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섬서 고고박물관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4_2층_3.考古發現篇1-5

by isanjo 2023. 8. 29.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14_2층_3.考古發現篇1-5

 

징성유가와(澄城劉家洼)의 춘추시대 예국(芮國) 유지에서는 편종, 석경, 크기가 다른 구정(九鼎), 동언(銅甗), 동호(銅壺) 등 청동 유물을 주류를 이루며, 보계시 봉상현에서 출토된 전국시기 중기 유적인 손가남두(孫家南頭) M191에서는 도기(陶器) 제기(祭器)가 발굴되었는데 이 중 대형 채회쌍이호(彩繪雙耳壺)가 가장 특이하고 인상적이었다.

이 전시실에는 진공1호대묘(秦公1號大墓)에서 출토된 석경(石磬)과 전국말기~진대(秦代)에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되는 함양의 장흥(長興) 유지에서 출토된 도옹관(陶甕棺)과 전국시기 의 동편호(銅扁壺), 동정(銅鼎) 모양이 특이한 동제량화(銅提梁盉) 등도 전시되어 있다.

 

 

 

# 종경합명(鐘磬合鳴)_동종과 석경의 소리가 함께 울린다.

- 주대 12율과 음계 표시.

◆ 上: 편종(編鐘)

◆ 下: 편경(編磬)

 

# 열정제도(列鼎制度)

- 크기별 정(鼎)_후(諸侯)의 7정.

 

# 정(鼎)의 배열제도

- 천자는 9정, 제후는 7정, 대부는 5정, 원사(元士)는 3정이다. 정 한 세트의 모양과 꽃문양은 비슷하지만 크기와 무게는 등급의 차이에 따라가 차례대로 줄어준다. 정(鼎)의 제도와 유사한 궤(簋)의 형태와 크기도 기본적으로 정과 비슷하다. 정은 육류를 담고 궤(簋)는 서직[곡물]을 담는데, 이 두 가지 조합은 연향(宴饗)의 상징으로 귀종의 등급 표시와 예기(禮器)의 주체가 된다. 

 

◆ 예후 정(芮侯鼎)

- 춘추 시기(BC.770~BC.476)

- 2017년 징성(澄城) 유가와(劉家洼) 유지 동1구 M3

 

 

 

# 봉이옥관(奉匜沃盥)_이(匜)를 들고 관(盥:대야)에 물을 따르다.

- 제사 등 의례에서 손을 씻는데 사용했다.

 

◆ 동이(銅匜)

- 춘추 시기(BC.770~BC.476)

- 2017년 징성(澄城) 유가와(劉家洼) 유지 동1구 M49.

 

◆ 동반(銅盤)

- 춘추 시기(BC.770~BC.476)

- 2017년 징성(澄城) 유가와(劉家洼) 유지 동1구 M49.

 

◆ 동언(銅甗)

- 춘추 시기(BC.770~BC.476)

- 2017년 징성(澄城) 유가와(劉家洼) 유지 동1구 M49.

 

◆ 동호(銅壺)

- 춘추 시기(BC.770~BC.476)

- 2017년 징성(澄城) 유가와(劉家洼) 유지 동1구 M49.

 

 

◆ 동정과 동궤

- 춘추 시기(BC.770~BC.476)

- 2017년 징성(澄城) 유가와(劉家洼) 유지 동1구 M49.

 

◆ 동궤(銅簋)

- 춘추 시기(BC.770~BC.476)

- 2017년 징성(澄城) 유가와(劉家洼) 유지 동1구 M49.

 

◆ 동정(銅鼎)

- 춘추 시기(BC.770~BC.476)

- 2017년 징성(澄城) 유가와(劉家洼) 유지 동1구 M49.

 

 

 

 

- 두부촌 제도작방(制陶作坊) 유지

◆ 기와_와당(瓦當)

- 진옹성지구(秦雍城址區) 서부 

- 와당, 판와, 통와 등 건축제료와 질그릇을 만드는 공구 발견되었다.

 

 

# 손가남두(孫家南頭) M191

* 손가남두(孫家南頭) M191에서는 도기(陶器) 제기(祭器)가 발굴되었는데 이 중 대형 채회쌍이호(彩繪雙耳壺)가 가장 특이하고 인상적이었다.

 

◆ 後左 1. 반훼문동이(蟠虺紋銅匜)_이무기가 서려 있는 동이

-  춘추 중기. / 2004년 보계시 봉상구 손가남두(孫家南頭) 묘지 M191 부장 거마갱

◆ 後右 2. 반훼문동정(蟠虺紋銅鼎)  2건 

-  춘추 중기. / 2004년 보계시 봉상구 손가남두(孫家南頭) 묘지 M191 부장 거마갱

 

◆ 前左 3. 반훼문동반(蟠虺紋銅盤)

-  춘추 중기. / 2004년 보계시 봉상구 손가남두(孫家南頭) 묘지 M191 부장 거마갱

◆ 前左 4. 반훼문동우(蟠虺紋銅盂)

-  춘추 중기. / 2004년 보계시 봉상구 손가남두(孫家南頭) 묘지 M191 부장 거마갱

◆ 前左 5. 반훼문동궤(銅簋紋銅簋) 2건

-  춘추 중기. / 2004년 보계시 봉상구 손가남두(孫家南頭) 묘지 M191 부장 거마갱

 

 

 

 

◆ 前左 5. 반훼문동궤(銅簋紋銅簋) 2건

-  춘추 중기. / 2004년 보계시 봉상구 손가남두(孫家南頭) 묘지 M191 부장 거마갱

 

◆ 左 채회쌍이호(彩繪雙耳壺)

-  춘추 중기. / 2004년 보계시 봉상구 손가남두(孫家南頭) 묘지 M191 부장 거마갱

右 채회언(彩繪甗)

-  춘추 중기. / 2004년 보계시 봉상구 손가남두(孫家南頭) 묘지 M191 부장 거마갱

 

# 옹성(雍城) 주변의 중소형 진나라 묘.

- 중소형 진나라 무덤에서 출토된 기물의 시기 구분표.

기물 유형은 동정, 동궤, 동호, 도력, 도부, 도분, 나팔구도관(喇叭口陶罐)의 7종과  시기는 춘추초기, 춘추중기, 춘추만길, 전국초기, 전국중기, 전국말기의 6개로 분류되어 있다. 묘장형태도 시기별 평면도가 있다.

 

# 옹성(雍城) 주변의 중소형 진나라 묘에서 출토된 유물.

後左 1~2. 도정(陶鼎) 2건, 後中 3~5. 도호(陶壺),  後右 6. 채회쌍이호(彩繪雙耳壺)

前左 7. 도궤(陶簋), 前左 8. 前中 9. 前中 10.  前右 11.  前右 12.

 

◆ 6. 채회쌍이호(彩繪雙耳壺)

- 전국 중기

- 1976년 보계시 봉상구 팔기둔(八旗屯) 묘지 M1

 

◆ 上左 동언(銅甗) ◆ 上中 동주(銅舟) ◆ 上右 동감(銅鑑)

◆ 中左 1. 동호(銅壺)  ◆ 中左 2. 동호(銅壺)  ◆ 中左 3. 동호(銅壺) 

◆ 左 4. 동정(銅鼎) ◆ 中 5. 동정(銅鼎)  ◆ 右 6. 동정(銅鼎)

 

# 上段

◆ 上左 동언(銅甗) / 춘추 말기 / 1977년 보계시 봉상구 고장(高庄) 묘지 M10

◆ 上中 동주(銅舟) / 춘추 말기 / 1977년 보계시 봉상구 고장(高庄) 묘지

◆ 上右 동감(銅鑑) / 춘추 말기 / 1979년 보계시 봉상구 고장(高庄) 묘지 M1.

 

# 中段

◆ 中左 1. 동호(銅壺) / 춘추 말기 / 1977년 보계시 봉상구 고장(高庄) 묘지 M10

◆ 中左 2. 동호(銅壺) / 춘추 말기 / 1977년 보계시 봉상구 고장(高庄) 묘지 M12

◆ 中左 3. 동호(銅壺) / 전국 말기 / 1979년 보계시 봉상구 고장(高庄) 진묘(秦墓) M1 

 

# 下段

◆ 左 4. 동정(銅鼎) / 춘추 말기 / 1976년 보계시 봉상구 팔기둔 진묘(秦墓)

◆ 中 5. 동정(銅鼎) / 춘추 말기 / 1977년 보계시 봉상구 팔기둔 진묘(秦墓) M4

◆ 右 6. 동정(銅鼎) / 전국 말기 / 1977년 보계시 봉상구 팔기둔 진묘(秦墓) M16

 

 

# 진공1호대묘(秦公1號大墓)

*진공1호대묘(秦公1號大墓)에서 출토된 석경(石磬)과 전국말기~진대(秦代)에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되는 함양의 장흥(長興) 유지에서 출토된 도옹관(陶甕棺)과 전국시기 의 동편호(銅扁壺), 동정(銅鼎) 모양이 특이한 동제량화(銅提梁盉) 등도 전시되어 있다.

 

◆ 석경(石磬)

 

◆ 左 명문 석경

- 춘추 중기

- 1977년~1986년 보계시 봉상구 진공1호대묘

 

◆ 右 명문 석경

- 춘추 중기

- 1977년~1986년 보계시 봉상구 진공1호대묘

 

# 진한(秦漢) 역양성(櫟陽城) 유지

역양(櫟陽)은 전국시기부터 서한시기까지 도성이었다. 진 헌공(獻公)과 효공(孝公) 시기에 진나라 도성이었다. 상앙이 변법을 진행한 곳이다. 진나라 말기 새왕(塞王) 사마흔(司馬欣)과 한나라 초기에 모두 여기에 도읍하였다.

 

"十九年蜀守" 銘 銅鑑._"19년 蜀守"라는 명문이 있는 동감(銅鑑).

- 전국 시기(BC.288)

- 2017년 함양시 위성구 파류(坡劉) 묘지 M3

 

 

◆ 2. 도옹관(陶甕棺)

- 전국 말기~진대

- 2017년 함양시 위성구 장흥(長興) 유지 M2

 

 

◆ 左 1. 동편호(銅扁壺)

- 전국 시기

- 2018년 함양시 위양구 공서(龔西) 묘지 M8

 

◆ 3. 동정(銅鼎)

- 전국 시기

- 2018년 함양시 위양구 공서(龔西) 묘지 M8

 

 

4. 동정(銅鼎)

- 전국 말기

- 전국 말기 / 2018년 함양시 위양구 주릉진(周陵鎭) 남하(南賀) 묘지 M1

 

◆ 4. 청유신두호(靑釉蒜頭壺)

- 전국 시기

- 2018년 함양시 위양구 파류(坡劉) 묘지 M40

 

 

◆ 2. 칠치동구건(漆卮銅釦件)

- 전국 시기

- 2018년 함양시 위양구 난촌(蘭村) 묘지 M41

 

 

◆ 3. 동정(銅鼎)

- 전국 말기

- 2018년 함양시 위양구 난촌(蘭村) 묘지 M41

 

◆ 左 1. 동편호(銅扁壺)

- 전국 말기 /  2018년 함양시 위양구 주릉진(周陵鎭) 남하(南賀) 묘지 M1

◆ 左 2. 동호(銅壺)

- 전국 말기 / 2018년 함양시 위양구 주릉진(周陵鎭) 남하(南賀) 묘지 M1

◆ 左 3. 동호(銅壺)

- 전국 말기

- 2018년 함양시 위양구 주릉진(周陵鎭) 남하(南賀) 묘지 M2

 

 

 

 

◆ 左 1.  동제량화(銅提梁盉)

- 전국 시기 / 2017년 함양시 위양구 파류(坡劉) 묘지 M3

◆ 右 2.  동호(銅壺)

- 전국 시기 / 2017년 함양시 위양구 파류(坡劉) 묘지 M3

 

◆ 1.  동제량화(銅提梁盉)

- 전국 시기

- 2017년 함양시 위양구 파류(坡劉) 묘지 M3

 

◆ 2.  동호(銅壺)

- 전국 시기 / 2017년 함양시 위양구 파류(坡劉) 묘지 M3

 

◆ 3.  동방(銅鈁)

- 전국 시기

- 2017년 함양시 위양구 파류(坡劉) 묘지 M3

 

◆ 3.  동정(銅鼎)

- 전국 시기

- 2017년 함양시 위양구 파류(坡劉) 묘지 M3

 

◆ 左 1. 호문답보(虎紋踏步)

◆ 右 2. 수관만두(水管彎頭)

 

◆ 1. 호문답보(虎紋踏步)_호랑이가 걸음을 걷는 모양 도판.

- 서한 시기(BC.206~AD.8) /  2010년 천양(千陽) 상가령(尙家嶺) 유지

 

◆ 2. 수관만두(水管彎頭)_배수관의 ㄱ자 연결 부분.

- 서한 시기(BC.206~AD.8) /  2010년 천양(千陽) 상가령(尙家嶺) 유지

 

◆ 기봉문대와당(夔鳳紋大瓦當)_기와 봉황 문양이 있는 큰 기와.

- 진나라(BC.221~206)

- 2021년 경양(勍陽) 조장(弔庄) 유지

 

# 이궁 별관(離宮別館)

 

◆ 도창(陶倉)

- 서한 시기

 

# 창저(倉儲) 유지

 

 

 

 

◆ 채회방형도창(彩繪房形陶倉)

- 동한(25~220)

- 2008년 서안시 장안구 북리왕(北里王) 묘지 M40

 

 

◆ 현무문공심전(玄武紋空心磚)_현무 문양이 새겨진 속이 빈 벽돌.

- 서한(BC.206~AD.8)

- 2003년 양릉(陽陵) "나경석(羅經石)" 유지.

* 양쪽에 각각 1마리 현무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