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물관/섬서 고고박물관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2_1층_2.文化譜系篇1

by isanjo 2023. 8. 27.

2023_08_섬서 고고박물관2_1층_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1

 

<2.문화보계편(文化譜系篇)>에는 중국의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전() 앙소(仰韶)문화((8000~6800년 전), 앙소문화(6800~4800년 전), 용산문화에 해당하는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이 중 전() 앙소(仰韶)문화는 다시 백가문화(白家文化)와 노관태문화(老官台文化)로 분류된다. 전 앙소시기의 전형적인 유적은 전형적인 유적은 서안시 임동구의 백가(白家)와 위남시(渭南市) 화현(華縣)의 노관태, 위남시(渭南市) 북류(北劉), 보계시의 관도원(關桃園), 서향(西鄕)의 이가존(李家村) 등이다.

 

 

 

 

# 150만년~7만년 이전. / # 80만년~30만년 이전.

 

 

# 2만 1천~1만 5천년 이전.

 

# 8000년~6800년 이전.

 

 

# 전(前) 앙소(仰韶) 시기

- 섬서성 경내의 전 앙소시기에는 일반적으로 백가문화(白家文化)와 노관태문화(老官台文化)의 대표 단계이다. 두 개의 문화는 전후로 계승하였는데, 주요 분포 지역은 관중지역과 한수 상류이다. 전형적인 유적은 임동의 백가(白家)와 화현(華縣)의 노관태, 위남(渭南) 북류(北劉), 보계의 관도원(關桃園), 서향(西鄕)의 이가존(李家村) 등이다.

 

전 앙소시기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은 종류는 도병(陶甁), (陶鼎), (陶鉢), (陶盆), (陶罐) 등으로 다양하지 않았고 형태도 비교적 단순하였으며, 앙소시기 초기 유적[반파유형(半坡類型)]에서 발견된 유물은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태의 도분(陶盆)과 채도분(彩陶盆), 첨저병(尖底甁), 호로병(葫蘆倂), 도항(陶缸), 도우(陶盂), 도반(陶盤), 도조(陶竈), 도관(陶罐), 도정(陶鼎), 도발(陶鉢), 도부(陶釜), 도고(陶鼓) 등의 토기와 골잠(骨簪), 골계(骨筓), 골추(骨錐), 석부(石斧), 석산(石鏟), 석산(石刀) 등이 있으며, 앙소시기 중기의 유적에서 발굴된 유물은 기존의 유형에 도도(陶刀), 도와(陶瓦), 채도기개(彩陶器蓋), 쌍부도조(雙釜陶竈), 홍도분(紅陶盆)과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크기의 골기(骨器), 석기(石器) 등이 있었다.

 

 

- 백가문화(白家文化)의 전형적인 도기 형태 변화.

 

# 신석기시대

 

 

 

 

# 위수 유역의 전 앙소시기 주요 유적 분포도.

 

 

 

# 노관태문화

 

 

◆ 後左: 도관(陶罐) / 전 앙소시기(8000~6800년 이전)  / 1994년 임동 영구(零求) 유적T3.

◆ 後中: 도관(陶罐) / 전 앙소시기(8000~6800년 이전)  / 1994년 임동 영구(零求) 유적T6

◆ 後右: 도관(陶罐) / 전 앙소시기(8000~6800년 이전)  / 1994년 임동 영구(零求) 유적T14

◆ 前左: 도관(陶罐) / 전 앙소시기(8000~6800년 이전)  / 1994년 임동 영구(零求) 유적H35

◆ 前左: 도관(陶罐) / 전 앙소시기(8000~6800년 이전)  / 1994년 임동 영구(零求) 유적T6

 

# 앙소시기

- 6800~4800년 이전.

 

앙소시기의 유적으로는 서안시 안탑구(雁塔區) 어화채(魚化寨) 유지, 함양시 빈현(邠縣) 하맹촌(下孟村) 유지, 유림시(楡林市) 횡산현(橫山縣) 양계사(楊界沙) 유지, 위남시(渭南市) 화현(華縣) 천호촌(泉護村) 유지, 위남시 백수현 백수하하(白水下河) 유지, 서안시 남전현(藍田縣) 신가(新街) 유지가 있으며, 용산시기의 유적으로는 보계시 부풍현(扶風縣) 안판(案板) 유지, 유림시 가현(佳縣) 석라라산(石摞摞山) 석성(石城), 유림시 횡산현 와요거채산(瓦窑渠寨山) 석성, 서안시 임동구(臨潼區) 강가(康家) 유지, 보계시 석취두(石嘴頭) 유지, 유림시 채묘량(寨峁梁) 석성, 유림시 신목현(神木縣) 신화(新華) 유지 등이 있다.

 

 

# 반파유형_앙소 초기

 

 

 

◆ 5. 주둥이가 사람 얼굴인 토기.

 

 

◆ 右: 7~8. 석부(石斧)_돌도끼

◆ 左前: 4~5. 석산(石鏟)_돌낫

◆ 左後: 6. 석산(石刀)_돌칼

 

◆ 도우(陶盂)_질 바리.

좌: 6. 줄무늬, 중: 7. 민짜, 우: 8. 채색.

 

 

◆ 채색 토기


# 반파 만기 유형.

◆ 좌: 바닥이 뾰족한 병

◆ 우: 발우.

 

◆ 묘저구(廟底泃) 유형

 

# 조기 반파 유형

 

 

# 서안 어화채 유적[(魚化寨遺址]

- 발굴시기: 2002~2005년.

- 발굴지점: 서안시 안탑구 어화채 유적[(魚化寨遺址]

 

 

◆ 15. 첨저병(尖底甁)

 

# 빈현(邠縣) 하맹촌 유적[下孟村遺址]

- 발굴시기: 1959~1964년.

- 발굴지점: 함양시 빈현 재점향(再店鄕)

 

#

 

 

◆ 13. 긴 병.

- 양쪽에 손잡이가 있다.

 

◆ 後左: 9. 도발(陶鉢) / 앙소시기 / 1960년 빈현 하맹촌 유지 F1

◆ 後右: 10. 채도발(彩陶鉢) / 앙소시기 / 1959~1964년 빈현 하맹촌 유지

◆ 前左: 11. 사뉴도발(四鈕彩陶鉢) / 앙소시기 / 1960년 빈현 하맹촌 유지 H19

- 4개의 고리가 있는 채색 도기 발우.

◆ 前右: 12. 도관(陶罐) / 앙소시기 / 1963년 빈현 하맹촌 유지

 

◆ 도고(陶鼓)_질흙 북.

- 앙소시기

- 1992년 천양(千陽) 풍두(豊頭) 유지 H2

 

# 앙소중기 문화 세력 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