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섬서 서안박물관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3_한당풍채(漢唐風采)10

by isanjo 2023. 8. 15.

2019_12_섬서 서안박물관13

 

2. 한당 풍채(漢唐風采)10

 

◆ 영 우(永盂)_영()에게 토지를 내린 명문이 쓰여진 우(盂).

- 서주 시기

- 1969년 서안시 남전현 설호진(泄湖鎭) 출토.

 

 

1969년 서안시 남전현(藍田縣) 설호진(湖鎭)의 농민들은 우연히 땅속에서 금속 罐子[항아리]를 파내어 섬서성 물자회수부에 넘겨주었다. 1972년 서안박물원의 한 직원은 폐품을 회수하는 곳에서 동철을 수매하는 가격으로 몇백위안을 주고 이 항아리를 사왔다. 이것이 바로 현재 서안박물원의 보물인 영우이다.

이 평범해 보이는 청동기가 어떻게 보물이 될 수 있겠는가. 이른바 "()"는 사실 옛사람들이 물이나 음식을 담는 용기이다. 이 청동기의 주인은 "()"이라고 한다. ""자는 기물의 몸에 있는 명문에 여러 차례 나타나고, 그 기물의 형태가 우이기 때문에 오늘날 사람들은 두 글자를 합쳐서 "영우(永盂)"라고 명명한 것이다.

영우는 기물 전체에 정교하고 아름다운 무늬와 장식이 있으며, 파초잎무늬와 코를 말고 있는 코기리 머리가 새겨져 있어 화려하고 귀한 기운을 느끼게 한다. 서주시기에 출토된 기물에 코끼리와 파초나뭇잎과 같은 동식물이 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3000년전 섬서성의 기후는 운남 등지처럼 삼림이 많고 키가 큰 나무들이 많아 코끼리나 코뿔소 등 동물에게 아주 좋은 생존공간을 제공해주었다고 추정한다. 그 후 기후의 변화와 인류 활동의 영향으로 북방 황하 유역은 더이상 그들의 생존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코끼리의 개체군은 점차 남방으로 퇴각하기 시작했다. 코끼리의 출현은 또 다른 측면에서 초기 중국 북방의 자연 환경의 특징을 보여주었다.

이 파초잎무늬는 전문가 들이 매미 무늬와 비슷하다고 분석한다. 매미는 난화 번데기를 낳고, 번데기는 껍질을 깨고 매미가 되는데, 이런 특수한 태변(蛻變)은 고대인의 견해에 의하면, 영원히 불멸하는 생명을 대표한다. 또 다른 뜻은 매미가 높은 곳에서 이슬을 먹기 때문에 청결하고 고상한 태도를 보인다는 것이다. 매미 무늬는 대부분 청동 식기와 주기에 장식되어 있다. 그러므로 매미무늬는 음식, 세면기 등과 일정한 관련이 있어야 하며 음식 청결의 뜻이 있어야 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영우가 서안박물원의 보물이 될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는 기물의 안쪽 바닥에 123자의 명문이 있어 서주에서 토지를 나누어 준 이야기를 완전하게 기술하였다는 점이다.

 3,000년전의 어느날, 오늘의 洛河 南北 언덕에서 익공(益公)이 주나라 천자의 명을 받고 의식을 주관하였는데, 이 곳의 토지를 영()에게 봉하여 형백(邢伯), 영백(榮伯), 윤씨(尹氏), 사속보(師俗父), 유중(遣仲) 등이 현장에서 명령을 받았다. 이와 동시에 정 사도(鄭司徒), 주인 사공(周人司工), 사(史), 사씨(師氏), 읍인 규보(邑人奎父), 필인 사동(畢人 師同) 등 함께 이 의식을 목격하여 수토(授土) 과정을 완전하게 보장하였다.

이 청동기로 토지의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데, 이것은 현재의 토지소유증명서와도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명문에 나타난 사람이 10여 명에 달하고 그들의 신분과 관직이 각기 다르며 현대인들이 당시의 역사 인물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료를 제공해주었다.

 영우는 오늘날 사람들에게 서주시기의 기후, 문화, 제도를 이야기해 주었고, 오늘날의 역사가들이 중국 고대 사회의 다방면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료를 제공했다. 또한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진실하게 반영했다. 그렇기 때문에 서안박물관의 보물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명문> 총 121자. *子* 중복표시 포함 123자.  *마멸 4자.

隹十又二年初吉丁卯, 益公 11

유십우이년초길정묘

, 卽命天子出氒 10

내, 즉명우천자    공내출궐

, 畀師永氒田, 陽洛 10*:/

명, 석비사영궐전, 음양락

師俗公出 10

▦사속보전。궐중공출

氒命: 尹氏師俗父11

궐명: 정백、영백、윤씨、사속보

遣仲, , 10*: 의 고자형태.

유중, 공내명정사도함보

周人▦▦, 師氏邑 10*▦▦ (+?)(+)

주인사공사, 사씨읍

人奎父, 畢人師同, 付永10

인규보, 필인사동, 부영궐

, 䢦舊; 宋句永拜 10

전, 궐솔구승강, 송구영배

首, 天子休命, 永用 10

계수, 대양천자휴명, 영용

朕文考乙, 永其 10

작짐문고을백존우, 영기

年孫==, 永其寶用9

만년손손자자, 영기솔보용

 

 

隹(唯)十又二年初吉丁卯, 益公

, 卽命天子出氒(厥)

, 畀師永氒(厥), 陽洛

()師俗(厥)公出

(厥): ()()尹氏師俗父

遣仲, 酉(鄭),

周人▦▦, 師氏邑

人奎父, 畢人師同, 付永(厥)

, (厥)(厥)(); 宋句永拜

首, 天子休命, 永用

朕文考乙(), 永其

邁(萬)年孫孫子子, 永其率寶用

 

 

# <撰稿 / 高兴  / 필자 번역>

 

 

 

 

 

 

 

 

◆ 구연운뢰문 대정(勾連雲雷紋大鼎)_勾가 이어지고 구름과 우뢰 문양이 있는 큰 솥.

- 서주 시기

 

 

 

 

 

 

 

 

 

 

 

 

◆ 여복여 반(呂服餘盤)

- 서주(BC.1046~BC.771)

- 1979년 섬서성 삼원현(三原縣) 출토.

 

 

 

 

 

 초엽문 고(蕉葉紋觚)

- 서주(BC.1046~BC.771)

 

 

 도철문 준(饕餮紋尊)

- 서주(BC.1046~BC.771)

 

 

 

 

 

 도철면제량 유(饕餮面提梁卣)

- 서주(BC.1046~BC.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