두 도자기의 굽는 방법과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入窑烧造是瓷器生产过程中最重要的工序, 装烧方法、对火候和时间精准度的把握 以及窑具的使用, 都直接影响着瓷器的烧成及质量。
# 투채(鬪彩)
투채는 유약 아래 청화와 유약 위의 여러 가지 채색이 결합된 채색도자기 장식 공예이다. 그 제작방법은 청료로 태체에 완전한 무늬장식윤곽을 그려낸 후 투명유약을 덮어 가마에 넣고 고온으로 구운 후 다시 유약에 청화윤곽선에 따라 각색의 채색재료를 채우고 다시 채로(彩爐)에 넣어 저온으로 구워 완성하다.
斗彩是釉下青花与釉上诸彩相结合的彩绘瓷装饰工艺。其制作方法是用青料在胎体上勾勒出完整的纹饰轮廓, 然后罩透明釉入窑高温烧成, 再于釉上按青花轮廓线填以各色彩料, 复入彩炉经低温烧成。
◆ 투채번련문호로병(鬪彩番蓮紋葫蘆甁)
- 청대 옹정 연간(1723~1735)
이 병은 조롱박 모양으로, 일체형 투채 장식이다. 위에는 다섯마리의 박쥐, "壽"자, 수산복해문(壽山福海紋)을 그렸으며, 아랫부분에는 번련(番蓮)무늬를 그려 '오복이 장수를 받든다'는 상서로운 뜻을 담고 있다. 외부 바닥에는 청화 쌍권(雙圈:아래 위 2개의 원통형 다리) 내에 해서로 "大淸雍正年制"라는 6자가 쌍행의 낙관이 있다. 이 병의 독특한 형태는 청신하고 우아한 장식과 완벽하게 결합하여 옹정시기 투채자기 중의 정품이다.
此瓶呈葫芦形。通体斗彩装饰。上部绘五蝙、“寿”字、寿山福海纹; 下部绘番莲纹, 寓“五 福捧寿”吉祥之意。外底青花双圈内署楷体“大清雍正年制”六字双行款。此瓶别致的造型与清新典雅的装饰完美结合, 为雍正斗彩瓷中的精品。
◆ 청화자(靑花瓷) 현대.
투명 유약을 바른 후 제 1차로 가마에 넣어 구워서 만들었다.
罩透明釉后, 第一次入窑烧成.
◆ 청화구선적배체(靑花勾线的坯体) 현대.
청화쌍구도안윤곽선화양식(靑花雙鉤圖案輪廓線和樣式)
◆ 이배후적배체(利坯后的坯体) 현대.
반제품을 손질하여 반제품을 반듯하고 얇고 매끄럽게 하여 기형의 요구에 부합되게 한다.
对坯体进行修整, 使坯体规整、 细薄平滑, 符合器形的要求.
# 화조(火照)
* 화조(火照) : 가마 안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그릇의 벽돌을 이용하여 대체적으로 Ⅴ 모양으로 고친 장치이다.
화조(火照)는 송대에 성행하였는데 이는 도자기를 구울 때 가마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가마기구로서 자기토로 제작되었다. 모양은 일반적으로 삼각형이며 위가 넓고 아래가 좀으며, 상반부에 유약을 바르고 둥근 구멍을 낸다. 사용할 때 가마 안에서 관화공(觀火空)에서 볼 수 있는 위치에 놓고 불을 확인할 때 쇠갈고리로 관화공으로 끌어 낸다.
火照盛行于宋代, 是瓷器焙烧时测试窑内温度的窑具, 以瓷土制作。形状一般为三角形, 上丰下敛、上 半部施釉, 并开一圆孔。使用时将其置于窑内从观火孔可以看到的位置, 验火时用铁钩将其从观火孔勾出。
1. 화조(火照)
- 남송(南宋) 1127~1279.
2. 생자화조(“生”字火照)
- 명대(1368~1644)
- 절강성 용천시 대요풍동(大窑楓洞) 암요지(岩窑址) 출토.
- 용천시박물관 소장(龍泉市博物館藏)
◆ 청유잔(靑釉盏)
- 남송(南宋) 1127~1279.
- “화광초(华光礁)Ⅰ호” 침선에서 출수(出水)
거친 권(圈)을 겹쳐 굽는 것은 도자기 공예의 하나이다. 도자기 벽돌을 중첩하여 구울 때, 점구(墊具) 간격을 두지 않고, 서로 달라 붙는 것을 피하기 위해 기물 밑의 유약을 한 바퀴 긁어내어 위의 한 기물의 권족(圈足)을 받치는 데 사용한다. 이렇게 구우면 그릇 바닥의 중심에는 유약이 있고, 중첩된 곳에는 유약이 없으며, 유약이 없는 곳에는 바로 "삽권(澁圈)"이다. 이런 유형의 첩소(疊燒) 공예는 금(金, 원(元) 시기에 꽤 유행했다.
涩圈叠烧为瓷器装烧工艺之一。瓷坯在叠烧时, 不用垫具间隔, 为避免粘连, 将器物底心 釉刮掉一圈, 用于承放上面一件器物的圈足, 这样烧成后, 器底中心有釉, 而相叠处无釉, 无釉处即为“涩圈”。这种叠烧工艺在金、元时期颇为流行。
◆ 장소표본(裝燒標本)
- 당대(618~907)
- 절강성 자계(慈溪) 상림호(上林湖) 후사오(后司岙) 가마터 출토.
- 절강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2. “M”形匣钵
- 북송(北宋) 960-1127.
- 절강성 자계 상림호 후사오 가마터 출토.
- 절강성 과학연구소 소장.
◆ 갑발(匣钵)
갑발은 도자기를 구울 때 벽돌을 놓아 벽돌에 대한 보호작용을 하는 상자모양의 가마기구로서 모양은 주로 통형, 깔때기형과 "M"형 등이 있다. 벽돌을 갑발에 넣고 구우면 불꽃과 벽돌의 직접적인 접촉과 가마 꼭대기에 찌꺼기가 떨어지는 등의 침입을 피하여 벽돌의 열을 균일하게 받고 유약면을 깨끗하게 하여 제품의 질을 높일 수 있다.
匣钵是瓷器焙烧时置放坯件以对坯件起保护作用的匣状 窑具, 形状主要有筒形、漏斗形和“M”形等。坯件装在匣钵内焙烧, 可以避免烟火与坯件直接接触和窑顶落渣等侵扰, 使坯件受热均匀, 釉面洁净, 从而提高产品质量。
◆ 거치형간격구(鋸齒形間隔具) *후면(後面)
- 동진(東晉) 317~420.
- 절강성 태주(台州) 노교(路橋) 모초산(茅草山) 가마터 출토.
- 절강성문물고고연구소 소장.
톱니형 간격구는 중첩해서 굽는 그릇들은 띄어주는 물건이다. 이런 종류의 가마는 착력점(着力點)이 많고 중량이 분산되어 있으며 치단(齒端)이 소평면으로서 중량을 감당하여 아래의 반제품에 빠지지 않는다. 중첩할 때 치구(齒口)가 아래를 향하여 1개의 그릇 바닥에 바닥에 놓고 그 위에 다시 기물을 중첩한다.
锯齿形间隔具为叠烧坯件的间隔物。这种窑具着力点多, 重量分散, 而且齿端 为小平面, 不会因承受重量而陷入下面的坯里。叠装时齿口朝下, 放在一个坯件的 内底, 上面再叠装器物。
◆ 점권(墊圈) *전좌(前左)
- 북송(北宋) 960~1127.
- 절강성 자계 상림호 후사오 가마터 출토
- 절강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점권(墊圈) :좌금(座金) 사용할 때 자기벽돌의 바깥바닥에 깔고 기물과 갑발(匣鉢) 사이에 간격을 두면 자기벽돌과 갑발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垫圈使用时垫在瓷坯的外底, 间隔于器物和匣钵之间, 可防 止瓷坯与匣钵粘连。
◆ 지정(支釘) *전우(前右)
- 남송(1127~1279)
- 절강성 용천시 대요풍동 암요지(岩窑址) 출토.
- 용천시 박물관 소장.
버팀목의 작용은 쌓인 반제품이 굽는 과정에서 서로 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흔히 볼 수 있는 형식은 2가지가 있다. 첫째, 직접 사용하여 기물의 밑면 또는 족면(足面)에 붙인는 것, 둘째는 점병(墊餠), 점권(墊圈)과 삼각형 또는 삼차형(三叉形) 간격구(間隔具) 위에 얹는다.
支钉的作用是使堆叠起来的器坯在烧造过程中不互相粘连。常见的形式 有两种: 一是直接使用, 粘在器物底面或足面; 二是加在垫饼、垫圈和三角形、 三叉形间隔具上。
'박물관 >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9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8 (0) | 2024.11.16 |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8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7 (0) | 2024.11.15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6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5 (1) | 2024.11.13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5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4 (1) | 2024.11.12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4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3 (0)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