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4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3
# 1.3. 명요임립(名窑林立)_유명한 가마가 많이 있어요.
도자기 생산의 번영 (916–1368)
송대(宋代) 도자기 제조업의 발전이 비약적으로 진행되어 아울러 새로운 고봉에 이르렀고, 명요가 숲을 이루며 풍격이 각기 다른 도자기 수공업 전통과 생산 중심지를 형성했다. 예를 들어 북쪽지역의 정요(定窯)를 중심으로 하는 박태정밀백자(薄胎精細白瓷), 주요(耀州窯)를 대표로 하는 각인화청유자(刻印花靑釉瓷), 여요(汝窯)를 중심으로 하는 천청유자(天靑釉瓷) 등이다. 남쪽지역은 월요(越窯)와 용천요(龍泉窯)를 중심으로 한 청자 생산 전통이, 경덕진(景德鎭)을 대표로 하는 청백자 전통이, 건요(建窯)와 길주요(吉州窯)를 대표로 하는 결정유흑유자(結晶釉黑釉瓷) 생산 전통 등을 이어갔다. 요(遼), 금(金), 서하(西夏)는 중원 도자기공예의 영향을 받아 민족특색을 띤 자기를 창조해냈다. 원대에는 경덕진이 전국 도자기 제조업의 중심적인 지위가 점차 뚜렷해지고 공예가 끊임없이 혁신되었으며 청화(靑花)와 유리홍자(釉裏紅瓷) 굽기가 성공하여 유하채자기(釉下彩瓷器)를 새로운 단계로 발전시켰으며, 난백유(卵白釉), 남유(藍釉) 등 고온단색유자(高溫單色釉瓷)가 처음 구워져 명청(明淸)시대 단색유자의 복잡하고 현란함의 단초를 열었다.
宋代制瓷业发展突飞猛进并达到新的高峰, 名窑林立, 形成了风格各异的瓷器手工业传统和生产中心, 如北方地区以定窑为中心的薄胎精细白瓷, 以磁州窑 为代表的白地黑花瓷, 以耀州窑为代表的刻、印花青 釉瓷, 以汝窑为代表的天青釉瓷等; 南方地区则延续以越窑、龙泉窑为中心的青瓷生产传统, 以景德镇为代表的青白瓷传统, 以及以建窑、吉州窑为代表的结晶釉黑釉瓷生产传统等。辽、金、西夏受中原制瓷工 艺影响,创造出具有民族特色的瓷器。元代景德镇全 国制瓷业中心的地位逐步彰显, 工艺不断创新, 青花、 釉里红瓷的烧造成功, 使釉下彩瓷发展到一个新的阶段, 卵白釉、蓝釉等高温单色釉瓷的创烧, 开启了明 清单色釉瓷纷繁绚烂的先声。
◆ 여요천청유반(汝窑天靑釉盤). 하늘색 유약을 바른 쟁반.
- 北宋(960~1127년)
- 이 기물의 아가리는 테두리를 구리로 상감하고, 기물 전체에 천청색 유약을 입혔으며, 유약 표면에 미세한 트임 무늬[片紋]가 있다. 여요는 궁중용 도자기를 구운 시간이 겨우 2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대략 북송 철종 원우 원년((1086년)부터 휘종 숭녕 5년((1106년)까지였기 때문에 세상에 전하는 물건이 적어 희대의 진귀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 쟁반은 원래 청나라 궁실에 소장되어 있던 것이다.
此器口沿镶铜扣, 通体施天青色釉, 釉面有细小开片纹。汝窑烧造宫廷用瓷的时间仅20年左右, 约在北宋哲宗元佑元年(1086年)到徽宗崇宁五年(1106年), 故传世品很少, 被视为 稀世之珍。此盘原为清宫旧藏。
◆ 관요분청유해당식루자(官窑粉青釉海棠式壘子)_관요.분청유약을 바른 해당화 모양의누자.
- 남송(1127~1279년)
- 이 기물은 해당화 모양을 본뜬 윗쪽의 자구(子口)와 받침인 모구(母口)로 되어 있어 조형이 독특하다. 이런 종류의 기물은 문헌에서 "루자"라고 하는데,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한 세트로 겹쳐 놓을 수도 있다.
* 누자(壘子): 고대에 누자는 일반적으로 격자(格子)가 있는 접시를 가리켰는데 여러 겹으로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는데 물품을 보관하는데 사용되었다. 두 부분을 겹칠 수도 있고 분리할 수도 있다. 각각 하나씩 사용할 수도 있다.
此器呈海棠花式子口, 足底为母口, 造型别致。这类器物在文献中称“垒子”, 既可单件使用, 又可叠置成一套。
◆ 가요회청유오방위각세(哥窑灰青釉五方委角洗)
- 남송(南宋)(1127~1279년)
◆ 정요백유모인쌍어문반(定窑白釉模印雙魚紋盤)
- 북송(北宋) 960~1127년
◆ 균요매괴자유해당식화분(鈞窑玫瑰紫釉海棠式花盆)
- 북송(960~1127년)
이 동이는 청나라 궁궐에 소장되어 있던 것이다. 바깥쪽에는 "三"자를 새기고 "重華宮"과 "金昭玉翠用"이라는 관기(款記)를 새겼다. "三"은 기물을 굽기 전에 새긴 것으로 같은 종류의 기물 크기의 번호이다. "중화궁" 등은 청나라 궁정 조판처(造辦處)의 옥작장(玉作匠)이 건륭황제의 유지를 받고 새긴 것이기 때문에 청궁에 진열되었을 것이다. 학계에서도 이런 종류의 그릇을 원말명초의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此盆为清宫旧藏。外底刻“三”字, 并刻有“重华宫”及“金昭玉翠用”款记。“三”为器物 烧成前所刻, 是同一类器物大小的编号; “重华宫”等则是清代宫廷造办处玉作匠奉乾隆皇帝 谕旨所刻, 对应其在清宫中陈设位置。学界也有此类器为元末明初的观点。
◆ 요주요청유각연화문위기관(耀州窑青釉刻連花紋圍棋罐)
- 북송
합(盒)의 뚜껑에는 연꽃 무늬를 새기고 측면 및 합의 하부에 매화 문양을 조각하여 붙였다. 꽃잎은 음양의 향배(向背)가 뚜렷하고 꽃을 새기는 것과 모인(模印:모양찍기)과 소첩(塑贴:조각하여 붙임.) 공예를 결합하여 독특한 스타일을 지닌다. 이 합은 형태가 보기 드물어 바둑문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실물 자료이다.
盒盖面刻莲花纹, 侧面及盒体下部塑贴朵梅纹。花叶阴阳向背分明, 将刻花与模印塑贴工艺相结合, 别具一格。此盒造型罕见, 是研究围棋文化的重要实物资料。
◆ 자주요계백지흑화전지화문매병(磁州窑系白地黑花纏枝花紋梅瓶)
- 북송
◆ 용천요청유소첩쌍어절연세(龍泉窑青釉塑貼雙魚折沿洗)
- 남송.
◆ 경덕진방정요양동구모인단리문세(景德鎭仿定窑鑲銅扣模印團螭紋洗)
남송.
◆ 흑유토호잔(黑釉兔毫盞)_흑유를 토끼털 느낌처럼 바른 잔.
- 남송
이 잔의 유약에 나타난 가느다란 은백색 줄무늬는 유약의 중산화철 결정으로 인해 생긴 것으로 속칭 "토끼털반점"이라고 한다.
此盏釉中呈现的丝丝银白色条状纹, 系因釉中氧化铁结晶所致, 俗称“兔毫斑”。
◆ 관요분청유규구세(官窑粉青釉葵口洗)_관요에서 만든 분청유약을 바른 아욱 모양의 입을 가진 씻개.
- 남송
# 세(洗)의 아가리가 해바라기 꽃잎모양을 본떴다. 분청유약은 청유약에서 파생된 일종의 색유약으로 윤기가 있는 청록색을 띠며 남송 용천요에서 처음 구워졌으며 남송 관요에서도 모방하여 구웠다.
洗口呈葵花瓣。粉青釉 为青釉中派生出的一种色釉, 呈现粉润的青绿色, 由南宋龙泉窑创烧, 南宋官窑亦有仿烧。
# 북쪽지역의 료(遼)와 서하(西夏)는 중원 도자기공예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민족만의 스타일로 제품을 생산했는데, 예를 들면 닭벼슬 모양이 있는 호(壺), 봉황머리 문양의 병(甁) 등을 생산하여 민족대융합의 진기한 꽃이 되었다. 여진인(女眞人)이 북송을 멸망시킨 후, 금대의 도자기 제조업은 북송을 기초로 계속 발전하였고, 요주요(耀州窑) , 자주요(磁州窑) , 균요(鈞窑) , 정요(定窑) 등 유명한 도자기 가마는 모두 굽는 스타일이 거칠어지고 장식이 간소화된 도자기를 만들었다.
北方地区的辽、西夏, 在中原陶瓷工艺的 影响下, 生产出独具民族风格的产品, 如鸡冠壶、 凤首瓶等, 成为民族大融合的奇葩。女真人灭 北宋后, 金代制瓷业在北宋基础上继续发展, 耀州窑、磁州窑、钧窑、定窑等著名瓷窑,均烧造风格趋于粗犷、装饰趋于简率的瓷器。
◆ 항와요백유척획전흑유전지모란문준(缸瓦窑白釉剔劃塡黑釉纏枝牡丹紋尊)
- 요(遼) (916~1125년)
이 준은 복부는 검은 유약을 발른 후 가지를 감은 모란무늬 장식을 사용하며, 틈새에 검은 유약을 채워 흰 유약과 강렬한 색채 대비를 이루며, 무늬장식의 스타일이 거칠고 호방하여 독특한 풍격을 가지고 있다. 공예, 태유, 무늬장식 등에 근거하여 판단할 때 이 존은 내몽골자치구 적봉시 항아요( 缸瓦窑)에서 구워 만든 것으로 보인다.
此尊腹部采用剔划填黑釉缠枝牡丹纹装饰, 隙地处填黑釉, 与白釉形成强烈色彩对比, 纹饰风格粗犷豪放, 独具一格。根据工艺、胎釉、纹饰等判断, 此尊应是内蒙古自治区赤峰市缸瓦窑烧造。
◆ 백유소첩쌍후획화계관호(白釉塑貼雙猴劃花雞冠壺)
- 요(遼)
이 호(壺)의 복부 가장자리에는 2개의 볼록한 장식이 있는데, 가죽을 꿰매 봉합한 것을 모방한 이음매로 되어 있는데 요나라 도자기 중의 전형적인 기물이다. 도자질의 계관호(鷄冠壺)는 당대와 요대에 처음 나타났는데, 거란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가죽 주머니 호(壺)를 모방하여 구운 것이다. 초기 제품은 손잡이 부분이 닭볏처럼 생겼고 끈을 묶는 구멍이 있어 이름이 붙여졌다. 이후 구멍은 차츰 손잡이[提梁]로 변했다. 이런 유의 기물 형태는 유목민족의 문화특색을 보존하고 거란 장인이 도자기공예에 있어 새로운 창조정신을 구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此壶腹部边缘有两道凸起的装饰, 系模仿皮革缝缀的接缝, 是辽代瓷器中的典型器物。陶瓷质鸡冠壶始见于唐代、辽代, 系模仿契丹人惯用的皮囊壶而烧造。由于早期产品提手部分形 似鸡冠并有系绳的穿孔, 故名。后来, 穿孔逐渐演变成提梁。这种器形保留了游牧民族的文化特色, 体现出契丹工匠在制瓷工艺上推陈出新的创造精神。
◆ 영무요장유개광척획모란도매병(靈武窑醬釉開光剔劃牡丹圖梅瓶)
- 서하(西夏) 1038~1227년.
이 병의 복부 개광(開光) 안에서 모란도를 발라내어 옅은 갈색 태체(胎體)를 남겼다. 발라내는 기법이 능숙하며, 문양이 소박하고 호방하며, 억센 조형, 거친 태질과 서로 잘 잘 어울려 서하 자기의 대표작이다.
此瓶腹部开光内剔划牡丹图, 留出浅褐色胎体, 剔划技法娴熟, 纹饰质朴豪放, 与硬朗的 造型、粗糙的胎质相得益彰, 为西夏瓷器代表作。
◆ 균요천람유자홍반완(鈞窑天藍釉紫紅斑碗)
- 금(金) 1115-1234년
- 이 완(碗:주발)은 안팎에 모두 하늘색 유약을 바르고 유약에 자홍반( 紫紅斑 )을 장식하여 고르고 윤기가 흐른다. 자홍반계열의 산화아동교체(氧化亚铜胶体粒子:아산화구리 콜로이드.) 입자의 발색은 이런 유반(釉斑)의 형상이 동일하지 않고 규칙적이지 못하며 밑의 유약에 융합되어 마치 가마의 변유(變釉) 효과와도 같다.
此碗内、外均施天蓝釉, 釉上装饰紫红斑, 匀净光润。紫红斑系氧化亚铜胶体粒子的呈色, 这些釉斑的形状不一, 没有规律, 融合在底釉中, 如同窑变效果。
◆ 균요천람유잔(鈞窑天藍釉盞)
- 금(金) 1115!~1234년
◆ 정요장유척획인동문요원침(定窑醬釉剔劃忍冬紋腰圓枕)
- 금(金) 황통 원년(皇统元年) 1141년.
베개 밖의 밑바닥의 묵서 "皇統元年置 "라는 명확한 기년이 있어 금나라 정요자기를 연구하는 표준 기물이 된다. 도자기 베개를 굽기 시작한 것은 수당에서 시작되었는데, 송금시기에 도자기 베개의 형태가 가장 다양했으며 장방형, 요원형(腰圓形), 은정(銀錠形)등 여러가지 양식이 있었다.
枕外底墨书“皇统元年置”, 有明确纪年, 是研究金代定窑瓷器的标准器。陶瓷枕的烧造 始见于隋唐, 宋金时期, 陶瓷枕的造型最为丰富, 有长方形、腰圆形、银锭形等多种式样。
◆ 요주요청유각획서우망월도완(耀州窑靑釉刻劃犀牛望月圖碗)
- 금(金朝) 1115-~234년
이 주발은 꽃무늬를 새긴 칼날이 예리하고 무늬장식이 간결하고 아름다워 금대 요주요 청자의 스타일을 구현하였다. 금나라 요주 요자기 유약색은 청황색과 월백색을 위주로 하여 북송 요주요자기의 유약면에 비해 더욱 얇다.
此碗刻花刀锋犀利, 纹饰简洁优美, 体现出金代耀州窑青瓷的风格。金代耀州窑瓷器釉色以青黄色和月白色为主, 相较北宋耀州窑瓷器釉面更薄。
'박물관 >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6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5 (1) | 2024.11.13 |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5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4 (1) | 2024.11.12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3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2 (5) | 2024.11.10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2_4층 북17_중국고대자기1 (0) | 2024.11.09 |
2024_0820_베이징국가박물관01_4층 북16_수설서준 (3)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