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위_머위꽃
- 어릴 때는 발음나는대로 '머우', '머구' '머귀'라도 불렀다.
<2020년 3월 22일>
- 연한 새잎에 돋아난다. 머위는 시골 뒷뜰과 야산의 응달에서서 흔하게 본다.

<2021년 3월 24일> 증산동 텃밭 비탈




- 겉껍질을 벗긴 것같은 머위의 싹

- 한쪽이 벌어지면서 파란 잎이 보이기 시작한다.

<2024년 3월 28일> S22. 응암동 텃밭.
- 죽은듯하던 뿌리에서 싹이 돋기 시작했다.

<2022년 3월 30일>
- 작은 잎이 몇 개 나오고 나면 속에서 연녹색 꽃대가 올라오며 하얀 꽃몽오리가 보인다.

<2021년 4월 01일>
- 삼성빌라 텃밭
올해는 무슨 이유인지 다른 곳 보다 꽃대가 느리다.

<2022년 4월 02일> 응암동 텃밭
<2025년 4월 03일> 응암동 화단. 오늘 텃밭에서 화단으로 옮겼다.

<2025년 4월 04일> 문영 만보
- 아주머니가 비탈에 심은 머위. 어제 거름을 주신듯하다.

<2020년 4월 08일>
- 태어나서 처음보는 머위꽃. 어려서부터 늘 먹었지만 이것이 머위꽃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2022년 4월 09일> G9
- 머위의 꽃이 올해 필지 안 필지, 피면 언제즘 필지 궁금하다.

<2023년 4월 09일>
- 문영마운틴 앞 텃밭에 머위가 보이지 않아 걱정했는데, 조릿대 뒤에서 꽃이 진 머위를 찾았다.


<2020년 4월 10일>


<핸드폰>

<2024년 4월 11일> 숭실고 부근.




<2025년 04월 13일> 문영 텃밭.

<2020년 4월 15일>

- 파와 부추처럼 꽃이 길게 퍼진다.

<2021년 4월 21일>




<2023년 4월 21일> 문영 텃밭 비탈


<2023년 4월 22일>


<2020년 4월 23일>

<2021년 4월 23일>
- 올해는 꽃이 피지 않았다.

<2020년 4월 29일>


<2023년 4월 30일> 응암동 텃밭


<2020년 5월 02일>
- 민들레 홀씨처럼 하얀 꽃이 피기 시작한다.


- 주로 대공을 삶아서 들깨를 넣어 나물로 먹고, 잎은 삶아서 쌈을 싸서 먹는다.
<2021년 5월 07일>
- 거름의 차이에 따라 너무나 다른 모습이다. 척박한 기슭에 자라는 머위...

<2020년 5월 08일>

<2020년 5월 10일>



<2022년 5월 12일>

<2022년 5월 19일>

<2022년 5월 23일>
- 물이 많이 미나리 밭에서도 머위가 잘 자라주었다.


<2022년 06월 11일>


<2023년 06월 16일>

<2025년 6월 22일>
- 그늘에서 옮겨다 심었는데 기존의 줄기가 말라서 죽고난지 얼마 되지 않아 뿌리에서 새 잎이 돋았다.

<2025년 6월 26일>

<2022년 07월 06일> Q9

<2023년 10월 13일>
- 어기도 때늦은 머위가 자란다.

'자연사진 > 초본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시꽃6_정보도서관 부근 화단 (0) | 2025.06.26 |
---|---|
백합_흰노랑 (0) | 2025.06.26 |
목베고니아_이렌누스 (0) | 2025.06.26 |
백합A_연분홍 (0) | 2025.06.26 |
다알리아_칠산아파트 (0)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