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섬서 역사박물관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9_기본진열66

by isanjo 2024. 1. 3.

2019_12_섬서(陝西)1_섬서박물관89_기본진열66

 

제3청_ # 수당(隋唐)14

 

 

 

# 대당유보(大唐遺寶)

 


# 금전회(金錢會)

 

 

◆ 개원통보(開元通寶)

 


# 어릴 때 많이 했다.  동전 위에 하얀 종이 올리고 연필로 열심히 칠했다.

 

 

◆ 유금동화표(鎏金銅貨布)_구리에 도금한 화포.

 

 

 

◆ 유금동전(鎏金銅錢)_구리에 도금한 동전. "영안오남(永安五男)"

 

 

 

◆ 개원통보

 

 

◆ 쌍면 개원통보.

 

 

 

 

◆  태화육수(太貨六銖)

 

 

 

◆ 오행대포(五行大布)

 

 

 

◆ 영안오수(永安五銖)

 

 

 

 

◆ 양조신천(凉造新泉)

 

 

 

◆ 대천당천(大泉當千)

 

 

 

◆ "직백" 동전(直百銅錢)

 

 

 

◆ 직백오수(直百五銖)

 

 

 

◆ 전변오수(剪邊五銖)

 

 

 

◆ 오수(五銖)

 

 

# 왕망 시기 화폐_왕망 천봉(天鳳) 원년(14년) 주조.

- 상좌: 무자화천(無字貨泉)

- 상우: 병형화천(餠形貨泉)

- 하좌: 소화천(小 貨泉)

- 화우: 전변쌍곽화천(剪邊雙廓貨泉)

 

◆ 좌: 대포황천(大布黃千)_왕망 시건국 2년(10년) 주조.

◆ 우: 화포천(貨布)_왕망 봉원 원년(14년) 주조.

 

 

◆ 대천오십(大泉五十)_왕망 거섭(居攝) 2년(7년) 주조.

◆ 초천직일(小泉直一)_왕망 시건국(始建國) 원년(9년) 주조.

 

 

◆ 좌: 반량. 동전_전국시기 진(秦)나라.

◆ 우: 반량. 진나라 통일 이후.

 

 

◆ 좌: "京一釿" 동평수포(銅平首布)_전국시기 한(韓).

*京: 고지명 *1釿은 12~15g.

◆ 중: "半兩" 동전_전국시기 진(秦).

◆ 우: "半兩" 동전_전국시기 진(秦) 통일 이후. 

 

 

# 역대화패.

◆ "절묵지법화(節墨之法化)" 동도패(銅刀幣)_칼 모양 화폐.

- 춘추시기 제(齊)나라 주조.

* 절묵(節墨): 제나라 읍명.

*법화(法化): 국가 주조.

 

 

# 진전회췌(珍泉薈萃)

 

 

# 삼국_위촉오(魏蜀吳).

◆ 좌: 대천당천(大泉當千)_삼국 오(吳) 주조._238~246. 사용. 1개가 오수전 '一千'에 해당한다.

◆ 우: 양조신천(凉造新泉)_전량(前凉) 장씨 왕조(317~376) 주조. *나라 이름을 돈에 넣은 최초의 사례.

 

 

◆ 전변오수_동한 주조.

◆  직백오수/직백 동전_한 헌제 19년(214) 유비가 촉땅으로 들어 간 후 주조. 

 

 

# 남북조(南北朝)

◆ 좌: 영안오수_북위 효장제(528~530) 주조.

◆ 중: 오행대포_북주 무제_574년 주조.

◆ 우: 태화유수)남조 진(陳)_선제 태건(太建) 10년(579) 주조.

 

 

◆ 유금 영안오남 동전_"永安五男"은 상서로운 문구이다. 뒷면에 상서를 나태는 도안이 있다. 중량은 통용하던 화폐아 차이가 매우 컸다. 

◆ 유금동 화포_동전에 전서로 "貨布" 2자가 있다. 전체를 도금했는데 이것은 당대의 복제품이다.

 

 

# 당(唐)

◆ 쌍면 개원통보_당대 주조. "합배개원(合背改元)"이라고 한다. 천보(天寶) 4년(745) 이후에 유행하였다.

◆ 개원통보_당 무덕(武德) 4년(621)에 주조. 뒷면에 별과 달 문양이 있다. 사용한 흔적이 없다.

 

 

◆ 금차(金釵)

 

 

◆ 운두형 금차(雲頭形金釵)

 

 

◆ 금차 한 쌍.

 

 

◆ 금팔찌.

 

 

◆ 

 

 

# 유금은쇄(鎏金銀鎖)_은에 도금한 자물쇄.

 

 

◆ 월시(鈅匙)_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