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4_문명기원(文明起源)4
#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4
# <앙소문화(仰韶文化)> (기원전 5000~기원전 3000)
# <섬서 보계 북수령유지(北首嶺遺址)
◆ 陶人面像

얼굴은 풍만하고 콧날은 곧으며 아래턱은 약간 둥글고 꼭대기는 평평하며 이마앞머리는 줄무늬로 표시하며 검은 채색으로 눈썹과 수염을 그리고 눈과 입부분은 구멍을 뚫으며 두 귀는 납작하고 작은 구멍을 뚫었다.

# 묘저구유지(廟底沟遺址) 기원전 4000~기원전 3500. 앙소문화 중기
하남성 삼문협시 호빈구의 묘저구라는 깊은 계곡 옆에 위치해 있으며 앙소문화 중기(약 기원전 4000~기원전 3500년) 의 대표적인 유적지에 속한다. 유적지 하층부는 대량의 꽃잎 무늬와 회전 연결무늬 채색도기를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복부가 휘어진 완(碗), 복부가 휘어진 분(盆), 아가리가 작고 바닥이 뾰족한 병, 아가리가 작고 바닥이 평평한 병 , 항아리[罐]와 솥[釜], 아궁이 등 기물이 가장 특색이 있으며, 앙소문화 묘저구유형(또는 묘저구 문화)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 곳이다.
저구유형은 하남성, 섬서성, 산서성 세 성을 중심으로 동쪽으로는 태대(泰岱) , 서쪽으로는 황수(湟水) , 북쪽으로는 하투(河套), 남쪽으로는 회한(淮漢)까지 멀리 황하 상류와 하류 및 장강과 북방의 대부분 지역에 전파되고 대부분 중국으로 퍼져나갔다. 묘저구유형의 채색도기는 이미 앙소문화 채색도기 공예의 전성기에 해당하며 대부분 홍저흑화(红底黑花)로 소량의 백색 바탕의 채색도기가 나타났는데 사가유형(史家類型)의 동태(彤態)와 풍격을 답습하여 반파유형의 채색도기 풍격과 매우 다르다. 묘저구의 채색자기는 그 상징적인 기물로서 전파하는 과정에서 문화전통을 가지고 광범한 지역주민들의 정신을 한 곳에 모았으며 화하(華夏) 역사상의 한 차례 문화대융합을 나타내며 하나의 위대한 문명의 숙의와 준비이다.
# <庙底沟遗址>
位于河南省三门峡市湖滨区一处名为庙底沟的深涧旁,属于仰韶文化中期(约公元前4000~公元前3500年)代表性遗址。 遗址下层以发现大量花瓣纹和回旋勾连纹彩陶而著名, 曲腹碗、曲腹盆、小口尖底瓶、小口平底瓶、罐和釜、灶等器物最具特色,是仰韶文化庙底沟类型(或称庙底沟文化)的命名地。
庙底沟类型以豫、陕、晋三省为中心,东至泰岱,西至湟水,北至河套,南至淮汉,远播黄河上下以及长江和北方大部分地区,辐射至大半个中国。庙底沟类型的彩陶已处于仰韶文化彩陶工艺的盛期,多为红底黑花,出现少量白衣彩陶,沿袭了史家类型的彤态和风格,与半坡类型彩陶风格迥异。庙底沟的彩陶是其标志性器物,在传播的过程中,携带了文化传统,将广大区域居民的精神聚集到了一起,标志着华夏历史上的一次文化大融合,是一个伟大文明的酝酿与准备。
◆ 채색한 질 주발[彩陶碗]

◆ 채색 도관[折腹彩陶罐]

◆ 채색 질 주발[彩陶碗]


◆ 다이아몬드 문양을 그린 질 주발[方格紋陶碗]

◆ 물고기 모양을 형상화한 채색 질 동이[彩陶盆]

◆

◆ 사람을 형상화한 밑이 좁은 채색 질 동이[彩陶盆]

◆ 화산분화구처럼 생긴 구멍 뚫린 그릇받침[陶器座]

◆ 윗부분은 원통형이고 아랫부분의 배가 볼록한 질 항아리[陶罐]

◆ 화산분화구처럼 생긴 구멍 뚫린 그릇받침[陶器座]

◆ 채색한 질 주발[彩陶碗]

◆ 채색 질 동이[彩陶盆]

◆ 채도분(彩陶盆)
- 하남 섬현 앙소문화 묘저구유지.

# <서관보(西關堡)유지> 앙소문화 묘저구유형.
신석기 시대 유적. 섬서성 화음시에 위치한다. 면적이 92만㎡에 달하여 앙소문화 중 면적이 가장 큰 유적지의 하나이다. 1957~1958년 중국과학원 고고학연구소에서 발굴을 진행하였다. 그 문화적 함의는 앙소문화 묘저구유형의 유물을 위주로 한다
◆ 채도분(彩陶盆) 조각.
- 섬서 화음(華陰) 서관보(西關堡)유지.

◆ 10. 도환(陶環)

◆ 석착(石鑿)

# <반파유지>
섬서성 서안시 산하(滻河) 동쪽 언덕에 위치한 반파촌은 황하유역의 하나의 전형적인 모계씨족 공동촌락 유적으로서 앙소문화의 조기유형에 속하며 지금으로부터 약 6,000년전이다.
반파유지는 주로 대형 취락으로서 외곽에는 너비가 약 6~8m인 큰 환호(環壕:도랑)이 있고 내부는 거주구역으로서 유적의 총면적은 약 5만㎡로서 거주구역, 제도구역과 무덤구역으로 나뉜다. 1953년 봄, 서안시는 방직공장을 건설할 때 발굴면적이 1만㎡이고 풍부한 문화유물을 획득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계산해 보면 가옥유적 45기, 울타리 2기, 움혈 200기, 도자기제조요지 6기, 무덤 250기, 생산도구 및 생활용구 약 만점이 있다. 반파유지는 처음으로 중국경내에서 환호(環壕) 취략을 특징으로 하는 신석기시대의 페합식(閉合式) 취략 형태와 그 배치 특징이 드러남과 동시에 앙소문화의 서로 다른 단계의 문화면모와 사회구조적 특징을 보여줌으로써 앙소문화 연구에 반파유형, 반파말기유형 두 단계의 기준을 수립함으로써 중국 신석기시대 문화편년의 척도를 구축하는데 상징적인 참조를 제공하였다. 이밖에 유지에서 출토된 유적과 유물은 신석기시대의 환경, 생업형태, 건축재료와 건축기술, 매장제도와 사회구조, 채색 조소(雕塑)와 초기 종교 내지 사회관리방식 등 중대한 문제를 연구하는데 전례없는 실물재료와 창조적인 연구성과를 제공해주었다.
# <半坡遗址>
位于陕西省西安市浐河东岸的半坡村, 是黄河流域一个典型的母系氏族公社村落遗址, 属仰韶文化的一种早期类型, 距今约6000年。
半坡遗址主要是大型聚落, 外围有宽约6~8米的大围壕, 内为居住区, 遗址总面积约5万平方米, 分为居住区、制陶区和墓葬区。1953年春, 西安市在建设纺织城时发现, 发掘面积1万平方米, 获得了丰富的文化遗存。计有房屋遗址45座, 圈栏2座, 窖穴200座, 制陶窑址6座, 墓葬250座, 生产工具及生活用具约万件。半坡遗址首次揭露了中国境内以环壕聚落为特征的新石器时代闭合式聚落形态及其布局特征, 同时, 展示了仰韶文化不同阶段的文化面貌和社会结构特征, 从而为仰韶文化的研究树立了半坡类型、半坡晚期类型两个阶段的标杆, 为构建中国新石器时代文化编年标尺提供了标志性参照系。此外, 遗址内出土的遗迹遗物, 为研究新石器时代的环境、生业形态、建筑材料与建筑技术、埋葬制度与社会结构、彩陶雕塑与早期宗教乃至社会治理方式等重大问题, 提供了前所未有的实物资料和开创性的研究成果。
◆ 주둥이가 좁고 바닥이 뾰족하며 배 부분에 양쪽에 고리가 달린 소구첨저도병(小口尖底陶甁)


◆ 채도 조각.


◆ 모래가 섞인 흙으로 만든 협사도관(夾砂陶罐)


◆ 골비(骨匕): 좌1,2
◆ 골잠(骨簪): 우1

◆ 배 모양 도호[船形陶壺]
- 섬서 장무 전자파유지(長武碾子坡遗址) BC 4800~ BC 4300
- 진흙으로 만든 붉은 도자기는 양쪽 끝이 둥글고 뾰족하며 가운데는 둥근 관 모양의 주전자 입구이고 입구 양쪽에 각각 한 개의 귀가 붙어 있다.

◆ 채도발(彩陶鉢)

◆ # 손잡이가 있는 단지.


#<횡진유지>
섬서성 화음시 포수진 횡진촌 서쪽에 위치한다. 3개의 집단 매장 구덩이(큰 구덩이 작은 구덩이 총 15개)가 발견되어 반파 유형 단계의 사회조직 구조를 인식하는 데 중요한 가치가 있다.
# <横阵遗址>
位于陕西省华阴市敷水镇横阵村西。发现三个集体埋葬坑(大坑套小坑共15座), 对于认识半坡类型阶段的社会组织结构具有重要价值。
◆ 도발(陶鉢)
- 양소문화 반파유형

◆ 도발(陶鉢)
- 양소문화 반파유형

◆ 도발(陶鉢)
- 양소문화 반파유형

◆ 도발(陶鉢)
- 양소문화 반파유형

◆ 도발(陶鉢)
- 양소문화 반파유형

◆ 채도분(彩陶盆)
- 양소문화 반파유형

◆ 소구첨저도병(小口尖底陶甁)
- 앙소문화 반파유형.

'박물관 > 베이징 중국고고박물관_중국역사연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6_문명기원(文明起源)6 (0) | 2024.11.28 |
---|---|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5_문명기원(文明起源)5 (1) | 2024.11.27 |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3_문명기원(文明起源)3 (0) | 2024.11.25 |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2_문명기원(文明起源)2 (0) | 2024.11.24 |
2024_0820_중국고고박물관1_중국역사연구원_문명기원(文明起源)1 (1)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