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고고박물관_중국역사연구원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7_문명기원(文明起源)7

by isanjo 2024. 11. 29.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7_문명기원(文明起源)7

 

 

#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7

 

# 시기별문화 분류표.

地区
年代
长江
上游
黄河
上游
黄河
中游
黄河
下游
长江
中游
长江
下游
西辽河
约公元前5000
-4000
? 仰韶文化早期 北辛
文化
汤家岗
文化
马家浜
文化
赵宝沟
文化
约公元前4000
-3300
仰韶文化
庙底沟类型
大汶口文化早期 大溪文化 嵩泽文化 红山
文化
约公元前3300
-2700
马家窑文化 仰韶文化 晚期 大汶口文化中晚期 屈家岭-石家河文化 良渚文化
小河沿
文化
约公元前2700
-2300
庙底沟二期文化
约公元前2300-1800 宝墩
文化
齐家
文化
中原龙山 文化 山东龙山
文化
后石家河文化 钱山漾-广富林类型 雪山二期
约公元前1800
-1500
二里头
文化
岳石 文化 ? 马桥文化 夏家店下层文化
约公元前1500
-1000
三星堆
文化
寺洼
文化
二里岗
文化

 

 

 

# <도사유지>
고고학탐구는 중국 초기국가의 핵심은 도성 유적이다. 도사유지(기원전 2300~기원전 1900년)는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동쪽 언덕 위치해있으며 면적이 약 300만㎡로 용산문화 말기의 대형 중심유적지로서, 이미 고고학적으로 도성유적지를 판정하는 많은 요소를 완전히 구비하여 중국 초기의 국가형성과 중화문명의 핵심형성의 중요한 유적지로 되었다. 도사유지 내부 기능 구획은 초기의 북에서 남으로 항하는 삼판괴(三板块) 배치에서 중기의 十자분할의 사판괴(四板块) 배치로 변하였는데, 이는 중국고대의 초기 도시계획 배치 발전사에서 위의 문화를 계승하여 아래 문화에 전해주는 이정표적인 의의가 있다. 유적지의 위치, 연대, 규모 성격으로 볼 때 이 유적지는 요임금의 도성[평양-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런 이유로 중국 초기국가와 도시의 초기 형태가 기원전 2300년에 황하 중류지역에서 나타났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 <陶寺遗址>

考古探索中国早期国家的核心是都城遗址。陶寺遗址(公元 前2300~公元前1900年)位于山西省襄汾县汾河东岸, 面积约300万平方米, 是龙山文化晚期的一个大型中心遗址, 已完全具备考古学上判定都城遗址的诸多要素, 成为中国早期国家形成和中华文明核心形成的重要遗址。陶寺城址内部功能区划由早期的自北向南三板块布局, 变为中期的十字分割四大板块布局, 在中国古代早期城市规划布局发展史上具有承上启下的里程碑意义。从遗址的位置、年代、规模性质来看, 它很有可能是尧所居的都城——平阳。由此证明中国早期国家与城市雏形, 早在公元前2300年便在黄河中游地区出现。

 

 

◆ 옥월(玉鉞)

 

◆ 우: 조합 머리장식.

 

 

 

 

◆ 옥소(玉梳)

 

 

◆ 옥환(玉環)

 

 

◆ 1. 좌상: 동치륜형기(銅齒輪形器)

◆ 2. 좌하: 옥벽(玉璧)

◆ 4. 우: 옥규(玉圭)

◆ 3. 하: 쌍공옥도

 

 

◆ 삼련옥벽(三聯玉璧)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 삼련옥벽(三聯玉璧)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 주서'문'자도편호(朱書'文'字陶扁壺)

 

 

 

# <주서 문자 도편호>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약 기원전 2300~기원전 1900년) 산서 양분 도사유적
거주유적지의 한 곳인 도사문화말기의 회갱에서 출토되였는데 이미 파손되었다. 호(壺)의 튀어나온 복부에 주사로 "文"자를 썼는데, 갑골문 형체 구조와 매우 비슷하다. 평평한 복부의 한면에도 주사로 쓴 2개의 문자가 있는데 아직 어떤 글자인지 알아내지 못했다. 어떤 학자는 "堯"라고 생각하고, 어떤 학자는 "邑"이라고 생각하며, 또 어떤 학자는 "唐"이라고 생각한다. 파손된 곳을 따라 한바퀴 붉은색이 칠해져 있는데, 주서를 쓸 때 이 호(壺)가 이미 파손되었음을 나타낸다. 붓끝을 들고 누르는 것이 뚜렷하여 쓰는 도구가 붓이어야 한다고 추측한다.

 

# <朱书文字陶扁壶>

新石器时代陶寺文化 (约公元前2300~公元前1900年) 山西襄汾陶寺遗址

出土于居住遗址内一座陶寺文化晚期的灰坑内, 已残。壶鼓腹部用朱砂写有一个“文”, 与甲骨文形体结构十分相像。 平腹的一面朱书两个字符, 目前尚不能识读, 有学者认为是“尧”, 有学者认为是“邑”, 还有学者认为是“唐”。沿破损处涂朱一周, 表明在朱书时此壶即已残破。撤、捺笔锋清晰, 推测用来书写的工具应为毛笔。

 

# 시기별 도자기 유형도

 

 

◆ 석주도(石廚刀)_돌로 만든 주방용 칼.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무거워 보이지만 모양은 세련되고 과학적으로 보인다.

 

 


◆ 도판와(陶板瓦)_질흙으로 만든 납작기와.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 도부조(陶釜竈)_질로 만든 솥과 아궁이.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일체형이다.

 

 


◆ 도고(陶鼓)_질흙으로 만든 북.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모양이 특이하다.

 

도고(陶鼓)는 모양이 매우 특이하다. 진흙으로 만든 질북은 목 부분에 가늘고 높으며, 주동이 밖에는 기둥 모양 원형 의 꼭지 12개가 붙어 있다. 공 모양의 배가 있고 바닥과 가까운 곳에 3개의 원통형 구멍이 있고, 배의 아랫부분 중앙에는 부분은 ‘凸’의 형태로 되어 있다. 긴 목과 배가 만나는 부분에는 사람이 허리에 손을 올린 모양의 손잡이가 양쪽에 있다. 이 북은 항상 타고(鼉鼓)와 석경(石磬)의 곁에 두었으며 타고와 석경과 함께 사용하는 악기이다.

 

 

 


◆ 석경(石磬)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 청회색의 모난 바위를 쪼개서 모양을 만들고 다듬었다. 불규칙한 다각형을 띠고 있으며 다리가 짧고 넓으며 폭이 좁으면서 길다. 다리와 북이 교차하여 약 160도의 협각을 형성하였는데, 구(句) 아래에 구멍을 뚫은 것에 근거할 때 구멍 안에 밧줄이 닳은 흔적이 있어 분명히 장기간 사용한 적이 있다.
도사지에서 출토된 돌들은 현지에서 채석하여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도사유지에서 7km 떨어진 대개퇴산 남쪽 비탈에 向导시기에 석기 제조장이 있었는데, 가공되지 않은 제사가 있었다.

 

# 青灰色角岩打制成型, 经过琢修。呈不规则多边形, 股短阔, 鼓狭长。股鼓相交形成约为160度的夹角, 据句下方对钻一个悬孔, 孔内有绳索磨痕,显然是长期使用过。
陶寺遗址出土的石们是在当地采石并加工制造的。距陶寺遗址7公里的大开堆山南坡、有一向导时期的石器制造场, 曾出上有未加工完成的祭坏。

 

 

◆ 좌: 도훈(陶塤)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 중: 도령(陶鈴)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 우: 동령(銅鈴)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도사문화말기 묘장품에서 출토되었다. 출토 당시 뼈로 만든 시럭 좌측 다리뼈에 있었다.


◆ 채회도궤(彩繪陶簋)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 알록달록하고 화려한 채색 도자기는 도사유지 예기의 가장 큰 특색이다. 채색도기는 채색화가 소결(燒結)*되지 않아 쉽게 오염되고 손상되기 쉬워 실용기능이 없어 장례 등 예의활동을 위해 특별히 제조되었다. 궤(簋)는 벼, 밤 등 곡류의 음식물을 담는 식기로서 신석기시대 말기에 이미 등급과 신분, 제사 등 예의적 함의를 표시하였다.

 

*소결(燒結): 어떤 형상으로 압축되고 녹는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되어 서로 엉기어 굳는 것.

 

# 斑斓绚丽的彩绘陶器是陶寺礼器的一大特色。彩绘陶器因彩绘未烧结易污损而没有实用功能, 专为丧葬等礼仪活动制造。篮是盛稻、栗等谷类食物的食器, 在新石器时代晚期就已具有标志等级身份、祭祀等礼仪内涵。

 

 


채회도호(彩繪陶壺)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 나팔모양 주둥이, 비스듬히 접힌 선(扇), 하복부가 안으로 들어 간 것, 기체에 검은색 흑을 입히고 광택을 내었다. 어깨는 빨간색, 노란색 두 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체크 모양의 소용돌이 무늬를 그렸다. 이 두 채색 도호는 도사유지의 최고 등급 무덤에서 나왔는데, 올라갈 때 나란히 놓여 묘지 오른쪽에 위치한다. 일부 채색도호는 입구에 거적 덥개와 베를 덮은 흔적이 발견돼 술을 담는 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喇叭口, 斜折扇, 下腹部内收。器身施黑色陶衣, 并磨光。肩部用红、黄两色彩绘出勾状连涡纹。这两件彩绘陶壶出上于陶寺墓地最高等级墓葬之中, 出上时并列放置, 位于墓圹右侧。部分彩绘陶壶发现壶口有苫盖麻布的痕迹, 据此被认为是用来装酒。

 

 

 

 

 

 채회도분(彩繪陶盆)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채회삼족도호(彩繪三足陶壺)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채회용문도반(彩繪龍紋陶盤)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 갈색 바탕에, 기물의 표면은 회색, 가장자리 면과 내벽에는 질흑을 발라 광택을 냈다. 내벽은 붉은색, 흰색 두 색으로 용무늬를 그리고, 용의 꼬리는 바닥까지 감고, 붉은색으로 용 머리와 몸통의 윤곽을 그리고, 또 붉은색, 검은색, 흰색과 바탕색에 붉은 점과 흰 점을 그려 비늘을 표현했다. 도사유지에서 출토된 용문도반은 대부분 홍채색이고, 오직 이 것만 홍백 두색으로 채회했다.

 

# 褐色胎, 器表灰色, 沿面及内壁着黑色陶衣并磨光。内壁以红、白两色绘蟠龙纹, 龙尾蟠卷至底, 以红色绘龙头及躯干轮廓, 又以红色、黑色、白色和底色上绘红点及白点来表现鳞片。陶寺遗址出土的龙纹陶盘多为红彩, 只有这件红白两色彩绘。

 

 

 

 채회도분(彩繪陶盆)

- 신석기시대 도사문화

- 산서성 양분현 분하(汾河) 도사유지

 

넓은 아가리가 두 겹으로 되어 있으며 복부가 접이식이다. 두 개의 단층 접이식 동이처럼 연결되어 있고, 회갈색 바탕에 기물의 표면은 회색 질흙을 발라 빨간색을 칠하기 쉽게 했다. 기물의 표면에는 빨간색, 하얀색, 녹색 3색으로 사용하였다. 구부러진 형상의 기하학적 결합 무늬로 구성된 띠 형상을 그렸다.


# 敞口双层折腹盆。像两个单层折腹盆套接在一起, 灰褐色胎, 器表灰色陶衣, 好涂红。 器表用红、白、绿色,绘曲折形几何勾连纹构成的环带状图案。

 

 

 

# 도기제작과정 흐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