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_08_국립익산박물관2_제1전시실1_익산 백제1

# 백제의 미래, 익산

# 왕궁의 담장
- 왕궁리유적 궁장은 동아시아에서 보존이 가장 잘 된 왕궁 담장이다.

# 궁장의 구성
- 채움흙 면적

- 왕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 백제의 토목기술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이다.

- 왕궁의 기와, 사원의 기와

◆ 익산 왕궁리유적의 백제 수막새기와 무늬 비교

◆ 1. "中部乙瓦(중부을와)"가 찍힌 기아
- 익산 왕궁리
◆ 2. "福巡(복순)"이 찍힌 기와
- 익산토성

◆ 3. 연꽃무늬 수막새 / 익산 왕궁리
◆ 4. 연꽃무늬 수막새 / 부여 관북리
◆ 5. "首府(수부)"가 찍힌 기와 / 익산 왕궁리
◆ 6~7. "首府(수부)"가 찍힌 기와 / 부여 관북리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1~2. 연꽃무늬 수막새 / 통일신라 / 익산 왕궁리_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3. "大官官寺(대관관사)"가 찍힌 기와 / 통일신라 / 익산 왕궁리_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4. "入朗山山(입낭산산)"이 찍힌 기와 / 고려 / 익산 낭산산성
◆ 5. "金馬渚(금마저)"가 찍힌 기와 / 통일신라 / 익산 금마저토성
◆ 6. "金馬渚城(금마저성)"이 찍힌 기와 / 통일신라 / 익산 미륵산성
◆ 7. "金馬渚官(금마저官)"이 찍힌 기와 / 통일신라 / 익산 미륵사지
◆ 8. "金馬(금마)"를 새긴 기와 / 통일신라 / 익산 왕궁리 / 국립부여문화연구소

# 유리의 달인, 금은의 고수

# 비교 불가, 왕궁의 화장실

* 백제왕궁박물관에 소장된 화장실 관련 유물

◆ 1. 나무 건축 부재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2. 나무 방망이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1. 나무 망치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4~5. 연화문 수막새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6. 도장이 찍힌 암막새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도가니와 뚜껑
- 백제
- 익산 왕궁리

# 율령과 그릇

◆ 전우 14: 뚜껑 접시


◆ 좌: 주전자 모양 항아리
◆ 중: 곧은 주둥이 짧은 목 항아리
◆ 우: 어깨 넓은 항아리


◆ 앞1: 주전자 모양 항아리_注口壺

◆ 5.철솥_철복(鐵鍑)

# 다양한 도기

◆ 1. 청자 항아리_靑瓷壺
- 중국 남조
- 익산 왕궁리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녹색 유약을 바른 주둥이가 직각인 호리병과 뚜껑
- 백제
- 익산 왕궁리

◆ 6: 부뚜막 모양 토기_竈形土器

◆ 좌: 등잔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우: 특이한 토기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좌3: 뀌때 토기_注口土器
- 물을 따를 때 사용.
◆ 우4: 솥모양 토기
- 솥처럼 중앙에 테두리가 있다.

◆ 19. 전[顎] 달린 토기

'한국박물관 > 국립익산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6_제2전시실3_미륵사지3 (0) | 2022.09.25 |
---|---|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5_제2전시실2_미륵사지2 (0) | 2022.09.25 |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4_제2전시실1_미륵사지1 (0) | 2022.09.25 |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3_제1전시실2_익산 백제2 (1) | 2022.09.22 |
2022_08_국립익산박물관1_기획전시실_100년 전 미륵사지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