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골문 / 금문
중국국가박물관전장(中國國家博物館典藏)
위치: 南12展廳
주관: 중국국가박물관 / 중국서법가협회
# 머리말
서예의 시작은 갑골문부터이다.
#1. 갑골문 / 금문
# 귀갑(龜甲)
◆ 지●기래 전갑각사(沚●其來全甲刻辭)
- 商代
- 갑사(甲辭)의 내용은 점치고 물은[貞問] 두 가지 일이다. 첫째는 무인일(戊寅日)에 지●(沚●)이 올지 안올 지, 둘째는 같을 날 雷風이 올지 안올 지를 점친 것이다. 沚●과 雷風은 모두 사람 이름인데 沚와 雷는 씨족명 혹은 속지(屬地)이고, ●와 風은 개인 이름이다. 거북에 점칠 때 사용한 칼[卜甲刀]의 칼끝의 선은 힘차고 자획은 힘이 있는데, 이는 빈조 일류(賓組一類: 손님 접대와 관련한 복사) 복사(卜辭)의 서법 특징이다.
◆ 화 복골각사(禾卜骨刻辭)_소의 뼈에 새긴 복사이다.
- 商代
- 骨
- 이 복골은 제1사가 흉구(凶咎:재앙)를 점쳐서 물은 것 이외에 그 나머지 각각의 복사(卜辭)들은 商王이 요제(燎祭), 침제(沈祭) 혹은 의제(宜祭: 토지신을 모시는 대사(大社)에 지내는 제사이다.) 등의 제전(祭典) 분별해서 이(伊), 하(河), 악(岳) 등에게 농사가 잘되기는 기원하도록 한 것을 기록하였고 또 제사를 마쳤을 때 사용된 희생의 수량도 기록하였다. 伊는 곧 상나라 선왕인 성탕 시기의 요신(要臣) 이윤(伊尹)이다. 복골의 필획은 세밀하고, 둥글고 매끄러운데 이것은 역조 복사(歷組卜辭:날씨와 관련한 복사)에 속한다.
◆ 윤주 궤(尹舟簋)
- 商代
- 청동
- 이 궤(簋)의 구연(口沿:그릇의 입 부분, 병으로 치면 주동이) 아래에는 (좁아지는 부분) 세 줄의 工工工(舟자) 모양의 紋飾 띠가 둘러져 있고(전체 다섯줄의 무늬 중 위와 아래에는 동그라미 형태로 되어 있다.) 紋飾 띠의 앞, 뒤 양면 중간에 짐승의 머리와 닮은 부조를 장식했다. (받침에 해당하는 아랫부분에도 위와 동일하게 전체 다섯줄의 무늬 중 세 줄의 Ⅲ(舟자)의 형태이며 위와 아래에는 동그라미 형태로 되어 있다.)
안쪽 바닥에는 “尹舟” 2자의 명문(銘文)이 주조되어 있는데, “尹舟”는 씨족명이다. 글자체와 필획은 거칠지만 비교적 고르며 끝부분에 원필을 사용하였으며 위로 올려서 출봉(出鋒)했다.
특히 주의할 점은 이 ‘궤’의 입 주변 아래에 “舟”자 문식(紋飾)이 명문 “尹舟”의 “舟”자와 서로 호응하는데, 이런 정황은 은대 청동기 중에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 수●정(戍●鼎)
- 商代
- 靑銅
- 정(鼎)의 내부 벽에는 3행 26자(또 합문(合文) 1자도 있다.)의 명문이 주조되어 있는데, 정묘일(丁卯日)에 상왕(商王)이 의자(宜子)에게 명하여 서방 제후와 회맹하라고 기록되어 있다. 돌아온 후에 상왕이 戍●에게 이붕패(二朋貝)를 상으로 주어서, 戍●이 부을(父乙)을 제사하는 자정(齍鼎:서직을 담는 솥)을 만들었다. “戍”자에 대해서 어떤 학자는 당시 은대(殷代)의 국족명(國族名)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명문 구절 맨 처음의 “亞卬”은 기물을 만든 자의 족씨(族氏) 명칭이다. 戍●鼎의 명문은 배열이 정제(整齊)된 형태가 아니고 자형은 성기고 빽빽한 것의 대비가 분명하며, 자체의 크기도 일정하지 않고 서사할 때 원필(圓筆) 사용이 비교적 많다.
◆ 조정 준(祖丁尊)
- 西周
- 靑銅
- 이 기물 안쪽 바닥에는 3자의 명문이 주조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자는 족씨명인데 조정(祖丁)은 친칭(親稱)에 지지의 이름[丁]을 더한 것으로, 이 기물은 해당 가족 중 지지(地支)의 이름이 (丁)인 선조를 제사하기 위한 전용 기물임을 표시한 것이다. 祖丁奠은 서주 초년의 기물인데 모양과 문식을 막론하고 명문의 특징이 모두 상대 말기와 매우 흡사하다. ●은 족씨명으로 사용한 것인데 글자체는 농후한 상형 의미를 띠고 있는데 일종의 미화(美化) 수단으로 생각된다.
◆ 채후 신 반(蔡候申盤)
- 春秋
- 靑銅
◆ 초 왕손 어 과(楚王孫漁戈)
- 戰國
- 靑銅
◆ 왕명전용절(王命傳 龍節)
- 戰國
- 靑銅
◆ 시황 조량(始皇詔量)
- 秦
- 靑銅
◆ 중국대녕신수경(中國大寧神獸鏡) _보수 중
- 西漢
- 靑銅
'박물관 > 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3 (0) | 2022.12.15 |
---|---|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2 (0) | 2022.12.14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전국(戰國)시기_2 (0) | 2021.02.08 |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3_춘추(春秋)시기_2 (0) | 2021.02.08 |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6_고대청동기예술7_秦代 (0) | 2020.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