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나리1_절부지_연교(連翹)
<2024년 3월 02일>
- 21년 3월 5일에는 개나리가 만발했는데, 올해는 좀 늦다.

<2021년 3월 05일>
- 연서중학교 담장에 한가지에 봄의 전령사 중 하나인 개나리가 피었다.


<2023년 3월 10일>


<2020년 3월 11일>
- 아직 꽃몽오리가 나오지 않았다. 꼭 성격 급한 애들이 있다. 자세히 보면 중앙에 노란 개나리꽃이 보인다.

<2020년 3월 15일>
- 날이 따뜻하니 5일만에 가지마다 꽃이 피었다.

<2022년 3월 16일>
- 20221년과 비교하면 차이가 명확하다.

<2021년 3월 15일> 부산은 개나리가 만발했다.


<2023년 3월 17일> 응암동 성담 담장

<2022년 3월 18일>
- 이틀만에 연서중 돌담에 개나리가 피었다.


<2020년 3월 19일>
- 연서중학교 담장
<2020년 3월 20일>
- 왕개나리가 피었다. 크기가 다른 개나리의 2배쯤...
왼쪽에 있는 개나리를 보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2025년 3월 20일>

<2020년 3월 22일>
- 한쪽에는 활짝핀 꽃과 한쪽에는 연두색 싹이 올라오고 있다. 얼마 뒤면 근무교대 시간이 온다.

<2025년 3월 22일>
- 초록에서 노랑으로 변하는 중이다.

<2023년 3월 23일>


<2025년 3월 23일>
- 올해 봄에 담장 붕괴 위험 때문에 아카시아와 포플러 등을 베면서 개나리도 함께 잘랐다. 그 중에 가지가 잘리지 않은 몇 개의 줄기에서 개나리꽃이 피었다.

- 오늘 피기 시작하는 개나리.


<2021년 3월 24일>

<2024년 3월 24일> S22.

<2021년 3월 27일>
- 2020년 3월 28일과 비슷하게 파란 잎이 섞여 있다.

<2022년 3월 27일>
- 2021년에는 개나리가 지고 파릇파릇한 새싹이 나왔는데, 2022년 같은 날에는 아직 개나리도 다 피지 않았다.


<2020년 3월 28일>
- 어느새 파란 잎이 보이기 시작한다.


<2024년 3월 28일> S22.
![]() |
![]() |
<2020년 3월 30일> 불광천

<2021년 3월 31일>

<2022년 3월 31일> 연서중 돌담

- 3월 말에 파란 잎파리가 보이기 시작한다.

<2023년 4월 01일>

<2019년 4월 02일>

<2022년 4월 03일>
- 어느덧 가지 끝에 연녹색 잎파리가 피어났다.


<2023년 4월 03일>

<2025년 4월 05일>

<2022년 4월 06일>
- 이것이 올해 마지막으로 보는 노란색 개나리일 것이다. 다음주면 초록색으로 줄기의 옷을 갈아입을 것이다.

<2021년 4월 07일>
- 2020년에는 노란 꽃이 피어 있던 담장에는 웃자란 파란 가지만....

<2020년 4월 8일>


<2022년 4월 10일> 응암동

<2021년 4월 11일>

<2020년 4월 15일> 불광천
- 몇일 사이에 색이 엄청 흐려졌다. 한 달동안 피어 있는 산수유 꽃을 연상케 한다.

<2021년 4월 17일>

<2022년 4월 23일>
- 쉬 더운 방이 쉬 식는다고 늦게 핀 개나리는 아직도 한창이다.

<2023년 04월 26일> Q9
- 경성대 쪽문. 달랑 꽃이 한 송이 피었다.

<2020년 5월 2일>
- 5월인데도 아직까지 개나리 꽃이 지지 않았다.

<2019년 6월 19일>
- 철모르고 핀 개나리. 원산지가 한국이라니 너무 반갑다.
특히 개나리는 온도만 맞으면 아무 때나 핀다, 3월, 6월, 9월, 12월 가리지 않는다.
그래서 개나리의 별명이 절부지(절부지(節不知)_철부지.
한자는 꽃의 모양을 보고 지은 연교(連翹_날개가 이어지다), 너무 아름다운 이름이다.


- 꽃이 지고나면 무슨 나무인지 모르는 개나리 잎.

<2023년 10월 04일> 불광천


<2022년 11월 20일> G9
- 돌담에 개나리 단풍이 들었다.

<2019년 11월 25일>
- 개나라도 단풍이 들었다.


<2020년 12월 12일>
- 단풍 든 개나리

# 역시 개나리는 나의 기대를 버리지 않았다. 양지의 한 가지에서 한 송이가 지고 한 송이가 피고 있다.
다음주 영하 10도를 어떻게 견딜지 마음이 아파온다.
