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이완(台灣)Taiwan/타이중(台中)

2019_타이중7_국립자연과학박물관5

by isanjo 2020. 3. 5.

2019_타이중7_국립자연과학박물관5

 

◆ 2개가 이어진 잔_쌍연배(雙連杯)

- 하나의 그릇에 두 개의 술잔이 연결되어 있다. 어떻게 마시는 것일지?? 둘이 한꺼번에 같이 마시지는 못할듯....

- 안화유지(安和遺址)

 

 

 

 

 

◆ 쟁반 모양 그릇_반형기(盤形器)

- 쟁반 모양 그릇. 양쪽 끝이 뾰족하게 생겼다. 설마 손잡이는 아니겠고.....

- 안화유지

 

 

 

 

◆ 단지_도관(陶罐)

- 땅속에서 고생을 한듯 보인다. 몸이 성한 곳이 없다.

 

 

◆ 몸이 납작한 검은 색 병

 

 

 

◆ 각종 유물

- 모두 '안화유지'에서 출토된 것이다. 순서는 왼쪽부터.

- 좌1: 옥분(玉錛)_옥 자귀

- 좌2: 옥착(玉鑿)_옥 정

- 중상: 대결각도판(帶缺刻陶板)_아무 것도 새겨지지 않은 원형 모양 진흙판.

- 중하좌: 대결각도판(帶缺刻陶棒)_아무 것도 새겨지지 않은 원형 모양 진흙 몽둥이.

- 중하우: 양단대천공도봉(兩端帶穿孔陶棒)_양 끝에 구멍이 뚫린 진흙 몽둥이.

- 우상: 사치형옥식(鯊齒形玉飾)_상어 이빨 모양 옥장식

- 우하: 사어아(鯊魚牙)_상어 이빨

* 상어에게 물린 것이 아니라면 잡아 먹은 것이다.

 

 

 

 

 


# 대만 선사시대 유물

 

 

 

 


# 석기_설명서

- 석기는 돌을 사용하여 만는 공구이다. 이류가 석기를 사용한 시대는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2개의 단계로 구분한다. 구석기시대의 석기는 주로 타제석기로 되어 있다. 한 개의 석기를 다용도로 사용하였다. 신석기시대에는 타제석기 이외에 또 각종 마제석기가 있었다. 대부분은 나무 자루를 만들어 농구와 공구, 그리고 병기로 사용하였다.

 

 

◆ 타제석기(打製石器)

- 진열한 모습이 독특하다. 시대 순서인지 무게 순서인지 모르지만...

 

 

 

◆ 좌: 수와굴유지(水蛙堀遺址)

◆ 우: 우포유지(牛埔遺址)

 

 

 

 

 

# 타제석기 설명서

- 타이완의 신석기시대에 제작된 타제석기이다. 흔하게 볼 수 있는 타제 '돌호미'는 '부서형기(斧鋤形器: 도끼와 호미 모양 석기)'라고도 칭한다. 재질은 대부분 단단한 변질 사암이다. 이 때문에 쳐서 깎는 방법으로 넓찍하고 긴 나무가지 형태의 인석기(刃石器:날이 있는 석기)는 크기다 일정하지 않다. 반드시 끊으로 나무 자루를 동여 매서 사용하였다. 이 것은 고대인이 농경기에 땅을 파거나 잡초를 제거하는 공구이다.  

 

 

 

◆ 도우(陶盂) 및 도지가(陶支架)_복제품

- 질흙으로 만들 '바리'와  '삼바리'. 석기시대에 이정도 솥이면 근사하다. 

- 하북 무안현(武安縣) 자산(磁山) 출투

 

 

노끈 문양이 있는 세발 달린 바리_승문삼족발(繩文三足缽)_복제품

- 재료가 흙이라는 것 빼고는 정말 아름답다. 이런 형태가 그대로 청동기로 만들어졌으니 아름답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다시한번 감탄을 금할 수 없다.

- 섬서 위남 북유(渭南 北劉) 출토

 

 

 

# 참고용 고지도

 

 

 

◆ 좌상: 도우(陶盂)_복제퓸

- 하북 무안현 자산 출토

◆ 좌상: 사형 도정(斜型陶鼎)

- 하남 신정 배이강 출출_복제품

◆ 우상: 도관(陶罐)_복제품

- 하북 무안 자산 출산

◆ 우하: 쌍이호(雙耳壺)_복제품

- 하남 신정 매이강 출토

 

 

 

◆ 상: 돌삽_석산(石鏟)_복제품

- - 하남 신정 배이강 출토

◆ 중: 돌낫_석겸(石)_복제품

◆ 좌상: 골어차(骨魚叉)_복제품

- 하북 무안 자산 출토

◆ 우하: 골어표(骨魚鏢)_복제품

- 하북 무안 자산 출토

 

 

 

 

◆ 도관(陶罐)_복제품

- 내몽고 소맹부하구문(昭盟富河溝) 출토

 

 

◆ 좌상: 사구도기(斜口陶器)_입이 아래로 파진 도기

- 요녕 심양 신락(新樂) 출토

◆ 좌하: 석분(石錛)_돌자귀

- 내몽고 소맹부하구문(昭盟富河溝) 출토

◆ 우상: 도관(陶罐)_복제품

- 흑룡강 밀산(密山) 신개류(新開流) 출토

◆ 우하: 석서형기(石鋤形器)_복제품

- 내몽고 소맹부하구문(昭盟富河溝) 출토

 

 

 

 

 

# 중국 국내의 초기 신석기문화_설명

 

 

 

 

 

 

 

 

 

# 마제석기(磨製石器)

-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모여서 서로 다른 석재를 골라서 사용하였다. 쪼고 갈고, 구멍을 뚫는 등의 방식으로 각종 형식의 석기를 제조했다. 일상적으로 볼 수 있는 마제석기에는 돌호미, 돌칼, 자귀와 끌 모양 석기, 창과 화살촉 모양 석기, 그물추 등이 있다. 타제석기와 비교했을 때 마제석기는 비교적 정교하며 나무 자루에 결합하여 매우 복합적인 공구로 사용하였다. 

 

 

◆ 우포유지 유물

- 윗부분에 손잡이처럼 들어가 있다.

 

 

◆ 상부: 석전두(石箭頭)_돌화살 머리

◆ 하부: 석도(石刀)_돌칼

 

 

 

 

# 배이강문화과 자산문화의 주민 생활도

 

 

◆ 보습[耜]_복제품

- 하남 무안 자산 출토

 

 

 

 

# 선사시대 생활상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