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 동쪽 북측_N17_도자기예술1

by isanjo 2018. 1. 21.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_북관4층 동쪽 북측_N17


# 중국고대 도자기예술1

춘추(春秋)~당(唐)

 


◆ 푸른 유약을 바른, 두 개의 연결 고리가 있는 단지[靑釉瓜棱腹雙系罐]

- 春秋

- 1974년 8월. 江蘇 鎭江 丹陽 출토.

자세히 보면 진짜 늙은 오이의 주름을 연상케 한다.  




◆ 좌 - 흰 유약을 바른, 합[白釉盒]

- 五代

- 1958년 하남 섬현 湖濱區 출토.

 



◆ 우 - 푸른 유약을 바른, 노각[늙은 오어] 느낌의 배[腹]에 두개의 연결 고리가 있는 단지[靑釉瓜棱腹雙系罐]

- 五代

- 1958년 하남 섬현 湖濱區 출토.








 ◆ 푸른 유약을 바른, 물결무늬에 두 개의 귀가 있는 호_壺[靑釉波紋雙耳壺]

- 東漢






 ◆ 푸른 유약을 바른, 요강[靑釉虎子]

*虎子 https://zh.wikipedia.org/wiki/%E8%99%8E%E5%AD%90_(%E5%99%A8%E7%89%A9)

- 西晉

- 1974년 남경시 栖霞甘家巷 출토.


 




◆ 검은 유약을 바른, 닭머리가 있는 호_壺[黑釉鷄首壺]

- 南朝

양쪽에 네모난 구멍이 뚤려 있다. 걸어서 물이나 불에 데울 때 사용했을 수도.


 



◆ 갈색 유약을 바른, 꽃을 새긴 목이 긴 병[褐釉刻花長頸甁]

- 隋

- 호남 상양성(湘陽城) 관진(關鎭) 수묘(隋墓) 출토.



 ◆ 푸른 유약을 바른, 꽃을 붙인 네 개의 연결 고리가 있는 단지[靑釉貼花四系罐]

- 隋






◆ 푸른 유약을 바른, 용머리 자루에 닭머리가 주둥이가 있는 그릇_화盉[靑釉龍柄鷄首盉]

- 唐

- 1983년 호남 망성란(望城蘭) 안자(岸嘴) 출토.

- 주로 청동기 유물에서 주전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 흰 유약을 바른, 주전자[白釉執壺]

- 唐

- 1958년 하남 섬현(陝縣) 철로구(鐵路區) 출도.


 


 

 

◆ 화유를 바른, 물병[花釉澆壺] 花釉* 여러가지 색상의 유약을 혼합한 유약.

- 唐

- 1956년 하남 섬현 유가거묘(劉家渠墓) 출도.

투박하면서도 아름답다고 느껴진다.


◆ 장사요에서 만든, 푸른 유약을 바른, 갈록색 새 무늬 호_壺[長沙窑靑釉褐綠彩鳥紋壺]

- 당

- 1983년 호남 망성란 안취 출토.

- 주둥이 아랫부분에 채색된 새가 있다. 






◆ 영무요에서 만든, 검은 유약을 바른, 모란 무늬를 깎아 새긴 병[靈武窑黑釉剔刻牡丹紋甁]

- 서하(西夏)

- 지금 꽃병으로 사용해도 멋질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