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하남 안양 은허박물관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6_2층_위대한 상문명전1

by isanjo 2024. 8. 5.

2024_07_하남 안양 은허박물관6_2층_위대한 상문명전1

 

# 1. 상족의 흥기와 왕조의 설립.

 

# 1. 상족의 흥기와 왕조의 설립.

 

 

# 1.1. 상족(商族)의 기원.

 

# 상족 기원설.

 

# 장하설(漳河說)

- 대표인물: 정산(丁山), 이아농(李亞濃), 추형(鄒衡), 이백겸(李伯謙) 등.

- 주요관점: 정산(丁山)의 <商州史料考證>에서는 상족은 영정하(永定河)와 구수(滱水) 사이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아농(李亞濃)의 < 李亞濃史論集_殷代社會生活>에서는 상족은 하북성 역수(易水)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추형(鄒衡)은 <夏商周考古學論文集>에서는 '商'과 '章'의 고자는 서로 통용되었다. 아주 옛날에 창수(漳水)를 혹자는 상수(滳水)라고 불렀는데 상족은 이 창수 유역에서 발원하였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백겸(李伯謙)의 <夏文化與先商文化關係探求>에서는 상족은 하북성 남부와 하남성 북부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다.

 

# 동방설(東方說)

-  대표인물 : 왕국유(王國維), 장광직(張光直), 왕옥철(王玉哲) 등.

-  주요관점 : 왕국유(王國維)의 <觀堂集林-說商>과 장광직(張光直)의 <商名試釋>에서는 상족은 하남성 상구(商丘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왕옥철(王玉哲)의 <商族的來源地望試探>에서는 '상족은 산동 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다. 

 

# 북방설(北方說)

-  대표인물 : 전사년(傳斯年), 서중서(徐中舒), 김경방(金景芳), 간지경(干志耿) 등.

-  주요관점 : 전사년(傳斯年)의 <夷夏東西說>에서는 상족은 하북성 동북부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고, 서중서(徐中舒)의 <殷人服象及象之南遷>, 김경방(金景芳)의 <商文明起源于我國東北說>, 간지경(干志耿)의  < 商先起源于幽燕說 >에서는 상족은 발해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다. 

 

# 진남설(晉南說)

-  대표인물 : 이민(李民), 진창원(陳昌遠) 등.

-  주요관점 : 이민(李民)/장국석(張國碩)의 < 夏商周三族源流探索>에서는 상족은 산서성 영제(永濟)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진창원(陳昌遠)/진륭문(陳隆文)의 < 論先商文化淵源及殷先公遷徙之歷史地理考察>에서는 상족은 산서성 원곡(垣曲)과 영제(永濟) 일대에서 시작되었다고 인식하였다.

 

# 갑골문의 글자들

 

# 머릿말.

 

 

# 정(鼎) 모형.

 

 

# 상(商)나라 세계표.

제곡(帝嚳)부터 기원하여 1대 태을(太乙)~29대 제신(帝辛)까지.

* 중임(仲壬)을 포함하지 않아서 29대.

 

 

# 상왕세계표(商王世系表)

次序
日名1(祭名)
日名2(祭名)
庙号
备注
1
大乙
-
商王,子姓
-
大丁
(无)
未即位,追尊为王
2
-
-
3
-
-
4
大甲
-
5
-
-
6
大庚
-
-
7
-
-
8
-
-
9
大戊
-
10
-
-
11
卜壬
-
-
12
戋甲
-
-
13
且乙
-
-
14
且辛
-
-
15
羌甲
-
-
16
且丁
-
-
17
-
-
18
象甲
-
-
19
-
-
20
-
-
21
-
-
22
-
-
祖己(孝已)
(无)
-
未即位,追尊为王
-
祖戊
祖戊
(无)
-
未即位,追尊为王
23
且庚
-
-
24
且甲
-
-
25
-
-
26
-
-
27
-
-
28
-
甲骨文中亦作“文武丁”
29
-
-
30
-
受(受德)
-

 

 

 

# 선공 팔천

- 설(契)에서 성탕(成湯)까지 여덟번 옮겼다.

사마천의 <사기 은본기>에는 설(契)부터 성탕(成湯)에 이르기까지 8차례 도읍을 옮겼다고 되어 있다. 상족(商族)이 설에서부터  탕이 왕조를 세우기 이전까지의 활동을 중심으로 8차례 이동이 있었다.  즉, 설은 蕃에 있었고, 昭明은 지석(砥石)에 있다고 商으로 옮겼고,  相土는 商丘에 있었고, 王亥는 殷으로 옮겼다고 다시 商丘로 돌아왔고, 上甲微는 鄴에 있었고, 湯은 亳에 있었다. 이 8차례의 천도는 상족의 기원과 길밀하게 서로 관련이 있다.

왕명 도읍 위치 비고
  • 1. 契(约前2096年-前?年)
번(蕃) 지금의 하북 창수(漳水) 일대. 虞舜三十三年-?
2. 昭明(前?年-前?年)
지석(砥石)
지금의 하북성 원씨(元氏)
 

  번(蕃)

지금의 하북 창수(漳水) 일대
 

상구(商丘)
지금의 하남성 상구 또는 (濮陽)  
5. 王亥(约前1874年-约前1775
은(殷)
지금의 하남성 안양(安陽) 夏杼十四年-夏泄十二年
6. 王亥(约前1874年-约前1775
    王恒(约前1774年-约前1771)

상구(商丘)

지금의 하남성 상구 또는 (濮陽)
夏泄十三年-夏泄十六年
업(鄴)
지금의 하남북성 임창(臨漳)

夏泄十六年-?
  • 8. 湯
박(亳)  지금의 하남성 정주(鄭州) 또는 內黃亳城  

 

 

#

왕명 도읍 위치 비고
1. 契(约前2096年-前?年) 번(蕃) 지금의 하북 창수(漳水) 일대. 虞舜三十三年-?
2. 昭明(前?年-前?年) 지석(砥石) 지금의 하북성 원씨(元氏)  
3. 昭明(前?年-前?年 번(蕃) 지금의 하북 창수(漳水) 일대  
4. 相土(前?年-前?年)
    昌若(前?年-前?年)
    曹圉(前?年-前?年)
    冥(前?年-约前1875年)
상구(商丘) 지금의 하남성 상구 또는 (濮陽)  
5. 王亥(约前1874年-约前1775 은(殷) 지금의 하남성 안양(安陽) 夏杼十四年-夏泄十二年
       
6. 王亥(约前1874年-约前1775
    王恒(约前1774年-约前1771)
상구(商丘) 지금의 하남성 상구 또는 (濮陽) 夏泄十三年-夏泄十六年
7. 上甲微(约前1770年-前?年)
    报丁(前?年-前?年)
    报乙(前?年-前?年)
    报丙(前?年-前?年)
    主壬(示壬)(前?年-前?年)
    主癸(示癸)(前?年-前?年)
업(鄴) 지금의 하남북성 임창(臨漳) 夏泄十六年-?
8. 湯 박(亳) 지금의 하남성 정주(鄭州) 또는 內黃亳城  

 

 

도심복분(陶深腹盆)_질로 만든 배부분이 깊은 동이

- 선상(先商) 시기

- 1999년 하북 邢台 邢國 묘지 출토.

- 하북성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04. 도심복분(陶深腹盆)

- 선상(先商) 시기

- 2005년 鶴壁 劉庄 유지 출토.

- 학벽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02. 도분형정(陶盆形鼎)_동이 형태의 도정(陶鼎)

- 선상(先商) 시기

- 2005년 鶴壁 劉庄 유지 출토.

- 학벽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02. 도심복관(陶深腹罐)

- 선상(先商) 시기.

- 1972년 안양 소둔촌 서쪽 지역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04. 도권족반(陶圈足盤)_통발 형태의 도반(陶盤)

- 선상(先商) 시기

- 2005년 鶴壁 劉庄 유지 출토.

- 학벽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05. 도두(陶豆)

- 선상(先商) 시기

- 2005년 鶴壁 劉庄 유지 출토.

- 학벽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선상 시기에 8차례 옮긴 지도.

 

 

# 선상 문화(先商文化)_상조(商朝) 이전의 문화.

 

 

◆ 05. 도력(陶鬲)

- 선상 시기

- 하북성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08. 도력(陶鬲)

- 선상(先商) 시기

- 2005년 鶴壁 劉庄 유지 출토.

- 학벽시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07. 도력(陶鬲)

- 2023년 안양 무관촌(武官村)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1.2. 상조(商朝)의 건립 

 

 

# 정주_정저우 상성(商城)

 

 

◆ 01-02 도언(陶甗)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07-08 도가(陶斝)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01-02 도궤(陶簋)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03-04 도력(陶鬲)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05-06 도분(陶盆)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11. 도두(陶豆)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12. 도두(陶豆)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07-08. 도가(陶斝)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09-10. 도작(陶爵)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01-02. 도대구준(陶大口尊)_주둥이가 넓은 도준.

- 상대 초기

- 정주 상성유지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소 소장.

 

- 02. 

 

 

- 01.

 

 

# 언사(偃師) 상성(商城)

 

 

◆ 수면문동방정(獸面紋銅方鼎)_짐승문양 새겨진 네모형태 동정.

- 상대 중기

- 1982년 정주 향양(向陽) 회족식품창. 청동기 교장갱(窖藏坑) 출토.

- 하남성 문물고고연구원 소장.

 

&

 

 

- 설명서.

 

 

 

 

 

 

# 언사상성 3호궁전 초기건축 평면도.

 

 

 

◆ 도언(陶甗)_질시루.

- 상대 초기

- 2000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도대구준(陶大口尊)_주둥이가 넓은 도준.

- 상대 초기

- 1988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도권연분(陶卷沿盆)_물따르는 곳이 말린 도분[질동이]. 

- 상대 초기

- 1986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1. 도심복관(陶深腹罐)_배부분의 깊은 도관[질단지]

- 상대 초기

- 1996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2. 도증(陶甑)_질시루배부분의 깊은 도관[질단지]

- 상대 초기

- 1996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3. 도각조분(陶刻槽盆)_홈_고랑을 새긴 도분.

- 상대 초기

- 1986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4. 도절견분(陶折肩盆)_어깨 부위가 꺾인 도분.

- 상대 초기

- 1989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손잡이 위치에 해당하는 양쪽에 동그란 못대가리 모양의 장식이 있다.

 

 


◆ 05. 도가(陶斝)

- 상대 초기

- 1996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6. 도날구관(陶捏口罐)_주둥이를 쭈그러트린 단지.

- 상대 초기

- 1996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7. 도력(陶鬲)

- 상대 초기

- 1996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08. 도두(陶豆)

- 상대 초기

- 2000년 정주 언사상성 유지 출토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 상나라 형식의 도력(陶鬲) 변화과정.

1. 선상(先商)

 

 

2. 조상(早商)

 

 

3. 중상(中商)

 

4. 만상(晩商)

 

 

5. 주초(周初)

 

 

# 정주 상성.

 

 

# 교장갱.

 

 

# 상나라 형식의 도작(陶爵) 변화과정.

1. 선상(先商)

 

 

2. 중상(中商)

 

 

3. 만상(晩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