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고고박물관_중국역사연구원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1_청동시대(靑銅時代)1

by isanjo 2024. 12. 3.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1_청동시대(靑銅時代)

#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2

 

고힐강(顧頡剛) 1893~1980.

중국 현대 역대학자. 고사변학파의 창시자, 현대역사지리학과 민속학의 창시자이다. "겹겹이 조성된 중국의 옛역사" 학설을 제기하다. "자치통감"과 "24사의 표점을 주관하였고, "상서"를 전공하여 상주사(商周史) 연구에 중대한 공헌을 하였다.

 

中国现代历来学家。古史辯學派创始人、现代历史地理学和民俗学奠基。提出“层累地造成的中国古史”学说。主持标点《资治通鉴》和《二十四史》, 专攻《尚书》, 对商周史研究做出了重大贡献。

 

 

# <청동시대(靑銅時代)>

이리두문화가 개척한 부실제도, 청동예기를 핵심으로 하는 기용제도와 초기국가의 운영 방식은 상업 시대에 한층 더 발전하였다. 언사(偃師)의 상나라 도성, 정주(鄭州)의 상나라 도성, 원북(洹北)의 상나라 도성에서 안양의 은허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도시가 잇달아 건립되었다. 등급제도를 유지하는 정치권력의 도구로서 청동기가 대량으로 생산되어 중국고대의 청동문화가 최고봉에 도달하도록 촉진되었다. 현재 발견된 갑골문은 주로 상나라 말기에 속한다. 갑골문은 상나라 말기 역사를 믿을 만한 역사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가장 먼저 체계를 형성한 중국 문화의 담체이자 민족 감정을 응집시키는 담체이기도 하다.

 

二里头文化开创的富室制度、以青铜礼器为核心的器用制度和早期国家的运行方式, 在商代进一步发展。从偃师商城、郑州商城、 洹北商城到安阳殷墟, 大小都医相继建立。作为维系等级制度的政治权力工具, 青铜器被大量生产, 助推中国古代青铜文化达到新高峰。目前发现的甲骨文主要属于商 代晚期, 甲骨文不仅使商代晚期历史成为信史, 而且也是最早成体系的中国文化载体及凝聚民族情感的载体。

 

 

# <은허(殷墟)>

은허는 현재 하남성 안양시 서북 교외의 원하( 洹河) 양안에서 면적이 약 30에 달한다. 역사에 기록된 중대한 고고학 발견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은허"로 은허는 상왕조 말기 도성이다. 1928년에 중국학술기구는 처음으로 은허를 발굴하여 중국고고학의 시초로 불리웠다. 그때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은허에 대한 발굴은 이래로 중단된 적이 없으며 중국에서 지속시간이 가장 긴 고고발굴이라고 할수 있다. 수십 년간의 발굴과 연구에 따르면 은허는 상왕 반경에서 제신까지 8대 12왕(기원전 14세기 말~기원전 11세기 중엽)이나 무정에서 제신 7대 9왕(기원전 13세기 중엽~기원전 11세기 중엽)은 소둔궁전 종묘구를 중심으로 주변에 밀집된 거주지가 분포된 특대형 도읍이다. 은허에서 발견된 유물은 매우 풍부하여 궁전, 종묘, 거처, 왕릉, 중급과 고급 귀족묘, 대형묘지, 차마갱, 갑골갱, 수공업작업장 등이 있으며, 또 대량의 갑골, 청동기, 옥기, 골기, 석기와 마차 등이 있다. 2006년에 은허는 세계문화유산등록에 올라 중국의 33번째 세계문화유산으로 되었다.

 

# <殷墟>

殷墟在今河南省安阳市西北郊的洹河两岸,有一处面积约达30 平方千米并载入史册的重大考古发现,这就是“殷墟”殷墟为商王朝晚期都城。1928 年中国学术机构首次对殷墟进行发掘,被誉为中国考古学的开端。从那时起直到今天,对殷墟的发掘从未间断,堪称我国持续时间最长的考古发掘。数十年的发掘和研究表明,殷墟历经商王盘庚至帝辛八代十二王(公元前 14世纪末 ~公元前 11 世纪中叶),或武丁至帝辛七代九王(公元前 13世纪中叶~ 公元前 11 世纪中叶),是一处以小屯宫殿宗庙区为中心、周围分布着密集居民点的特大型都邑。在殷墟发现的遗存极为丰富,有宫殿、宗庙、居址、王陵、中高级贵族墓、大型墓地、车马坑、甲骨坑、手工业作坊等,还有大批甲骨、青铜器、玉器、骨器、石器和马车等。2006 年殷墟被列入世界文化遗产名录,成为中国第33处世界文化遗产。

 

 

# <상읍열열(商邑烈烈烈) 궁실위위(宮室巍巍)>

 

상대로에 들어서면서 왕권이 강고하고 왕조가 흥성함에 따라 왕도 건설과 실크로드가 전개되었다. 상나라 전기의 정주의 상성(商城)과 언사의 상성에서부터 상대가 업그레이드된 안양의 원북 상성과 은허에 이르기까지 약 400년 동안 왕도의 규모가 끊임없이 확대되고 기능의 구분이 날로 복잡해지며 궁실건축이 점차 규모가 있게 되었다. 방대한 궁궐 종묘 구역과 폐쇄된 형태의 '사합원' 건축 등은 향후 중국 도읍의 궁실 제도의 기초를 다졌다.

 

进入商代, 随着王权强固、王朝兴盛, 王都建设丝绸之路展开。 由商代前期的郑州商城和偃师商城, 到商代升级的安阳洹北商城和殷墟, 在约400年时间里、王都规模不断扩大, 功能分区日益复杂, 宫室建筑逐渐成规制。庞大的宫殿宗庙区、封闭式的“四合院”建筑等, 奠定了日后中国都邑宫室制度的基础。

 

#

 

 

# <언사 상성>
1983년에 발견되었는데 하남성 언사시 낙하(洛河) 북쪽 언덕에 위치해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탕이 하나라를 멸망시킨후 건립된 도읍으로 간주된다. 성터의 평면은 약간 직사각형이고 남북의 길이는 1700m이며 동서의 너비는 740~1215m이고 면적은 약 2㎢이다. 처음 건설된 장방형의 작은 도시와 북쪽으로 확장된 큰 도시, 성벽은 달구질을 하였고 이미 성문 몇 개를 발견하였다. 대성 밖에 성을 보호하는 구덩이가 있다. 소성 내에 거주하는 궁성의 길이와 너비는 모두 200m 내외이고 궁성 내에는 동서 두쌍의 대형 궁전건축터, 대규모 제사유물과 연목과 정원 유적이 분포되어 있으며 양측에 창고 건축물이 있다. 성내와 성문 아래에는 석판으로 둘러쌓은 급수로 배수로가 있고 성내와 주변에는 수공업 작업장 유적지가 있다. 흥폐(興廢) 연대는 대체로 상나라 전기, 즉 기원전 16세기 전반부터 기원전 14세기 전반까지였다.

 

# <偃师商城>
发现于1983年,位于河南省偃师市洛河北岸,一般认为是商汤灭夏后建立的都邑。城址平面略呈长方形,南北长1700 余米,东西宽 740~1215米,面积约2平方千米。包括初建的长方形小城和向北扩建的大城,城墙夯筑,已发现城门数座。大城外有护城壕。小城内居中的宫城长宽均为 200 米左右,宫城内分布有东西两组大型宫殿建筑基址、大规模祭祀遗存和池苑遗迹,两侧有府库建筑。城内和城门下还有用石板围砌的给排水道,城内和周围有手工业作坊遗址。兴废年代大体在商代前期,即公元前16世纪前半叶至公元前14世纪前半叶。

 

 

# <원북상성(洹北商城)>
1999년에 발견되었는데 대성과 궁성을 포함하여 하남성 안양시 북쪽 교외에 위치해 있으며 서남은 은허와 인접해 있고 약간 교차되어 있으며 상조 중기의 도읍이다. 대성의 면적은 약 4.7이고 궁성은 대성 남부에 위치하여 있다. 궁성 내에서 흙을 달구질한 건축터가 30여 곳이 발견되였는데 이미 발굴된 1호와 2호터는 남북으로 인접해있고 방향이 일치하며 모두 전형적인 사합원 구조이다. 궁성과 대성 사이에는 많은 거주지가 흩어져 있다. 원북상성( 洹北商城)은 정주 이리강을 대표로 하는 초기 상나라문화와 은허를 대표로 하는 만기 상나라문화 사이의 시간 부족 고리를 메웠다.

 

# <洹北商城>

发现于 1999年,包括大城和宫城,位于河南安阳市北郊,西南与殷墟相邻并略有交错,为商代中期都邑。大城面积约 4.7 平方千米,宫城位于大城南部。宫城内发现穷土建筑基址三十余处,已发掘的一号和二号基址南北相邻,方向一致,均为典型四合院结构。宫城与大城之间散布有众多居民点。洹北商城填补了以郑州二里冈为代表的早商文化和以殷墟为代表的晚商文化之间的时间缺环。

 

 

◆ 


◆ 

 

 


◆ 

 


◆ 상아배(象牙杯)

- 상나라
- 하남 안양 은허 부호묘 출토.

 

# 베이지색이다. 잔의 몸체는 고(觚)와 같고, 둥근 아가리와 얇은 입술, 중간 허리는 약간 묶여 있고, 바닥은 비교적 작다. 전체에 번거롭고 정교한 무늬로 짐승 얼굴무늬와 기문 등이 조각되어 있으며 녹송석을 상감하였다. 기( 夔) 모양의 머리는 위로 향하고, 꼬리를 드리워졌으며, 새무늬를 장식하였고, 녹송석을 상감하였다. 잔 몸체를 받치고 있는 한 면에는 상하 대칭의 작은 둥근 장부가 있어 잔에 삽입할 수 있다. 

 

米黄色。杯身如觚, 圆口薄唇, 中腰微束, 底较小。通体雕刻繁缛精细的花纹, 有兽面纹、夔纹等, 并镶绿松石。整为夔形头向上, 尾下垂, 饰鸟纹, 镶绿松石。垫靠杯身的一面, 有上下对称的小圆榫, 插入杯身。

 

 


◆ 사치모계동방존

 

 

◆ <각사복골( 刻辭卜骨)> 점의 내용을 기록한 복골.
뒷면에 끌과 지진 흔적이 있다. 각사의 내용은 8조가 있다.  (1) 무오복: 그 사슬은 비신이고 감옥이다. 길하다. (2) 이뢰. (3) 삼뢰 .(4) 약손주, 이련, 좋은 혀. (5) 부기( 父己)께서 축원하셨다. (6) 부경(父庚)이 향을 내리고 소뇌로 제사하였다. (7) 소뢰에 또 한 마리 소롤 추가하였다. (8) 길하다.
이 몇 조의 각사 내용은 무오일에 왕비 비신(妣辛), 아버지 기(父己), 부경(父庚)을 제사하는 방법과 사용한 제사의 종류와 수목(數目)을 점친 것이다.


◆ <刻辭卜骨>

背面有凿、灼。刻辞内容有八组: (1)戊午卜: 其链妣辛, 牢。吉。 (2)二牢。 (3)三牢。 (4)弱巽酒, 吏链, 隹舌。 (5)于父己祝至。 (6)父庚香牢。 (7)牢又一牛。 (8)吉。 
这几组刻辞的内容是: 在戊午日占卜祭祀妣辛、父己、父庚 的方法及所用祭牲的种类与数目。

 


◆ 사치모동원준(司■母銅圓尊)

 

 

 


◆ 사모신고권족동기(司母辛高圈足銅器)

 

 

 


◆ 부호평저동화(婦好平底銅盉)

 

# 술을 담는 그릇이다. 기물의 몸체는 타원형이고 꼭대기 면이 융기되어 "T"자형 단추가 있으며 단추 앞에 단류(短流:따르는 곳)가 있고 아래 배부분의 벽이 비교적 곧으며 안으로 좁아지며 작고 평평편한 바닥이다. 기체 소면(素面) , 구름문양을 장식하였다. 어깨 부분에 '婦鎬'라는 명문을 주조하였다. 이런 형태로 만든 청동화는 매우 드물다.

 

# 盛酒器。器体呈椭长形, 顶面隆起, 有“T”字形钮, 钮前有短流, 下腹壁较直, 内收, 小平底。器体素面, 流周饰云纹。肩部铸“妇好”铭文。这种形制的铜盉十分少见。

 

 


◆ 훼뉴권족동굉(虺鈕圈足銅觥)

 


◆ 부호동기형기(婦鎬銅箕形器)

 

 

 

◆ 동다구형기(銅多鉤形器)

 

동편요(銅編鐃)

 

 

동치(銅觶)

 

#

 

동부(銅瓿)

 

 

부호동방이(婦鎬銅方彝)

 

 

좌: 호(壺)  / 중: 부호동방강(婦鎬銅方斝)  /  우: 부호동방뢰(婦鎬銅方罍)

 

 

# 은허 유골

 

 

#<예악대성>
약 기원전 12세기 말이나 기원전 11세기 초에 관중(關中) 일대에서 활동한 주나라 사람들은 기산 기슭으로 옮겨 섬서성 부풍(扶風)과 기산 두 현 북부의 주원에 도읍을 건설하여 자성일체(自成一体)의 문화와 사회를 형성했는데 이 시기를 '선주(先周)'라고 부른다.기원전 1046년에 주나라 사람들은 군사를 지휘하며 동쪽으로 진격하여 상나라를 멸망시킨 후 서주왕조를 건립하고 풍진(豊鎭)을 도읍으로 삼아 종법제와 분봉제를 핵심으로 하는 일련의 사회, 정치와 문화제도를 추진하였다.

 

# <礼乐大成>
大约公元前12世纪末或公元前11世纪初, 活动于关中一带的周人迁 至岐山脚下, 在陕西扶风与岐山两县北部的周原兴建都邑, 形成了自成一体的文化和社会, 此时期称为“先周”。公元前1046年周人挥师东进, 灭商后建立西周王朝, 以丰镇为都, 推行以宗法制和分封制为核心的一系列社会、 政治和文化制度。

 

 

# 진몽가(陳夢家) (1911-1966) 
 중국 현대 고고학자, 고문자학자. 은허갑골문, 상주 청동기와 명문의 분기 단대 및 관련 사회 문제에 대해 창조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공헌이 탁월하다. 한대 간독, 고사(古史)연대와 중요한 전적, 고대 도량형 등 연구 방면에서도 현저한 공헌을 하였다.

 

# 陈梦家
中国现代考古学家、古文字学家。 对殷墟甲骨文、商周青铜器与铭文的分期断代及有关社会问题进行了开创性研究,贡献卓著; 在汉代简牍、古史年代与重要典籍、 古代度量衡等研究方面也有显着贡献。 

 

 

# 청동기 외부 문양.

 

 

# <고고학 지층학>
고고학이 실물 자료를 얻는 기본 방법. 처음에는 지질학에서 차용한 것으로, 들판 발굴에서 주로 토질, 토색 등을 관찰하고 유적 지층 퇴적의 기본 특징을 연구하여 그 중 각종 인류 활동으로 형성된 유적 현상(가옥, 움혈, 무덤, 가마, 우물 등) 간의 층위 관계를 판단한다. 각종 지층 단위가 퇴적 순서에서의 상하 중첩 또는 타파, 시간 순서에서의 아침저녁(밑바닥이 상층보다 이르다), 공존 시간대에서의 공간 관계를 정리하여 유적 형성 과정을 연구하고 유적 유물의 상대 연대를 해결하며 고대 인류의 생산, 생활 방식과 장면 등을 탐구한다.

 

# <考古地层学>

考古学获取实物资料的基本方法。最初从地质学借用 而来, 在田野发掘中主要通过观察土质、土色等, 研究遗 址地层堆积基本特征, 判断其中各种人类活动形成的遗迹现象(房屋、窖穴、墓葬、窑、井等)之间层位关系。通 过厘清各种地层单位在堆积顺序里的上下叠压或打破、时 间顺序里的早晚(底层早于上层)、共存时段里的空间关系, 研究遗址形成过程, 解决遗迹遗物相对年代, 探究古 代人类生产、生活方式与场景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