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3_1층_03

by isanjo 2024. 11. 3.

2024_09_국립김해박물관3_1층_03

 

1. 가야 이전 사람들의 삶2

 

# 빗살무늬토기.

◆ 1. 부산 동삼동  2. 통영 연대도    3. 통영 욕지도  4. 밀양 살내    5. 부산 범방

6. 거창 임불리  7. 산청 소남리    8. 김해 수가리    9. 부산 율리     10. 부산 가덕도.

 

 

 

 

 

 

 

 

◆ 3. 우. 통영 욕지도

4. 좌. 밀양 살내

 

 

 

 

후우. 2. 통영 연대도

후우. 3. 통영 욕지도

후좌 10. 부산 가덕도.

 

 

  2. 통영 연대도

  3. 통영 욕지도

  10. 부산 가덕도.

 

 

  3. 통영 욕지도

  10. 부산 가덕도.

 

 

5. 부산 범방

 

 

 

 

 

  6. 거창 임불리

 

 

 

  7. 산청 소남리

 

 

 

 

 

 

  8. 김해 수가리

 

 

  1. 부산 동삼동

 

 

 

 

 

# 토기의 등장
도자기의 모습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진흙을 구우면 단단하게 변한다는 것을 터득하고 토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토기의 발명으로 어렵게 확보한 먹거리의 보관, 운반이 손쉬워졌고 조리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대략 1만 년 전에 출현한 토기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생김새와 무늬가 다양해진다다. 덧무늬[隆起文], 눌러그은무늬[押引文] 등 다양한 무늬 중에서도 무늬 새기개로 그어 새긴 빗살무늬[櫛文]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2. 안료 원석

- 신석기

- 창녕 비볼리.

 

 

◆ 작은 토기

- 신석기

- 부산 가덕도, 김해 수가리, 울산 황성동, 부산 동삼도.

 

 

 

 

 

◆ 뿔모양 토기

- 신석기

- 부산 동삼동.

 

 

◆ 1. 붉은칠토기

- 신석기

- 통영 연대도, 부산 동삼동.

 

 

 

 

◆ 1. 붉은칠토기

- 신석기

- 통영 연대도, 부산 동삼동.

 

◆ 2. 

 

 

# 각종 토기.

 

 

1. 항아리

- 신석기

- 부산 가덕도.

 

 

◆ 2.  바리

- 신석기

- 부산 가덕도.

 

 

 

 

# 장신구_신석기.

 1. 발찌: 통영 연대도.

 

2. 뼈치레걸이: 창녕 비봉리, 통영 연대도.

 

 

 

 3. 둥근옥: 통영 연대도.

 


 
4. 뼈조각품: 통영 연대도, 통영 욕지도.

 

 


5
. 조가비 팔찌: 김해 수가리, 통영 연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