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간6 2017_베이징_국가박물관1_4층2_S12_중국고대서법4 #4. 한나라부터 당나라까지의 묵적漢至唐墨迹 ◆ 경술 간(庚戌 簡) - 西漢 - 木 ◆ 주서 임겸 묘표(朱書任謙墓表) - 高昌 延和 12년(612) - 陶 ◆ 사본 육기 오등론 두루마리(寫本陸機五等論卷) - 隋 - 紙本 ◆ 사본 문선서 잔지(寫本文選序殘紙) - 唐 - 紙本 ◆ 사본 개몽요훈 잔지(寫本開蒙要訓殘紙) - 唐 - 紙本 2022. 12. 16. 고대유물_045_마패(馬牌) # 마패(馬牌) 2022. 12. 12. 고대유물_048_목간(木簡) # 목간(木簡) ◆ 목간 ◆ 고 장문 목독(古藏文木牘)_고대 티벳어로 쓴 목간 - 당대 - 청해성박물관 소장 ◆ 장문 목간(藏文木簡)_티벳어로 쓴 목간 - 당대 - 청해성박물관 소장 ◆ 토번문 목간(吐蕃文木簡)_티벳어로 된 목간 - 唐 - 신장 위그루 자치구 박물관(新疆維吾爾自治區博物) 소장 ◆ 목간(木簡) - 청해성박물관 소장 2022. 12. 1.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_고대5_신라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 # 고대5_삼국시대_신라 ◆ 새모양 토기 ◆ 철로 만든 칼 ◆ 다양한 모양의 토기 ◆ 와당(瓦當) ◆ ◆ 포항 냉수리 신라비(복제품) - 경북 포항 냉수리 - 국보264호 - 삼국시대_신라 503년 ◆ 굽다리 곧은목 항아리 ◆ ◆ 뚜껑 있는 접시 ◆ ◆ 굽다리 접시 - 안.. 2019. 10. 15.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서한(西漢)시기 2016_베이징 국가박물관 지층4_서한(西漢)시기 # 西漢(前漢): 기원전 202년부터 서기 8년까지. ◆ 금실로 엮은 합[金縷玉柙] - 西漢 - 1973년 하북 정형(定縣) 팔각랑촌 40호묘 출토. - 길이 182cm,너비 9cm - 玉柙은 玉匣, 玉衣라고도 하는데, 한나라 황제와 고급 귀족이 사만한 후 입은 수의이다. 신분이 차이에 따라 옥 조각에 금실, 은실, 동실과 실을 합하여 만들기도 하였다. 이 玉衣의 주인은 中山懷王 劉修로 기원전 55년에 죽었다. # - 한나라는 죽은 사람을 산 사람처럼 섬겼다. 그들은 사람이 사망한 후 옥갑을 입으면 시체가 부식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옥을 수장하는 최고 형태로서 서주 이래 유행된 옥 얼굴가리개로부터 발전되었다. 귀족의 신분이 다름에 따라 옥갑은 금실, .. 2019. 4. 27.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 삼국시대 2016 국립중앙박물관 1층 오른쪽 뒤 # 삼국시대 고대는 사진을 찍지 않았다. 1층을 찬찬히 관람하니 6시간 정도 걸렸다. 오전에 오른쪽 오후에 왼쪽. 1층 오른쪽 뒤 삼국시대 ◆ '大夫'가 새겨진 그릇 - '大夫'라는 글씨가 보인다. 후대에 쓴 것으로 보임. ◆ 황금 ◆ ◆ ◆ ◆ ◆ 유리 공예 ◆ .. 2016. 10.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