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고고박물관_중국역사연구원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6_문명기원(文明起源)6

by isanjo 2024. 11. 28.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6_문명기원(文明起源)6

#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6

 

# 중판화태(重瓣花朶)

지금으로부터 5300년전을 좌우로 사회의 복잡화 과정이 가속화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인구가 조밀한 지역에서는 뚜렷한 사회변화가 나타났다. 하나의 중요한 현상은 성벽에 둘러싸인 지역중심이 분분히 나타났는데 그중 어떤 중심은 이미 초기 도시의 정치, 종교와 경제의 여러가지 기능을 갖추었다. 그와 함께 청동주조, 원시문자, 사회계층의 분화와 지역취락형태는 선사문화에 새로운 내연와 외연을 부여하여, 한편으로는 신석기시대의 사회가 복잡해지고 최초의 국가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조건이 축적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다른 한편으로는 앞으로 새로운 문명을 탄생시킬 요소들을 위해 원천을 모으고 있다. 문화 분포는 꽃잎처럼 피어났다.

 

距今5300年左右, 社会复杂化进程开始加速, 特别是在人口稠密的地区, 出现明显的社会变化, 一个重要的现象是, 被城墙环绕的区域中心纷纷出现, 其中有的中心已经具备早期城市政治、宗教和经济的多种功能。与其相伴的是, 青铜铸造、原始文字、社会阶层分化和区域聚落形态, 赋予史前文化新的内涵和外延, 一方面表明新石器时代的社会趋向复杂化, 为形成最早的国家社会累积着条件; 另一方 面为日后催生新的文明要素汇聚着源泉。文化分布呈现出重瓣花朵式绽放。

 

 

 

 

 

# <서주봉유지>

태산(泰山)을 중심으로 하는 해대(海岱)지구 문화는 중화문명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다. 대문구문화가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문명화 과정을 거친 후 용산시대의 해대지구는 이미 초급 문명사회에 들어섰는데 그 두드러진 상징[특징]는 "왕릉"급의 대형 무덤과 잘 짜여지고 분포된 성곽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서주봉유적지(기원전 2500~기원전 2000년)는 산동성 임현 서주봉에 위치해있으며 용산문화 대묘 3기(基)가 발견되었는데  <그 곳에서는> 대량의 단각흑도예기, 옥월, 옥관장식 및 녹송석을 상감한 귀중한 기물이 출토하였는데, 이는 지금까지 용산문화 무덤 중 규모가 가장 크고 부장기물이 가장 풍부한 "왕릉"급 무덤으로서 용산시대의 해대지역이 이미 초급문명사회로 들어섰음을 상징하다.

 

# <西朱封遗址>

以泰山为中心的海岱地区文化, 是中华文明的重要组成部分。经过大汶口文化从早期到晚期的文明化过程之后, 龙山时代的海岱地区已经跨入初级文明社会, 其突出标志是出现了“王陵”级别的大墓和成组分布的城堡。西朱封遗址(公元前2500~公元前2000年)位于山东省临朐县西朱封, 发现三座龙山文化大墓, 出土了大量蛋壳黑陶礼器、 玉钺、玉冠饰及镶嵌绿松石的重器, 是迄今为止龙山文化墓葬中规模最大、随葬器物最丰富的“王陵”级墓葬, 标志着龙山时代的海岱地区已经跨入初级文明社会。

 

 

◆ 도규(陶鬹)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임구현 서주봉

 



흑도뢰(黑陶罍)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임구현 서주봉

 

 


◆ 좌후: 도정[帶蓋陶鼎]

  좌전: 도합(陶盒)

◆ 우후: 긴 손잡이가 있는 흑도배(黑陶杯)

  우전: 구멍 뚫린 손잡이가 있는 질그릇 뚜껑[陶器蓋]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임구현 서주봉

 


◆ 옥관식(玉冠飾)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임구현 서주봉

 

두 가지를 조합해서 만들었다. 머리부분의 유백색 부채꼴 모양 위에 모양이 다른 구멍이 있고, 선무늬가 없는 것으로 다른 문양을 새기고, 왼쪽과 오른쪽 양쪽의 사이에 원형의 녹송석을 상감했고, 하단 정중앙에 얕은 홈이 있으며, 손잡이 상단의 입구에 꽂을 수 있다. 손잡이는 청록색 대나무 마디 모양이다.

 

为两件组合而成。首部乳白色、呈扇形、上有形状不同的后孔、并以没线纹刻划出不相同的纹路、左、右栏的网孔联网形绿松石、下端正中出浅槽、可插入柄部上端的卿口处。柄为青绿色竹节状。

 

 


#  우: 옥환(玉環)

 


 옥선기(玉璇璣)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임구현 서주봉


옥환(玉環)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임구현 서주봉


◆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임구현 서주봉


◆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임구현 서주봉


◆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임구현 서주봉

 

 

# <삼리하유지>
산동성 교주시 성남북 삼리하촌에 위치해있으며 면적은 약 5만이다. 용산문화유물이 위주이며 대문구문화유물이 따로 있다. 용산문화 무덤의 부장품에는 단각흑도배( 蛋殼黑陶杯)와 세트의 옥기ㅐ가 있다.

 

# <三里河遗址>

位于山东省胶州市城南北三里河村, 面积约5万平方米。以龙山文化遗存为主, 另有大汶口文化遗存。龙山文化墓葬随葬品中有精美的蛋壳黑陶杯和成组的玉器。

 

#  고병단각흑도배(高柄蛋殼黑陶杯)

 


◆ 고병단각흑도배(高柄蛋殼黑陶杯)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교주시 삼리촌

 

 

◆ 고병단각흑도배(高柄蛋殼黑陶杯)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교주시 삼리촌

 

 단각흑도배(蛋殼黑陶杯)

- 신석기시대 용산문화

- 산동 교주시 삼리촌

* 현대의 칵테일 잔과 비슷하다.

 

 

 

 

 

 

 

# <위지사유지>
앙소시대 후기에는 생산력과 사회조직의 변화에 따라 가족구조와 가옥형식도 그에 맞게 변화되였다. 여러 채의 집과 긴 집 건축이 장강과 회수 지역에서 점차 유행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가족을 기본 생활 단위로 하는 것과 상응하는 새로운 건축형식이다. 안휘성 몽성현 허탄 필집촌 동쪽에 위치한 위지사유적(약 기원전 2800~기원전 2500년)이 그중의 대표로서 총면적이 약 10만이다. 이곳은 지금으로부터 4500년전의 배방취락이 발굴되였는데 주위에는 넓은 환호가 둘러싸여 있다. 유적지 중심에 있는 대형 홍소토(紅燒土)광장과 새 모양의 '신기(神器:신성한 기물)'는 남다른 의미와 등급을 보여준다. 위지사유적지에는 또 용산문화유물이 발견되였는데 이는 대문구문화의 발전과 연속으로 집터에서 세트로 나타난 칠족누공기(七足鏤空器)는 극히 보기 드물다.


* 배방(排房): 가지런히 한 채 한 채 배열된 단층집.

 

# <尉迟寺遗址>

 

仰韶时代后期 ,随着生产力和社会组织的变化, 家族结构和房屋形式也随之改变。多间房和长屋建筑在江淮地区逐渐流行起来, 这是与家族为基本生活单元相适应的新建筑形式。位于安徽省蒙城县许疃镇毕集村东的尉迟寺遗址(约公元前2800~公元前2500年)是其中的代表, 总面积约10万平方米。这里发掘出距今4500年的排房聚落, 周围有宽阔的环壕围绕。遗址中心的大型红烧土广场和鸟形“神器”, 显示了不同寻常的意义和等级。尉迟寺遗址中还发现有龙山文化遗存, 是大汶口文化的发展和延续, 房址中成组出现的七足镂空器极为罕见。

 

 

칠족루공도기(七足鏤孔陶器)

- 신석기시대 용산문하

- 안휘성 몽성현 필집촌 위지사유지.

 

- '칠족누공도기'는 모두 7점이 출토되었다. 협세사홍도는 트인 아가리, 네모난 입술, 긴 목, 둥근 배, 둥근 바닥으로 되어 있다. 배 가운데에는 세 개의 둥근 구멍이 분포되어 있고, 일곱 개의 송곳 모양의 발이 고르게 기저에 붙어 있는데 높낮이가 들쑥날쑥하다. 비교적 완전한 기물은 크기, 형태, 무늬 장식은 기본적으로 같으며, 전문적으로 가공하는 것 같다. 아마도 종교와 관련된 기물일 것이다.


七足镂孔器共出土7件。夹细砂红 陶,敞口,方唇,长颈,圆鼓腹,圆底。 腹中部有三个等距分布的圆孔,七个锥 状足均匀地附于器底,高低错落。目前 所见较为完整的器物大小、形制、纹饰 上基本相同,似有专门加工。可能是一 种与宗教有关的器物。

 

 

 

 

# <사조촌 유적>
감숙성 천수시 진성구 사조촌 서북에 위치해있으며 면적은 20만㎡이다. 사조촌 1기 문화와 앙소ㆍ마가요ㆍ제가ㆍ신점ㆍ사와문화 등 서로 다른 시기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지의 주요 문화유물은 마가요문화(기원전 3300~기원전 2000년)로서 출토된 완전한 도기는 모두 마가요문화의 전형적인 기물로 인상채도관(人像彩陶罐), 와문채도발(蛙紋彩陶鉢) 등이 있다.


# <师赵村遗址>

位于甘肃省天水市秦城区师赵村西北,面积20万平方米。发现师赵村一期文化和仰韶、马家窑、齐家、辛店、寺洼文化等不同时期的遗存。该遗址中的主要文化遗存为马家窑文化(公元前3300~公元前2000年), 出土的 完整陶器均是马家窑文化典型器, 有人像彩陶罐、蛙纹彩 陶钵等。

 


◆ 옥황(玉璜)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천수시 사조촌 유지


◆ 

 


◆ 옥벽(玉璧)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천수시 사조촌 유지

 

# 벽(璧)은 검은녹색 투섬암으로 만들어져 정교하게 연마 되어 옥종(玉琮) 한 점과 함께 무덤 주인의 아래턱뼈 아래에서 나와 동서가 병렬 되어 있었다. 선사시대의 옥벽은 부와 지위를 상징하고 제사 등 의례활동에 사용되었으며 제사 "6옥" 중의 하나로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사용되였다.

 

# 璧由墨绿色透闪岩制成, 磨制精致, 和一件玉琮一起同出于墓主人下颌骨下, 东西并列。史前玉璧标志着财富和地位, 并用于祭祀等礼仪活动, 是祭祀“六玉”之一, 用于祭天。

 

 

# <부가문유지>

감숙성 무산현 부가문촌에 위치한다. 면적은 약 50만이다. 문화층이 깊고 석령하유형, 마가요유형과 제가문화유물을 포함한다. 석령하유형의 제사 구덩이가 발견되었는데 복골(卜骨)이 있고 새긴 부호가 있는 도기 등이 출토되였다.

 

# <傅家门遗址>

位于甘肃省武山县傅家门村。面积约50 万平方。文化层深厚,包含石岭下类型、马家窑类型和齐家文化遗存。发现石岭下类型祭祀坑,出土一批有卜骨、带刻划符号的陶器等。


옥종(玉琮)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부가문유지

 

 

 

 

 

◆ 1,2  후. 도인면(陶人面)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부가문유지

 

◆ 중. 도인두(陶人頭)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부가문유지

 

◆ 전. 도수면(陶獸面)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부가문유지

 


◆ 복골(卜骨)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부가문유지

 

 

◆ 도방륜(陶紡輪)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 골침(骨針)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 고령쌍이관(高領雙耳罐)

- 신석기 제가문화

- 감숙성 영정 진위가(秦魏家)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